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239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성신여대입구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아무나이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4호선]][[분류:우이신설선]] {{{+1 '''誠信女大入口驛''' (敦岩)[br]'''Sungsin Women's Univ. Station''' (Donam)}}}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293896><tablebgcolor=#ffffff,#2d2f34> [[서울교통공사|[[파일:SeoulMetro_Wlogo.svg|height=50&align=left]]]][[서울교통공사|{{{#fff 서울교통공사}}}]][br]'''{{{#fff {{{+2 성신여대입구역}}}[br](돈암)}}}'''|| ||<width=120px><-2><:>[[당고개역|{{{-2 {{{#000000,#fff 당고개 방면}}}}}}]][br][[길음역|길 음]][br]← 1.0 km ||<|2><width=120px><-2><:><bgcolor=#00A4E3>[[서울 지하철 4호선|[[파일:SM-4.svg|height=20]][br]{{{#fff {{{-2 4호선[br]418}}}}}}]]||<width=120px><-2><:>[[남태령역|{{{-2 {{{#000,#fff 남태령 방면}}}}}}]][br][[한성대입구역|한성대입구]][br]1.0 km →|| ||<-2><bgcolor=#00A4E3> [[당고개역|{{{#ffffff {{{-3 ◀ 진접선 직통}}}}}}]] ||<-2><bgcolor=#00A4E3> [[남태령역|{{{#ffffff {{{-3 과천·안산선 직통 ▶}}}}}}]] ||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tablebgcolor=#ffffff,#2d2f34><bgcolor=#B7C450> [[우이신설경전철운영|[[파일:UI-UI.svg|height=50&align=left]]]] [[우이신설경전철운영|{{{#fff 우이신설경전철운영}}}]][br]'''{{{#fff {{{+2 성신여대입구역}}}}}}'''|| ||<width=120><:><-2>[[북한산우이역|{{{-1 {{{#000,#fff 북한산우이 방면}}}}}}]][br][[정릉역|정 릉]][br]← 1.2 ㎞ ||<-2><:><width=120><bgcolor=#B7C450>[[파일:UI-UI.svg|width=20]][br][[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2 {{{#fff 우이신설선[br]S120}}}}}}]]||<-2><width=120><:>[[신설동역|{{{-2 {{{#000,#fff 신설동 방면}}}}}}]][br][[보문역|보 문]][br]0.9 km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 지하102 (동선동4가 1)||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00A4E3> [[서울 지하철 4호선|{{{#ffffff 4호선}}}]] ||<-4>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theme=light]][[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width=180&theme=dark]]]] || ||<-2><bgcolor=#B7C450>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ffffff 우이신설선}}}]] ||<-4> [[우이신설경전철운영|우이신설경전철운영(주)]]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00A4E3> [[서울 지하철 4호선|{{{#ffffff 4호선}}}]] ||<-4> 1985년 4월 20일 || ||<-2><bgcolor=#B7C450>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ffffff 우이신설선}}}]] ||<-4> 2017년 9월 2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4호선]] 418번[* 개정 전 18번],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S120번.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 지하102 (동선동4가 1) 소재. == 역 정보 == 역명은 인근에 [[성신여자대학교]]가 있어서 붙여졌다. 병기역명은 '돈암'인데, 정작 법정동으로서나 행정동으로서나 이 역은 [[돈암동]][[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교통|에 있지 않다.]] 돈암1동은 [[길음역]] 쪽에 거의 붙어 있으며, 돈암2동은 이 역의 역세권이긴 하지만 역 북서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다. 이 역의 실제 주소는 법정동 상으로는 동선동4가로 사거리 기준 동선동1가 및 동소문동5·6가와 같이 걸쳐 있으며, 행정동 상으로는 삼선동으로 사거리 기준 동선동과 같이 걸쳐 있다. 원래 동소문동, 동선동, 삼선동은 모두 과거에 단일 법정동인 돈암동 관할이었으나 1963년 이들 동네들이 자잘한 법정동으로 쪼개지면서 행정구역이 저렇게 복잡하게 된 것이다. 실제로 지적도를 보면 동소문동과 동선동이 법정동 돈암동의 영역 가운데를 파먹는 특이한 형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원래부터 이 일대는 모두 같은 돈암동이었으며, 여전히 이 역 일대가 돈암으로 통칭된다. 또한 성신여대입구역이 있는 사거리는 오랫동안 [[서울 전차]]의 종점 중 하나로써, 돈암동 전차 종점이란 이름으로 매우 유명했다. (지적도 상의 법정동 편성을 직접 보고 싶다면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382091|링크 참조]].) 원래 돈암을 정식 역명으로 쓰려고 했다가 개통 직전 성신여대에서 로비를 벌여 돈암은 병기역명으로 밀려났다. 비록 돈암은 병기역명으로 밀려났지만, 2000년대 중반정도 까지만 해도 자주 돈암역으로 불렸다. 2017년 9월 2일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개통 후 환승역이 되었다.[* [[http://blog.naver.com/kwangjin58/60108790797|관련게시물, 2010-06-08, 네이버블로그]]] 우이신설선 신설동행 승강장에서 4호선 오이도행 승강장으로 가는 직접 환승통로에는 대형 38인승 [[엘리베이터]]만 3대 설치되어 있고 [[https://pbs.twimg.com/media/DIthBwlVYAANhCR.jpg|사진]]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는 4호선 당고개 방향 승강장을 경유하여 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오이도행 승강장으로 가는 환승통로에도 비상계단은 있다. 이에 대해 우려하는 의견도 있었지만 다행히 큰 혼잡이 발생하지는 않고 있다. 오히려 이 점 덕분에 환승 자체는 편하다. 일단 혼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단도 개방해 놓기는 한 상태다. 개통 초기 출근시간엔 좀 혼잡했으나 개통 2-3달이 지나면서 경험치가 쌓인 일부 이용객들은 출근시간대엔 알아서 당고개방향 에스컬레이터 경로로 우회한다. 상대식 승강장이지만 4호선 맞이방을 통해 승강장 횡단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30인승 이상 엘리베이터라고 해도 출근시간에 쏟아져 나오는 많은 사람들을 한번에 모두 감당할 순 없으며, 엘리베이터를 보내고 다시 내려오기를 기다릴 시간에 당고개 방면 환승통로로 우회하여 맞이방을 통해 오이도 방면 승강장으로 가는 편이 차라리 빠르다. 첫차, 막차 시간대에 인접한 [[한성대입구역]]에서 착발하는 열차가 있으나, 한 정거장 차이로 이 역에서는 이용할 수가 없다. 이 역을 이용하는 승객들은 [[창동차량사업소]]에서 출고하여 [[한성대입구역]]까지 [[회송]]하는 열차를 그냥 바라만 보고 있어야 하니 어쩔수 없다. 서울교통공사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병기역명 (돈암)까지 방송하지만, 남서울철도, 강원철도 전동차, 우이신설선 전동차에서는 성신여대입구 역명만 방송한다. == 승강장 == === [[서울 지하철 4호선]] === ||<-4> [[길음역|길음]] ↑ || ||<width=10px><bgcolor=#00a4e3> {{{#ffffff 하}}}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00a4e3> {{{#ffffff 상}}} || ||<-4> ↓ [[한성대입구역|한성대입구]] || ||<width=10px><bgcolor=#00a4e3> {{{#ffffff 상}}} ||<|2> [[파일:SM-4.svg|width=17]] [[서울 지하철 4호선]] ||[[길음역|길음]]·[[미아역|미아]]·[[창동역|창동]]·[[노원역|노원]]·[[진접역|진접]] 방면|| ||<width=10px><bgcolor=#00a4e3> {{{#ffffff 하}}} ||[[한성대입구역|한성대입구]]·[[동대문역|동대문]]·[[명동역|명동]]·[[금정역|금정]]·[[오이도역|오이도]] 방면|| 곡선 구간 한복판에 역이 지어져 열차와 승강장 사이 간격이 굉장히 넓으니 발 빠짐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가장 심한 곳은 사이 간격이 28cm인데 어린이는 사이에 발이 빠지기 쉽다. 그래서 이 역은 다른 4호선 역과 다르게 스크린도어 교체 작업을 하지 않았음에도 발빠짐 주의 안내음을 삽입했다. 내릴 때 승강장 사이를 조심하라는 멘트를 방송하는 기관사도 있을 정도이다. 참고로 곡선역으로 악명 높은 1호선 인천역의 열차와 승강장 사이가 '''30cm''' 이상인데 그곳과 비교해봐도 별로 차이가 안 난다. 곡선으로 악명 높은 3호선 충무로역이나 동대입구역, 5호선 발산역보다도 훨씬 넓다. 4호선 노선 중 유일하게 적벽돌 인테리어 디자인을 적용한 역사이다. 같은 노선인 삼각지역은 적벽돌 인테리어 디자인이 승강장 일부만 적용됐고 대부분 아이보리색상 타일이 채택되었다. 2011년에 냉방화공사를 진행했음에도 적벽돌 인테리어가 그대로 유지 중이며, 공사 당시에 구형 역명판[[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419083|#]]([[https://archive.is/cnu0O|@]])이 노출된 적이 있다.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4> [[정릉역|정릉]] ↑ || ||<width=10px><bgcolor=#b7c450> {{{#ffffff 하}}}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b7c450> {{{#ffffff 상}}} || ||<-4> ↓ [[보문역|보문]] || ||<width=10px><bgcolor=#b7c450> {{{#ffffff 상}}} ||<|2> [[파일:UI-UI.svg|width=17]]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삼양사거리역|삼양사거리]]·[[화계역|화계]]·[[4.19민주묘지역|4.19민주묘지]]·[[북한산우이역|북한산우이]] 방면|| ||<width=10px><bgcolor=#b7c450> {{{#ffffff 하}}} ||[[보문역|보문]]·[[신설동역|신설동]] 방면||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SM-4.svg|width=20]] [[서울 지하철 4호선]] || ||<-2><width=34%> [[당고개역|{{{-2 {{{#000,#fff 당고개 방면}}}}}}]][br][[길음역|길 음]][br]← 1.0 km ||<-2><width=32%><bgcolor=#00A4E3><color=#fff> {{{-1 각역정차[br]各驛停車}}} ||<-2><width=34%> [[오이도역|{{{-2 {{{#000,#fff 오이도 방면}}}}}}]][br][[한성대입구역|한성대입구]][br]1.0 km →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UI-UI.svg|width=20]]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2><width=34%> [[북한산우이역|{{{-2 {{{#000,#fff 북한산우이 방면}}}}}}]][br][[정릉역|정 릉]][br]← 1.2 ㎞ ||<-2><width=32%><bgcolor=#b7c450><color=#fff> {{{-1 각역정차[br]各驛停車}}} ||<-2><width=34%> [[신설동역|{{{-2 {{{#000,#fff 신설동 방면}}}}}}]][br][[보문역|보 문]][br]0.9 km →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239)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239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