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7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영동본선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아무나이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영동본선]] ||<-2><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0ab84>{{{#!wiki style="margin: 0px -5px" [[강원철도|[[파일:KANGWON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강원철도|{{{#ffffff 강원철도}}}]]}}}|| ||<-2><)><bgcolor=#C9252B>{{{#!wiki style="margin: 0px -5px" [[쌍도교통|[[파일:Ssangdo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쌍도교통|{{{#ffffff 쌍도교통}}}]]}}}|| ||<-2><tablebgcolor=white,#2d2f34><:>{{{+1 '''{{{#5EAD3A 영동}}}{{{#ff7e1c 본선}}}'''}}}[br]{{{#5EAD3A 領東}}}{{{#ff7e1c 本線}}}|{{{#5EAD3A Yeongdong}}} {{{#ff7e1c Main Line}}}|| ||<-2><bgcolor=#5EAD3A> {{{#fff '''노선 정보'''}}} || ||<width=90px> '''분류''' ||간선 || || '''기점''' ||[[영주역]] || || '''회사경계역''' ||[[철암역]] || || '''종점''' ||[[동해역]] || || '''역 수''' ||30 || || '''개업일''' ||1940년 8월 1일 || || '''소유자''' ||<|2>[[강원철도|[[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width=180&theme=light]][[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width=180&theme=dark]][br]{{{#262626,#ddd 강원철도}}}]][br][[쌍도교통|[[파일:쌍도교통 로고.png|width=180&theme=light]][[파일:쌍도교통 로고_White.png|width=180&theme=dark]][br]{{{#C9252B 쌍도교통}}}]] || || '''운영자''' || || '''운용차량''' ||[[강원철도 817계 전동차]][br]강원철도 683계 전동차[br]4400호대 디젤기관차[br]쌍도교통 전동차 || || '''차량기지''' ||강릉차량관리단 제천차량소[br]강릉차량관리단 동해차량소|| ||<-2><bgcolor=#ff7e1c> {{{#fff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147.6km || || '''궤간''' ||1,435mm || || '''선로 수''' ||단선|| || '''급전방식''' ||비전화 || || '''신호방식''' ||ATS-S1, S2 || || '''최고속도''' ||영주~동백산: 100km/h[br]동백산~도계: 90km/h[br]도계~동해: 100km/h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영주시]]와 [[강원도]] [[동해시]]를 연결하는 [[철도]]노선이다. 강원도 영동 지방으로 가는 철도라 영동선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전 구간 전철화되어 있고, [[영주시]] [[영주역]] - [[봉화군]] [[봉화역]] - [[태백시]] [[동백산역]] - [[삼척시]] [[도계역]] - [[동해시]] [[동해역]]을 경유하며 영주시 영주역에서 [[경북본선]] 및 [[중앙본선]], 태백시 동백산역에서 [[태백본선]], 동해시 동해역에서 [[동해본선]]과 접속한다. == 역사와 현황 == [[1940년]] 8월 1일에 삼척철도주식회사의 도계~묵호[* 현 묵호항역] 구간과 도계~철암 구간이 동시에 개통되었다. [[1955년]]에 영주~철암 구간이 개통되어 영암선[* [[영암고속]]의 '영암'이 바로 이것에서 유래되었다.]으로 명명되었으며, [[1962년]]에 묵호~경포대(동해북부선) 구간이 완공되고 통리~심포리 구간이 [[1963년]]에 [[황지본선]]이라는 이름으로 개량되자 통합하여 영동선으로 하였다. 나한정~흥전~심포리 구간에 한국 최후의 [[스위치백]]이 있었으며 1963년까지 있었던 [[강삭철도|인클라인]][* 여담이지만 황지본선 개통 전에 심포3터널이 있었는데 개통 후 심포리역 이설과정에서 일부가 철거되었다. 다행히 한쪽은 흔적이 남았고 반대편은 철거과정에서 매몰되었다.]은 [[황지본선]]이라는 이름으로 수많은 터널을 뚫어서 대체하였다.[* 통리역과 심포리역 사이에서 북쪽으로 갔다가 U턴해서 다시 남쪽으로 내려간 까닭이다.] 1979년에 강릉 ~ 경포대 구간이 폐지되었다. [youtube(CYDZL_cuzBY)] 전철화를 시작하여 1975년 12월 철암 ~ 동해, 1997년 3월 [[https://www.youtube.com/watch?v=J2c793dAg-o|영주 ~ 철암]], 2005년 9월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0125565?sid=102|동해 ~ 강릉]] 구간이 끝났다. 2012년에는 동백산~도계 구간을 통째로 대체하는 [[솔안터널]] 구간을 완공하였다. 워낙 산세가 험하다 보니 산사태 위험이 많다. [[2016년]] [[7월]] 경에 강원지방에 큰 비가 쏟아져 산사태 및 낙석 위험으로 [[분천역]]~[[철암역]] 간의 여객수송이 일시 중지된 적이 있다. 승객들은 분천역, 혹은 철암역에서 하차한 후 [[한국철도공사]] 쪽이 준비한 버스로 각각 철암역과 분천역으로 이동하여 미리 도착한 기차에 탑승했다. 이는 소백·[[태백산맥]]의 험준한 산령을 넘는데다가 과거 건축기술의 한계 때문에 그렇다. 그 결과 영주~강릉 무궁화호가 3시간 20분이 걸렸고 이마저도 과거 4시간에서 줄어든 것이다. [[근성열차/대한민국#s-2.1.2.2|부전~동해 무궁화호]]는 무려 8시간이나 걸렸다. 2013년 4월부터 [[중부내륙순환열차]]와 [[백두대간협곡열차]] 운행이 시작되었고 이 두 열차는 폭발적인 인기를 얻어 관광객들을 대거 모으는 데에 성공, 이 노선의 수익성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줬다. 2023년 7월 15일, [[2023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7월|집중호우]]로 인해 법전~춘양 구간의 선로노반이 유실되었다. 이로 인해 복구에 상당한 시간(6개월)이 걸렸으며 영주 ~ 동백산 구간에 대체버스[* 영주 무궁화관광과 영주관광 차량이 주로 투입되었다.]를 1일 4회(편도 기준)[* 영주역 출발 08:25, 13:20, 15:40, 20:10, 동백산역 출발 08:40, 12:10, 17:00, 19:25] 운행했다.[* 이용 방법은 이용일 당일, 출발역 창구에서 버스승차권을 발권받아 역광장의 임시정류장에서 승차하면 됐다.] 2024년 1월 8일 부로 복구 공사가 완료되어 폐지. 동해~안인 구간은 열차 안에서 바다를 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구간이다.[* 다른 곳은 [[인천국제공항철도]] [[영종대교]], [[수인선]] 소래철교가 있다.] 그리고 KTX 운행 구간들 가운데 유일하게 열차 내에서 바다를 볼 수 있다.[* 전라선은 2011년에 선로 개량으로 만성리해수욕장 구간이 없어졌고, 동해선 해운대구 구간도 2013년에 신선 이설이 완료되어 바다를 못 본다. 그나마 월포역과 장사역에서 겨우 보일 정도이고, [[월내역]] 부근은 이설 구간에서도 볼 수 있다.] 험지를 지나가다보니 태백선과 마찬가지로 BT급전 방식을 채택하였는데 이 때문에 변압기 용량이 작고 급전구간이 4km 내외로 짧다. 그래서 8000호대가 대거 운용되던 과거에는 열차간 교행 시 정거장에 먼저 도착한 열차가 MCB를 차단하고 대기하였다고 하며, 이는 8000호대가 운행하면서 발생하는 고조파(高調波), 전압강하 등에 의해 같은 섹션내 전기차량의 전기·전자기기 고장을 방지하기 위함이었다. == 개량 == === 동백산 ~ 도계 === 대한민국 철도 노선 가운데 험한 축에 속하는 구간이다. 큰 고저차로 인해 일제강점기에는 한량 한량 분리해서 [[강삭철도]](인클라인)로 오르내렸다. 그러다가 박정희 정권 들어서 [[스위치백]]이 포함된 우회로인 "황지본선"을 개설했다. 이 우회로는 강삭철도보다는 나았지만 여전히 표정속도와 선로용량이 나빴다. 게다가 한창 경제개발할 때에 지어진 터라 터널에 금이 가고 물이 새는 등 붕괴 징조까지 나타나자 '''"어차피 계속 고쳐써야 하니 이 참에 화끈하게 새로 만들어 버리자!"'''는 취지로 2001년 7월에 공사를 시작해 2006년 12월에 [[솔안터널]] 관통, [[http://www.ytn.co.kr/_ln/0103_200612071843330134|#]] [[2012년]] 6월 27일에 개통하였다. 이로 인해 기존 황지본선이 폐지되었고, 그곳에 있었던 [[통리역]], [[심포리역(영동선)|심포리역]], [[흥전역]], [[나한정역]] 역시 폐쇄되었다. == 역 목록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bordercolor=#003764><rowbgcolor=#003764><rowcolor=#ffffff> ㎞ ||<-2> 역명 || 운행계통 || 등급 || 환승 노선 ||<-2> 소재지 || || 0.0|| [[영주역|영주]] || 榮州 ||KMVF || ⊙ ||[[중앙선]][* [[북영주삼각선]]이 폐선되면서 영동선에서 중앙선 [[제천역|제천]] 방면으로 가기 위해서는 영주에서 환승이 필요하다.] ||<|2> [[영주시]] ||<|16> [[경상북도]] || || 1.8|| [[북영주신호소|북영주]] || 北榮州 || || † || || || 9.0|| [[문단신호장|문단]] || 文丹 || || ‡ || ||<|14> [[봉화군]] || || 14.7||<bgcolor=#f55839> [[봉화역|{{{#ffffff 봉화}}}]] || 奉化 ||Mv || ○ || || || 20.2|| [[거촌역|거촌]] || 巨村 || || ◑ || || || 25.7|| [[봉성역|봉성]] || 鳳城 || || ◑ || || || 32.7|| [[법전역|법전]] || 法田 || || ◑ || || || 37.9||<bgcolor=#f55839> [[춘양역|{{{#ffffff 춘양}}}]] || 春陽 ||Mv || ⊙ || || || 42.7|| [[녹동신호장|녹동]] || 鹿洞 || || ‡ || || || 47.6||<bgcolor=#f55839> [[임기역|{{{#ffffff 임기}}}]] || 林基 ||m || ◑ || || || 52.7||<bgcolor=#f55839> [[현동역|{{{#ffffff 현동}}}]] || 縣洞 ||m || ◑ || || || 59.3||<bgcolor=#f55839> [[분천역|{{{#ffffff 분천}}}]] || 汾川 ||mVE || ○ || || || 63.5|| [[비동역|비동]] || 肥洞 || || ◎ || || || 65.5||<bgcolor=#f55839> [[양원역(영동선)|{{{#ffffff 양원}}}]] || 兩元 ||mVE || ◎ || || || 69.2||<bgcolor=#f55839> [[승부역|{{{#ffffff 승부}}}]] || 承富 ||MVE || ◑ || || || 76.8||<bgcolor=#f55839> [[석포역|{{{#ffffff 석포}}}]] || 石浦 ||MEF || ○ || || || 83.0|| [[동점역|동점]] || 銅店 || || ◑ || ||<|7> [[태백시]] ||<|27> [[강원특별자치도]] || || 87.0||<bgcolor=#f55839> [[철암역|{{{#ffffff 철암}}}]] || 鐵岩 ||MVEF || ○ || || ||<|2> 91.3|| [[백산역|백산]] || 栢山 || || ◑ || || ||<-5><#f5f5f5> ▼ ''[[태백선]] 분기 ([[태백역|태백]] 방면)'' || ||<|2> 93.1||<-5><#f5f5f5> ▲ ''[[태백삼각선]]을 통해 [[태백선]]과 연결 ([[태백역|태백]] 방면)'' || ||<bgcolor=#f55839> [[동백산역|{{{#ffffff 동백산}}}]] || 東栢山 ||ME || ○ || || || 103.1|| [[솔안신호장|솔안]] || 솔안 || || ‡ || || || 111.3||<bgcolor=#c30e2f> [[도계역|{{{#ffffff 도계}}}]] || 道溪 ||XMEF || ○ || ||<|8> [[삼척시]] || || 116.1|| [[고사리역|고사리]] || 古士里 || || ◑ || || || 117.0|| [[하고사리역|하고사리]] || 下古士里 || || ◑ || || || 121.3|| [[마차리역|마차리]] || 馬次里 || || ◑ || || || 126.8||<bgcolor=#f55839> [[신기역(영동선)|{{{#ffffff 신기}}}]] || 新基 ||mE || ○ || || || 131.9|| [[상정신호장|상정]] || 上鼎 || || ‡ || || || 136.6|| [[미로역|미로]] || 未老 || || ◑ || || || 140.1|| [[도경리신호장|도경리]] || 桃京里 || || ‡ || || ||<|3> 147.7||<-2><#f5f5f5> ▲ ''[[삼척선]] 분기 ([[추암역|추암]] 방면)'' ||<-3><#f5f5f5> ▲ ''[[북평선]] 분기 ([[삼화역|삼화]] 방면)'' ||<|7> [[동해시]] || ||<bgcolor=#003da5> [[동해역|{{{#ffffff 동해}}}]] || 東海 ||KXMNEF || ⊙ || || ||<-5><#f5f5f5> ▼ ''[[묵호항선]] 분기 ([[묵호항역|묵호항]] 방면)''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7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7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