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한양대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 주변 정보 == 역사 자체가 [[한양대학교]] 부지 내에 있는 형태이다. 2번 출구는 애지문이라고 불리는데, 애지문으로 나가면 학교 본관과 신본관이 바로 위치해 있다. 길 건너에는 [[문방구]], [[분식집]] 등이 몇 군데 있으며 캠퍼스 뒷쪽으로는 [[중랑천]]이 흐른다. 2호선이 한양대를 통과해서 한양대 통학이 쉬워졌지만, 의외로 [[한양대학교]] 입장에서는 한양대역 때문에 손해도 많이 봤는데, 원래 [[한양대학교]] 땅이었던 역사 상부 부지를 상실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예전엔 지하철의 진동 때문에 자연과학관에 정밀 기기를 설치하려면 진동 방지 때문에 돈이 배로 들었는데, 왜냐하면 당시 자연과학관은 전철역 바로 앞에 있었기 때문이다. 지하철 진동 때문에 자연과학관이 전철역에서 멀리 떨어진 산 꼭대기(지금의 인문관 바로 옆 자연과학관)으로 [[1990년대]] 초반 이전하고 구 자연과학관은 제2학생회관으로 용도를 바꾸었다. 또한 역사 바로 위에 해당되는 한양대학교 한마당(학생회관과 농구코트가 있는 곳) 일대에 서 있으면 열차가 지나갈 때 진동을 느낄 수도 있다. 2번 출구의 경우 2호선 공사 당시부터 이 출구가 계획되었지만, 개통 당시가 [[학생운동]]이 한창이던 무렵이라 [[운동권]] 학생들의 도주로가 될 수 있다고 하여 건설을 미뤘다는 소문이 있다. 당시의 한양대 학생운동의 전투력과 전술([[텍]])은 유명했지만 소문은 소문에 불과하고, 실제로는 [[경찰청 의무경찰]]들의 학내 침투 및 진압에 더 유리하다. [[1989년]] [[6월 29일]] 평양학생축전 남측 행사가 한양대에서 있었을 때, [[임종석]] 학생회장(현 정치인)의 전략으로 학생들이 철로에 뛰어들어 [[뚝섬역]]에서 철통 봉쇄된 한양대로 진입하는 장면(환상의 텍) 때문에 과장된 것이다.[* [[http://web.archive.org/web/20190812191215/http://nasanha.egloos.com/11025080|관련 게시글]], 2019년 8월 12일 [[http://nasanha.egloos.com/11025080|원본 페이지]]에서 보존된 페이지, 출처: 이글루스] 도망칠 때는 배수로로 달아났다고 한다. 그런데 이게 처음이 아니다. 원래 한양대 정문은 의대 앞쪽, 그러니까 차량 출입이 가능한 곳 하나밖에 없었다. [[1984년]] 지하철 2호선 개통 직후 1번 출구에서 가까운 쪽에 새로운 정문을 하나 더 만들었다. 원래 있던 정문은 구정문, 이 정문은 신정문이라고 부르게 된다. 하지만 [[2007년]]도에 담장을 헐고 분수대를 설치하면서 문이라는 구조물이 완전히 사라졌다. 결과적으로 정문이라고 하는 곳은 신정문과 구정문 사이에 있는 정원과 분수대와 기타 지역을 총칭하는 말이 되었고 현재 구성원들에게는 전설처럼 내려오는 이야기가 되었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0501010019|「[seoul in] 한양대 정문앞 담장 개방」]], 서울신문, 2007-05-01] 한양대학교에서는 이 문을 한양대학교의 교훈인 '사랑의 실천(愛之實踐)'에서 따온 '애지문(愛之門)'(사랑의 문)이라고 부르며, 이 출구를 나오면 눈 앞에 바로 한양플라자(학생복지관)와 한양대 본관이 나타난다. 또한 출구 안쪽 역사에서부터 'Welcome to Hanyang University'라는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아래쪽에 홍보 책자를 비치하였다. 애지문에서 한양대 쪽으로 올라가는 계단 가운데의 난간에 있는 목재 손잡이가 상당히 긁혀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일부 몰지각한 [[인라인 스케이트]] 및 [[스케이트보드]] 라이더들이 지하철이 영업을 하지 않는 심야 시간대에 난간 손잡이 위에서 슬라이딩을 하며 손잡이를 긁었기 때문이다. 심야에 지하철 입구 쪽 셔터는 내려지지만 [[한양대학교]] 쪽 계단은 24시간 개방되는 정문을 통해 접근이 가능하다. [[DJ DOC]]의 'Street Life' 뮤직비디오에 애지문 계단에서 이를 하는 장면이 나온다.[* [[https://www.youtube.com/watch?v=mMSHEdIURkA&t=218s|해당 영상(3분 37초경)]]] [[2015년]]경에 난간이 원상복구되었다. 한양대역 길 건너 육교로 연결된 4번 출구는 [[덕수고등학교]] 행당분교 담장과 붙어 있는데, [[1977년]]까지 이 곳은 [[서울교육대학교]] 캠퍼스였다. 서울교대가 당시로는 허허벌판인 서초동으로 이전하고 [[동대문운동장]] 인근 現 [[두산타워]] 부지에 있던 덕수상고가 이곳으로 이전한 것이다. [[2014년]]에는 [[포스코]] [[서울숲]]더샵이 입주하여 승차량이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실제 [[2016년]]에 유의미한 규모의 승차량 증가는 없었다. 더샵 아래의 [[엔터식스]]가 별로 인기가 없을 뿐 아니라 접근성이 떨어져 주민들의 지하철 이용빈도가 낮고 그나마 있는 이용객 또한 왕십리역과 분담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왕십리역]] [[엔터식스]]가 바로 400m 앞인 데다, 한양대 시가지와도 대형 교차로를 두고 조금 동떨어져 있다. 3번 출구 표지판에는 [[한양여자대학교]]가 안내되어 있으나, 실제 거리는 멀기 때문에 2번 출구를 통해 한양대학교 캠퍼스를 가로지르는 것이 훨씬 빠르다. 실제로는 [[용답역]]이 가까우나 용답역은 성수역에서 지선 환승을 해야 하는 큰 불편이 있다. 최선의 방법은 왕십리역에서 셔틀 버스를 타는 것이다. 주변 정보는 [[한양대학교/서울캠퍼스]] 문서에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