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청량리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 정보 == 1911년에 [[경원본선]] 역으로 연 뒤로, 일제강점기 말에 잠시 '''동경성역'''([ruby(東,ruby=ヒガシ)][ruby(京城,ruby=ケイジヤウ)][ruby(驛,ruby=エキ)])으로 바뀌었다가 해방 후 청량리역으로 환원되었다. 그 후 [[중앙본선]]과 [[경춘선]]의 출발역이 되었고, 2016년과 2018년에 경춘 완행선과 수인·분당선 열차가 청량리역까지 운행하게 되면서 4개 노선 환승역이 되었다. 현재도 서울에서 한반도 동부지역으로 향하는 출발역인데 [[제천역|제천]], [[안동역|안동]], [[부전역(동해선)|부전]], [[동해역|동해]] 방면의 [[중앙선]], [[태백선]] 여객열차와 [[경춘 완행선]] 시종착역으로 기능한다. 가평, 춘천, 강릉 등 경기도와 강원도의 명승지로 향하는 열차가 출발했기 때문에 [[경춘선]] 완행 개통 전과 [[영동선]] 개편 전까지는 대학교[[MT]]철, 여름휴가철, 연말연시 [[해돋이]] 성수기 때마다 젊은이들의 발길로 문전성시를 이루었다. 특히 MT에 가서 먹을 술과 고기를 종이상자에 잔뜩 싣고 기차역으로 향하던 대학생들의 풍경이 이채롭던 곳이다. 지금은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실질시점이 [[상봉역]]으로 바뀌었고 [[ITX-청춘]]을 편하게 타려는 승객도 시발역인 [[용산역]]을 주로 쓰기 때문에 MT를 가고자 청량리역을 찾는 대학생들은 과거보다 많이 줄어들었다. 또 휴가철이나 [[1월 1일]] 등 해돋이 성수기에 영동 지역으로 향하는 교통 수요도 [[강릉선 KTX]] 열차가 [[서울역]]에서 출발하도록 개편되면서 다소 분산됐다.[* 다만 이러한 것을 보기 싫었던 [[동해철도|운영사]]에서 해돋이 기간 영동지방 열차는 청량리 착발로 고정해놓으면서 좋든 싫든 청량리역으로 와야만 하게 되었다.] ||<-5><tablebordercolor=#0047a0><table align=center><tablewidth=100%><bgcolor=#0047a0><width=100%> [[대한민국|'''{{{#ffffff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width=30%> 268호 ||<|2> ← ||<width=30%> '''269호''' ||<|2> → ||<width=30%> 270호 || || [[최순우 옛집|서울 성북동 최순우 가옥]] || '''청량리역 검수차고''' || [[반야월역(대구선)|대구 옛반야월역사]] || 본래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역사가 있었으나 [[6.25 전쟁]]으로 인해서 소실되었고, 1959년에 역사를 다시 지었다. 1959년부터 사용했던 구 역사 시절 특이한 점이 있다면, 바로 1,2번 승강장인 경춘선 승강장이었다. 다른 중앙선, 영동선, 태백선 승강장은 게이트를 지나고, 지하로 내려가서 이용해야 했지만, 경춘선 승강장은 달랐다. 게이트를 지나서 바로 왼쪽으로 걸어가다 보면 공중전화 부스를 지나치고도 더 걸어가면 나오는 게 경춘선 승강장이었다. 다시 말해 역사 왼쪽을 한참 지나가야 승강장이 있었다. 그래서 경춘선 열차에 타려고 할 때 시간이 약 5분 정도 남으면 무조건 뛰어야 했다. 게이트는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는데, 승강장은 반대편 끝을 지나가야 있었다. 경춘선 승강장만 특이했던 이유는 구역사 완공 당시 경춘선은 청량리역을 경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때의 경춘선은 [[성동역]]이 기점이었는데 [[광운대역|성북역]]을 거쳐 [[석관동]](정확히는 [[석계역]] 위치)에서 분기하여, 월곡동을 지나 현재의 [[제기동역]] 인근의 [[성동역]]에서 시발하였다. 그러다 1971년 서울의 도심철도정비사업으로 인해 성동역 ~ 성북역 구간을 폐지하고 기점이 성북역으로 바뀌었다. 성북역에서 시종착하던 일부 열차를 제외하고 대부분 경춘선 열차의 시종착역이 청량리역이 되었는데 이미 포화된 기존 승강장을 확장할 수 없어서 역사 쪽에 경춘선 승강장을 새로 만들었다. 그러다가 1990년대에 민자역사 계획이 나오고 1999년에 옛 역사 바로 옆에 임시 역사를 세웠다. 경춘선 승강장은 역사 대합실에서 상당히 멀어져서 언제나 뛰어야 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박용으로 쓰던 2번 승강장을 경춘선용으로 쓰기도 했다. 1999년 7월 임시역사 이전 직후 옛 역사에 [[패스트푸드]] 업체들이 입점했다. 한국에서 영업하는 '''4대 패스트푸드점 프랜차이즈인 [[롯데리아]], [[KFC/대한민국|KFC]], [[버거킹/대한민국|버거킹]], [[맥도날드/대한민국|맥도날드]]가 한 곳에서 영업을 하면서''' 사람들이 골라먹는 재미를 느꼈다. 햄버거를 파는 곳만 구획이 있고 나머지는 전부 오픈된 상태였다. 사진에는 가려서 보이지 않지만 오른쪽에 [[던킨도너츠]]도 있었다. 심지어 의자도 점포별로 색깔과 디자인이 다르기는 하지만 맥도날드에서 햄버거를 산 사람이 롯데리아에서 햄버거를 산 친구와 같이 KFC 의자에서 식사를 하는 것도 가능했다. 덧붙여 저 시기에는 맥도날드가 3,000원 런치타임 광고를 TV에서 한창 하고 있었는데 불고기버거 단품 가격이던 2,500원에 팔던 세트가 오전 11시~오후 2시에는 3,000원으로 오르기도 했다. 이 건물은 2007년에 본격적으로 민자역사 공사가 시작되면서 철거되었다. 그리고 민자역사시대에 여기서 유일하게 남은 패스트푸드점은 롯데리아 뿐이다. KFC도 있었지만 폐점하였고, 한때 역 앞에 있었던 노브랜드버거 역시 폐점되었다. 2006년 4월 25일에는 민자역사 건설 현장 사무소가 세워졌고, 2일 뒤인 4월 27일부터는 중간궤도 4개 선 철거 작업에 들어갔으며, 철거 뒤부터 기초 공사를 시작하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0147885|「청량리 민자역사 힘찬 삽질」]], 문화일보, 2006-04-27] 임시 역사의 플랩식 행선기가 매우 유명했다. 구 역사에 있던 걸 임시 역사로 그대로 옮긴 것이다. 구 역사 시절에는 역사 입구 쪽에 하나 더 있었다. 전국에서 마지막 플랩식 행선기가 설치되었던 역이다. KTX 개통 전까지만 해도 [[일반철도]]가 정차하는 역에서 플랩식 행선기가 흔했다. 그러다가 2004년 4월 KTX가 개통하면서 [[서울역]], [[용산역]], [[동대구역]], [[수원역]] 등 고속철도가 정차하는 역사의 리모델링을 실시하여 LED 행선기로 대거 교체되었으나, 당시 청량리역은 임시 역사를 운영하였기 때문에 아날로그식 플랩 행선기를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었다. 2010년 민자역사 완공 직후 임시역사는 철거됐다. 승강장에도 마찬가지로 플랩식 행선기가 설치되어 있었다. 대합실과 마찬가지로 거의 마지막까지 있었던 플랩식 행선기였다. 이 역시 2000년대 초반까지는 다른 철도역에서도 흔했으나, KTX 개통으로 역사를 리모델링하면서 모두 철거해서 결국 청량리역에만 남아 있었다. 승강장에 있던 행선기는 민자역사 건설 등의 이유로 인해 대합실에 있던 것보다 3~4년 이른 2007년쯤 철거되고 LED 행선기로 바뀌었다. 임시역사 사용 이전에는 승강장에 구역사와 연결되는 지하통로가 있었다. 임시역사가 사용되면서 지하통로의 기능이 상실되어 거의 방치하다시피 했고 민자역사 건설 하면서 설계 기획상 쓸모 없어지자 매몰시키면서 철거하였다. 2010년 3월 4일에 민자역사 역무동이 개업하고, 8월 18일에 [[롯데그룹]] 계열사가 들어온 민자역사가 완공되었다. 이로써 임시 역사는 약 10년 8개월간의 업무를 마치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https://railroad.tistory.com/15654396|관련 게시글]], 출처: 티스토리] 역사보다 롯데매장이 더 크다. 청량리역이 경북 북부 및 강원도, 충북 동북부 방면 열차의 출발역이었고 서울 동북부 주요 환승거점이어서 비록 쇠퇴했지만 부도심으로 기능했는데 이 상권을 노리고 지은 것이다. [[CENTRE PLAZA]] 청량리점은 본래 역 주변 구 대왕코너 자리에 있었지만 청량리역 민자역사를 신축한 후 이전했는데, 기존 백화점을 코앞에 두고 민자역사 구내로 이전하려는 까닭은 기존의 백화점 건물에서 [[화재]]가 수차례 일어났기 때문이다(관련 문서: [[대왕코너 화재사고]]). 또 다른 이유는 주차장 바로 뒤에 있는 [[청량리 588|전농동 588번지 홍등가]] 때문이었다. 청량리역 민자역사 준공 후 백화점이 민자역사 내 복합상업시설로 옮겨왔고 옛 [[CENTRE PLAZA]] 청량리점 건물에는 [[영풍문고]] 등이 입점해 있었는데 청량리4구역 재개발로 인해서 2016년 12월 31일을 마지막으로 영업을 종료한 후 결국 철거됐다. 민자역사를 건설한 [[한화그룹]]과 역사 내 상업 시설을 운영 중인 [[CENTRE PLAZA]]의 로고를 건물 외관에 부착하였다. 공사한 회사는 [[한화건설]]과 [[롯데건설]]이다. [[2010년]] [[11월 3일]]에는 삼풍백화점마냥 부실공사되었다는 [[2010년 제2의 삼풍백화점 괴담]]의 대상이 됐다. 2013년 4월 25일에는 9시 뉴스에 백화점 로고만 모자이크되어 등장하였다. 이 역에서 [[왕십리역]]으로 갈 때 [[신답철교]]로 [[청계천]]을 횡단한다. 2017년 12월에 [[강릉선]]가 개통되었고, 2021년 1월부터는 [[중앙본선]] 준고속열차도 운행 개시함에 따라 명실상부한 서울의 준고속열차 정차역 중 한 곳으로 위상이 상승했다. 기존에는 [[중앙선]], [[태백선]] [[무궁화호]], [[ITX-새마을]]나[* 강릉이나 영주 쪽 등의 중앙선, 태백선 연선과 영동선 연선으로 가려면 무조건 청량리역으로 와서 기차를 타야 했다.] [[경춘선]] [[ITX-청춘]] 위주로 운행되었지만 이제는 [[KTX]]가 정차함으로서 강원도[* [[태백선]] 연선 제외. 그래도 선형 개량 및 직선화로 [[태백선]] 연선도 소요시간이 이전에 비하면 꽤 단축된 편이고 특급도 운행 중이다.]나 경북 북부, 충북 북부 쪽으로 갈 때 KTX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소요 시간도 많이 단축되었다.[* 추후 [[경춘선]] 춘천 지구 개통으로 청량리역에 정차하는 준고속 계통이 하나 더 생길 예정이다.] 2번, 3번 출구는 멀찍이 떨어져 있어서 출입이 적다. 3번 쪽은 [[서울시립대]] 방면 이용객 소수와 [[동해철도]] 직원들의 흡연 장소로, 2번 쪽은 하행선 쪽으로 전망이 탁 트여 있고 역 동쪽으로 연결되는 구름다리가 있어 일반 승객들의 흡연 장소로 사용된다. 하루 2편 왕복으로 [[부산광역시|부산]] [[부전역(쌍도교통)|부전역]]을 잇는 [[무궁화호]]가 있다. 다만 이는 [[중앙선]] ↔ [[동해남부선]]을 직결하고 청량리역에서 경주역 구간을 완주한 뒤에 [[경주역]]에서 [[동해남부선]]으로 진입하여 [[부전역(동해선)|부전역]]까지 운행한다. 물론 [[근성열차/대한민국|근성열차]]이며, 1990년대 후반 비둘기호에서 통일호로 승격되었다가 2004년 4월 통일호 폐지와 동시에 무궁화호로 승격되었다. 비둘기호 및 통일호로 운행되던 시절 청량리역에서 부전역까지의 소요 시간은 최대 '''12시간'''이었으며, 통일호 시절 청량리-부전 운임은 약 1만원 정도로 비교적 저렴했다. 2004년까지 [[부산역]]에서 시종착했으나 KTX 개통을 앞두고 동해남부선 열차가 모두 부전역으로 단축되었다.[* 단, 청량리-부전 통일호(원래는 비둘기호) 열차의 경우 원래 부전역 시종착이었다.] 또한 80년대부터 있었다가 1996년 통일호에서 무궁화호로 승격을 거쳐 1999년까지는 청량리 - 중앙선 - 영천 - 동대구를 다니는 열차도 있었다. 그러다가 1999년 시간표 개정으로 모두 안동으로 단축됐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