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7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제천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아무나이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충청북도의 철도역]][[분류:중앙본선]][[분류:태백본선]][[분류:중앙 쾌속선]][[분류:치악산선]][[분류:충북선]]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08080><width=65px><bgcolor=#808080> '''{{{#ffffff {{{-1 폐역}}}}}}''' || '''제천''' - ~~[[장락역|[ruby(장락, 1967~2013)]]]~~ - ~~[[송학역(태백선)|[ruby(송학, ruby=1949~2013)]]]~~ - [[입석리역|{{{#000,#fff 입석리}}}]] || {{{+1 '''堤川驛'''[br]'''Jecheon Station'''}}}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0ab84><tablebgcolor=#ffffff,#2d2f34> [[강원철도|[[파일:KANGWON_Wlogo.svg|height=50&align=left]]]][[강원철도|{{{#fff 강원철도}}}]][br]'''{{{#fff {{{+2 제천역}}}}}}'''|| ||<width=120px><-2><:>[[서원주역|{{{-2 {{{#000000,#fff 서원주 방면}}}}}}]][br][[봉양역|봉 양]][br]← 6.9 km||<|2><width=120px><-2><bgcolor=#0074bf><:>[[중앙본선|{{{-2 {{{#fff 중앙본선}}}}}}]]||<|4><width=120px><:><-2>{{{#gray 시종착}}}|| ||<-2><bgcolor=#0074bf><:>[[서원주역|{{{#ffffff {{{-3 ◀ 중앙 쾌속선 직통}}}}}}]]|| ||<width=120px><-2><:>[[서원주역|{{{-2 {{{#000000,#fff 서원주 방면}}}}}}]][br][[봉양역|봉 양]][br]← 6.9 km||<|2><width=120px><-2><bgcolor=#eb5c01><:>[[치악산선|[[파일:DH-KC.png|width=20]][br]{{{-2 {{{#fff 치악산선[br]KC31}}}}}}]]|| ||<-2><bgcolor=#eb5c01><:>[[서원주역|{{{#ffffff {{{-3 ◀ 중앙 쾌속선 직통}}}}}}]]|| ||<width=120px><-2><:>{{{#gray 시종착}}}||<width=120px><-2><bgcolor=#75787A> [[태백본선|{{{#fff {{{-2 태백선}}}}}}]] ||<width=120px><:><-2>[[동해역|{{{-2 {{{#000000,#fff 동해 방면}}}}}}]][br][[입석역|입 석]][br]13.7 km →|| ||<width=120px><-2><:>[[대전역|{{{-2 {{{#000000,#fff 대전 방면}}}}}}]][br][[봉양역|봉 양]][br]← 6.9 km||<width=120px><-2><bgcolor=#70AD47> [[충북선|{{{#fff {{{-2 충북선}}}}}}]] ||<width=120px><:><-2>{{{#gray 시종착}}}|| ||<-2><:>{{{#gray 시종착}}}||<width=120px><-2><bgcolor=#00B1EB><:>[[중앙본선|[[파일:SD-GJ.png|width=20]][br]{{{-2 {{{#fff 중앙본선[br]GJ01}}}}}}]]||<:><-2>[[영주역|{{{-2 {{{#000000,#fff 영주 방면}}}}}}]][br][[고명역|고 명]][br]3.9 km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 [[충청북도]] [[제천시]] 의림대로 1 (영천동) ||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0074bf> [[중앙본선|{{{#ffffff 중앙본선}}}]] ||<|5><-4> [[강원철도|[[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width=180&theme=light]][[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width=180&theme=dark]]]] || ||<-2><bgcolor=#eb5c01> [[치악산선|{{{#ffffff 치악산선}}}]] || ||<-2><bgcolor=#75787A> [[태백본선|{{{#ffffff 태백선}}}]] || ||<-2><bgcolor=#70AD47> [[충북선|{{{#ffffff 충북선}}}]] || ||<-2><bgcolor=#00B1EB> [[중앙본선|{{{#ffffff 중앙본선}}}]]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00B1EB> [[중앙본선|{{{#ffffff 중앙본선}}}]] ||<-4> 1941년 9월 1일 || ||<-2><bgcolor=#75787A> [[태백본선|{{{#ffffff 태백본선}}}]] ||<-4> 1955년 12월 30일[* 영월선으로써의 개업일] || ||<-6><bgcolor=#c0c0c0,#383b40> '''철도거리표''' || ||<-2><:>[[청량리역|{{{-2 {{{#000,#fff 청량리 방면}}}}}}]][br][[제천조차장]][br]← 2.4 ㎞||<colbgcolor=#f5f5f5,#373a3c><-2><:>'''[[중앙본선]]'''[br]제 천||<-2><:>[[모량신호장|{{{-2 {{{#000,#fff 모량 방면}}}}}}]][br][[고명역|고 명]][br]3.9 km →|| ||<-2> {{{#gray 시종착}}} ||<colbgcolor=#f5f5f5,#373a3c><-2> '''[[태백본선]]'''[br]제 천 ||<-2><:>[[백산역|{{{-2 {{{#000,#fff 백산 방면}}}}}}]][br][[입석역|입 석]][br]13.7 km →|| ||<-2><:>[[제천조차장|{{{-2 {{{#000,#fff 제천조차장 방면}}}}}}]][br][[제천조차장]][br]← 2.4 ㎞||<colbgcolor=#f5f5f5,#373a3c><-2><:>'''[[중앙본선/제천조차장 지선|{{{-1 중앙본선}}}[br]제천조차장 지선]]'''[br]제 천||<-2><:>{{{#gray 종점}}}|| [목차] [clearfix] == 개요 == ||<tablewidth=360px><tablebordercolor=#262626><tablebgcolor=#ddd,#2d2f34><bgcolor=#262626> '''{{{#fff 기본 정보}}}''' || ||<bgcolor=#ffffff,#2d2f34><:>{{{#!wiki styl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6><tablewidth=100%><tablebgcolor=#ddd,#2d2f34><bgcolor=#262626> '''{{{#fff 관리역 등급 영업사업소}}}''' || ||<bgcolor=#fff,#2d2f34><-6> 업무위탁역[br]([[제천조차장역]] 관리 / 강릉본사) || }}}}}}}}}|| ||<bgcolor=#262626> [[강원철도|[[파일:KANGWON_Wlogo.svg|height=30]]]] || [[중앙선]]과 [[태백선]]의 철도역이자 일부 [[충북선]] 열차의 시종착역. [[충청북도]] [[제천시]] 의림대로 1 (영천동 254-15) 소재. >'''한약냄새 그윽하던 맞이방이 유리궁전으로''' >제천역은 1941년 9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이후 한 차례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는데 1971년부터 약 48여 년 간 제천을 오가는 사람들을 맞이해온 옛 제천역사가 바로 그것이다. 옛 제천역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그 형태보다 냄새로 역을 떠올릴 것이다. 바로 약초 냄새이다. 약초의 고장이었던 제천역에는 맞이방 옆에 제천 한방특산품 판매점이 있어 그 씁쓸하고 향긋한 냄새가 역의 상징이 되었다. 그리고 제천과 강원도 원주를 연결하는 중앙선 복선전철화에 따라 옛 제천역사가 철거되며 새로운 제천역사가 들어서게 되었는데, 새로운 역사는 의림지, 제천향교 등 제천지역 역사문화의 상징성을 나타내며 전면 투명창 커튼월을 설치하여 철도 중심지 제천의 열린 개방성을 나타내고 있다. >---- >[[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 == 역 정보 == [[충청북도]] 북부의 화물 거점역. 승강장 규모는 현재 여객취급을 하고 있지 않은 승강장까지 포함하여 3면 6선이다. 또한 2,3번 승강장에는 고상홈도 설치되어 있다. [[제천시]]의 대표역이자 중앙역도 겸하고 있다. 지금은 도로교통에 밀려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중앙선 복선전철화 사업의 향방과 완공 여부에 따라 다시금 괄목할 것으로 점쳐지는 곳이기도 하다. 특히 [[중앙선 KTX]] 개통에 따라 관광을 목적으로 방문하는 사람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구내에 충북본부, 제천기관차·열차승무사업소, 제천차량사업소가 있고 인근에 [[대전철도차량정비단#s-3.2|대전철도차량정비단 동력차정비센터]][* 2010년 이전까지는 이곳에 철도아파트와 더불어 영천동 마을 일부가 있었다.] 등이 있다. 8085, 8088, 8089, 8090호가 대전철도차량정비단으로 회송되었다가 2020년 고철 매각되었고 8086호와 8102호만 잔존 중이다. 승차권 자동발매기가 설치되어 있어 MS승차권 및 입장권을 발권받을 수 있다. === 구 역사(~2020년) === 구 역사의 역내 종합관광안내소가 위치한 곳은 원래 2000년대 중반까지는 500원, 1000원을 넣으면 15분, 30분을 사용할 수 있는 [[PC]] 시설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이용률이 저조해져 별반 수익을 얻을 수 없게 되자 결국엔 철거되었고 한동안 빈 공간으로 남아있다가 여러 다양한 시설들([[농협]]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이라든지…)을 거쳐 스토리웨이 제천역점과 종합관광안내소가 들어서서 역 실내가 다소 좁아졌다. 오른쪽은 2000년대 후반부터 불어닥친 웰빙 바람과 시에서 추진하는 한방 약초 관련 산업과 결합시켜 한방약초특산품 판매장이 입주했었으며 가끔 타 지역 역으로도 출장판매서비스(..)를 나가기도 하였다.[* 지금도 [[청량리역]]에서 간혹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맞이방으로 들어가다 있는, 개인 수하물 보관소나 음료 자판기 등이 위치했던 빈 공간을 절반 잘라서 2014년 4월 즈음해 자그마한 커피주문점이 생겼다가 구 역사 철거해체 몇 주 전에 사라졌다. 승차권 수거 시설과 열차도착안내 전광판만이 있었던 과거 제천역 출구에는 2014년을 전후해 코레일스토리라운지를 조성해서 출구와 휴식 공간, 미니 전시관[* 아닌 게 아니라 옛적 철도청 시절 제천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 일대에서 쓰였던 자석식 전화기나 신호뇌관, 객화차 부속품 등의 철도 관련 물품들이 몇 점 전시되어 있다. 심지어 통표폐색기도 전시하였다. 한때는 전철기도 전시되어 있었지만 통표폐색기와 함께 잠시 철거되었고, 이후 통표폐색기만 다시 재전시되었다. 그리고 스토리라운지 바로 바깥 구석에는 스위치백 철도모형이 있었다.]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끔 탈바꿈했다. 열차 시간이 되어 혼잡할 때를 제외하고, 시간이 남는다면 이곳을 천천히 둘러볼 수 있었을 정도. 출구로 나오다 보면 오른쪽 출입문으로 한방약초특산물 판매장으로 들어갈 수도 있고, 바로 그 앞에는 커피 등의 음료와 간단한 간식거리를 파는 매점도 있었으나 구 역사 철거해체 개시 한참 이전부터 샷다 내리고 휴업하던 상태였다. 본래 제천역에도 역사 최우측에 [[TMO]]가 있었고, 이 TMO는 제 5 철도대 소속으로 제천 인근 지역 군 부대의 장병들 수송에 일대 편익을 주었지만 국군수송사령부 예하 철도대 통폐합 작업으로 TMO들이 축소되면서 공식 사무실은 같이 폐쇄되었다. 그 뒤를 이어 입주한 것은 국토교통부 예하 제천철도경찰센터인데 영주지방경찰대 소속이다. 하긴, 제천역도 원래 영주지방철도청 관할이었으니. 이름은 충북본부라고 하고 있지만 충청도 보다 강원도 관할 구역이 더 많다. 2009년 지사 통합추진으로 강원이나 경북으로 편입될 뻔한 위기가 있었으나 지역 주민의 반대로 존치하였던 사례가 있었다. 그러나 2020년 9월을 끝으로 충북본부는 한국철도공사의 조직축소에 따라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로 흡수·통합되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913_0001164039&cID=10806&pID=10800|이에 대하여 지역 사회에서는 반발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중이다.]] 상술한 대부분의 이야기는 2017년 11월 구역사 철거 직전까지의 이야기로 이제는 과거가 되었다. 신역사로의 재건축을 위해 기존 역사를 폐쇄하고 철거하고 옆에 임시역사를 만들어 운영했다. 2020년 5월 29일 오전 0시를 기해 임시역사 바로 뒤에 있는 신역사에서 여객업무를 시작했다. 이후 2020년 말에는 1번 홈과 역 광장 등의 공사를 완료했다. 구 역사는 [[윤고딕]] 360 역명판을 사용했던 적이 있었다. 신역사로 변경되면서 평범한 간판형 서울남산체 입간판으로 교체되었다. === 역사 재건축 문제 === 구 제천역사는 1971년 건축된 것을 47년간 고치고 고쳐 쓰고 있었는데 좁은 공간과 노후화를 리모델링으로 고쳐 쓰기엔 한계에 다다른 상황이라 2000년대 이후 계속해서 신축해달라는 시민들과 정치권의 요구가 있어왔다. 2010년대 들어와서 제천 - 원주, 제천 - 쌍용, 제천 - 도담간 복선전철화 공사와 맞물려서 본격적으로 역사 신축이 추진되었는데 [[새누리당]] 소속 국회의원 [[송광호]]가 제천역 건물을 제대로 된 2층 건물로 신축하기로 [[국토교통부|국토해양부]]와 협의했었다. 지역구에 뿌린 홍보물에 실린 조감도를 보면 아예 제천역 구내를 횡단할 수 있게 육교까지 설치할 모양이었는데 해당 의원이 19대 총선을 앞두고 배포한 공약집에 이 공약이 삭제되어버렸다. 희망고문 후 사라져버린 이 공약은 뜬금없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7401296|제천역사를 신축하겠다는 한국철도시설공단의 발표로 하여금 부활할 낌새를 보이고 있다.]] 기사에 따르면 이미 2014년 12월에 설계 용역을 발주했고 올 7월 즈음해서 공정에 들어갈 것이라고... 우선은 신축과 더불어 역 구내 전체를 가로질러 강제동 일대와 역이 위치한 영천동을 하나로 잇는 육교까지 건설할 계획이라고 지난 7일 주민설명회에서 밝혔다. 주민들은 주변 [[역세권]] 개발까지 아울러 주문했다는 후문. 실제로 2017년 6월 1일자로 한국철도시설공단 홈페이지의 입찰공고에 제천역 신축공사가 올라왔다. 설명회에 참여한 모 인사의 발언에 따르면 제천시에서는 육교 건설 시 무빙워크 설치 요청, [[제천시외버스터미널]] 및 [[제천고속버스터미널]]과의 연계를 고려한 설계 요청, 또한 지어진 지 오래되어 흉물이 된 철도관사에 대한 처리를 주문했다고 한다. 이 덕에 잠시 이 일대에 재개발 소문도 돌고 20대 총선 당시 출마한 여야 의원들의 공약에 일정 부분 반영되어 공약집에 '제천역 개축' 등으로 또다시 실리는 영광을 거두었다. 그러나 [[티스푼 공사]]로 지지부진. 게다가 그 공약들을 내걸어 당선된 [[권석창]] 의원이 하필 비리 혐의로 수사를 받게 되어 반쯤 정지 상태...였다가 제천역 임시역사 건설 시작과 동시에 다시금 박차를 가했다. 2017년 11월 당시 국회의원인 [[권석창]] 의원의 보도자료에서 새로운 제천역의 조감도가 발표되었다. 지상 3층 규모에 109면의 주차시설을 갖춘 신역사를 건설하기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3&aid=0008277493|확정되었다.]] 그렇지만 2018년 10월에 들어와서는 이 확정안 중 제천역 구내 횡단 보도육교 건설안이 포함되지 않았다며 문제시했다. [[http://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554957|#]] 일단 보도육교 건설에는 추가로 30억 원이 필요했다고. 2017년 11월 24일 구역사가 폐쇄되고 임시역사가 준공되었다. 당초 임시역사는 신역사가 준공될 때까지 약 1년간 사용될 예정이었으나 신역사 건설이 이런저런 사정으로 계속 연장되면서 임시역사의 영업수명은 2020년 5월 29일 0시까지 계속 연장되었고 그나마도 물리적으로는 연명했다.(..) 그리고 종래의 옛 승강장들은 고상홈 공사 관계로 순차적으로 폐쇄되었다가 공사가 끝난 순서대로[* 1, 2번 승강장 폐쇄 및 고상홈 공사/3, 4번 승강장 운용 → 1, 2번 승강장 재개방/3, 4번 승강장 폐쇄 및 고상홈 공사 → 1, 2번 승강장 운용/3, 4번 승강장 운용 으로 이뤄졌다.] 다시 차례대로 재개방되어 운용되었다. 한때 충북선 열차는 과거 구 역사 철거 직전까지 방치되었던, 제천역 부속 시설 중 유일무이한 목조 시설이었던 소화물취급소를 허문 터와 부속 선로 일부를 철거한 터를 이용해 만든 임시승강장에서 승, 하차하였지만 2019년 9월 24일부로 1 ~ 4번 승강장 모두 고상홈 개량 공사가 끝나 다시 개방되면서 임시승강장은 폐쇄되었다. 향후 이 임시승강장이 고상홈 1번 승강장으로 재시공할 계획으로 이를 반영해 고상홈으로 개조된 기존의 승강장 번호는 하나씩 뒤로 밀려난 2 ~ 5번으로 조정되었다.[* 현재 1번승강장은 저상홈으로 충북선 열차 승강장으로 사용중이다.] 2018년 12월 들어와서 신역사 건축에 문제가 생겼다. 본디 계획상으로는 2019년 2월에 완공된다는 것이었지만 공사 진행 과정에서 하도급업체의 미지급금 문제가 겹쳐 타절 정산이 이뤄지는 바람에 공사가 지체되었다. 관계자들은 대체할만한 현장 건설업체를 최대한 시급히 구해서 공기 손실을 줄이겠다고는 했지만 이로 인해 이미 2개월 정도 공사가 중단되었으며 3개월 가량 공사가 더 미뤄질 수 있다고 했다. [[http://www.cc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552446#08W8|#]], [[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3640|#]] 즉, 종래의 2019년 2월 완공 계획이 2019년 5월 완공으로 미뤄질 수 있었다는 이야기. [[국가철도공단|한국철도시설공단]] 측에서는 제천역사 신축공사 현장을 특별히 관리하였으며 협력업체의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원도급사와의 협의를 마치는 등 이미 조치가 완료되었으며 손실된 공기를 회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http://www.kr.or.kr/boardCnts/view.do?boardID=52&boardSeq=1111385&lev=0&m=040102&searchType=null&statusYN=W&page=1&s=krhome|#]] 2019년 12월 기준으로 역사 외부 유리벽과 외장재 공사가 마무리 되었고, 육교 통로 공사도 마무리 되었다. 그리고 제천역 공사 안내도에서 준공예정이 당초 2019년 2월에서 2019년 12월로 미뤄졌다가 다시 변경되어 2020년 4월 30일로 연기되었다. 신축한 역사는 2020년 5월 말부터 운영한다. 그리고 2019년 11월 30일 오후 8시부로 기존의 제천역 주차장이 역전광장 및 새 주차장 공사 관계로 봉쇄되었다. 제20대 제천 지역 국회의원의 보도 자료에 의하면 2020년 5월 29일 신 역사 운영을 시작하고 나머지 주차장 및 광장 조성 등은 12월 말 완료를 목표로 6월부터 시작하였다. 2020년 5월 29일 오전 0시, 임시 역사가 영업을 종료했고 신역사가 그 뒤를 이어받았다. 에스컬레이터 9대, 엘리베이터 6대[* 역사 내 4대 + 역사 옆 육교 2대(역사 옆 1대 및 강저지구/코레일 기숙사 방향 1대)]가 설치되었고 총 지상 3층 규모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철도에 의하면 보도 육교 설치 공사 등을 마무리한 뒤 중앙선 복선전철화 사업이 완료된 2020년 말 즈음에 신축 역사 준공식을 하였다. 기존 임시 역사는 철거한 뒤 주차장으로 활용하겠다고 알렸다. 그도 그럴것이 1번 홈은 뒤늦게 공사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2020년 말 광장 리모델링을 완공하였다. 구역사 시절에는 승강장 끝에 구역사로 연결되는 지하통로가 있었는데 신약사가 선상역사로 변경되면서 쓸모가 없어지자 지하통로를 매몰시켜 철거하였다. 이후 보령식당 앞에 있던 버스 정류장이 폐쇄되고, 역 광장으로 이전되었다. [[제천시 시내버스]] 노선하고 일부 [[단양군 농어촌버스]] 노선들은 역 광장과 대성반점 앞 정류장 모두 승하차가 가능하다. == 역 주변 정보 == 제천역 바로 앞에 [[82번 지방도]]가 지나간다. 82번 지방도의 [[도로명주소]]는 [[청풍호로]](제천역 서쪽-남당교차로), [[내토로]](남당교차로-동쪽)이다. 이 82번 지방도는 원래 [[38번 국도]]인 곳이었으나 제천국도대체우회도로(제천국대도) 개통으로 [[5번 국도]], [[38번 국도]]가 국대도인 [[북부로(충청북도)|북부로]]로 변경 지정되면서 [[국가지원지방도]]로 격하된 곳이다. 역 앞에는 사거리를 중심으로 중국집 3개, [[재래시장]]과 [[NH농협은행]], [[우리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편의점]]이 두 개 있고 [[약국]] 등 필수적인 편의시설을 제외하면 별다른 게 없다. 31번 등 버스를 타고 올라가야 시내가 나오며 걸어가기엔 거리가 꽤 멀다. 경비가 충분하다면 택시를 타고 가는 것도 좋다. 제천역 주변 시설 중 [[금융]]기관은 [[NH농협은행]] 제천지점(역전교차로), 제천남부[[신협]]본점(역전교차로) 두개밖에 없다. 이외에 역 북쪽에는 [[고용노동부]] 제천고용센터, [[한국철도공사]] 충북지역관리단(구 충북본부), 역전시장, 삼익프라자아파트가 있다. 역 남쪽에는 제천기관차 승무사업소, 제천 승무원 기숙사, 제천강저 리슈빌아파트, 강저휴먼시아1단지아파트, 강저휴먼시아4단지아파트가 있다. 도시계획만 두고 보면 [[나름]]대로 번화했던[* 주로 80년대. 이 때의 제천 인구는 18만 가량이었다.] 이 일대[* 역전 한마음시장 부근]는 부도심 노릇이라 유동인구가 많았지만 [[세명대]] 개교 이후 북쪽의 청전동 인근이나 세명대 부근이 크고 이쪽은 확실히 오래된 [[여관]], [[모텔]]들과 더불어 은근히 낙후된 느낌을 준다. 다만 예전엔 닭집만 즐비하던 역전시장은 크게 바뀌어서 요새는 밥 먹을만한, 혹은 간단히 요기할 만한 식당도 그럭저럭 생겼다. 슈퍼 등이 너저분하게 있었던 상가는 모두 철거하고 주차장으로 닦아놓아 한결 깔끔해졌다. 게다가 제천역사 신축이 진행되며 주변 분위기에도 슬슬 변화의 바람이 부는 중. 근래에는 제천역 구 철도관사촌까지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로 선정되어 사업이 추진중이다.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346273|#]], [[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8665|#]], [[http://www.cc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105002|#]] 매달 3, 8로 끝나는 일수에는 역전에서 오전부터 오후 5~6시까지 제천 역전 5일장이 열린다. 날짜가 38인 이유는 [[38번 국도]]가 제천역 앞으로 오던 시절의 유산이다. [[2021년]] [[11월 12일]], [[제천시청]]은 제천역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대한 현장설명회를 열었다. [[https://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93700|기사]] == 승강장 == ||<-12> ↑ [[고명역|고명]]/[[입석리역|입석리]] || ||<width=10><bgcolor=#70AD47> {{{#ffffff 1}}} || │ || │ || │ ||<width=10><bgcolor=#75787A> {{{#ffffff 2}}} ||<width=10><bgcolor=#00B1EB> {{{#ffffff 3}}} || │ || │ || │ ||<width=10><bgcolor=#0074bf> {{{#ffffff 4}}} ||<width=10><bgcolor=#75787A> {{{#ffffff 5}}} || │ || ||<-12> [[제천조차장역|제천조차장]] ↓ || ||<bgcolor=#70AD47> {{{#ffffff 1}}} ||[[충북선]] ||[[충주역|충주]]·[[청주역|청주]]·[[조치원역|조치원]] 방면 || ||<bgcolor=#75787A> {{{#ffffff 2}}} ||{{{#75787A ■}}} [[태백본선]] ||[[사북역|사북]]·[[태백역|태백]]·[[동해역|동해]] 방면[br]{{{-2 (직통 [[영월역|영월]]·[[정선역|정선]]·[[아우라지역|아우라지]] 방면)}}} || ||<bgcolor=#00B1EB> {{{#ffffff 3}}} ||[[파일:SD-GJ.png|height=17]] [[중앙본선]] ||[[단양역|단양]]·[[풍기역|풍기]]·[[영주역|영주]] 방면 || ||<|2><bgcolor=#0074bf> {{{#ffffff 4}}} ||{{{#0074bf ■}}} [[중앙본선]][br][[파일:DH-KC.png|height=17]] [[치악산선]] ||[[서원주역|서원주]]·[[양평역|양평]]·[[청량리역|청량리]] 방면 || ||[[치악산선]] ||[[반곡역|반곡]]·[[원주역|원주]]·[[서원주역|서원주]] 방면 || ||<bgcolor=#75787A> {{{#FFF 5}}} ||{{{#75787A ■}}} [[태백본선]] ||[[서원주역|서원주]]·[[양평역|양평]]·[[청량리역|청량리]] 방면 (특급 한정)[br]당역종착 || 타는곳 5번 오른쪽으로 붙어있는 여러 유치선들은 충청지역의 여러 기관차와 객화차를 담당하는 [[제천차량사업소]]의 것이다.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0074bf ■}}} [[파일:SD-GJ.png|height=17]] [[중앙본선]] · [[파일:DH-KC.png|height=17]] [[치악산선]] || ||<width=34%><-2><:>[[서울역|{{{-2 {{{#000,#fff 서울 방면}}}}}}]][br][[서원주역|서원주]][br]← 47.5 km[br][[남원주역|남원주]][br]← 37.4 km||<width=32%><bgcolor=#003da5><-2><:>[[소백산(열차)|{{{-2 {{{#fff [준고속] 소백산[br][準高速] 小白山}}}}}}]]||<width=34%><-2><:>[[동대구역|{{{-2 {{{#000,#fff 동대구 방면}}}}}}]][br][[영주역|영 주]][br]56.2 ㎞ →|| ||<width=34%><-2><:>[[청량리역|{{{-2 {{{#000,#fff 청량리 방면}}}}}}]][br][[남원주역|남원주]][br]← 37.4 km||<width=32%><bgcolor=#003da5><-2><:>[[소나기(열차)|{{{-2 {{{#fff [준고속] 소나기[br][準高速] 소나기}}}}}}]]||<width=34%><-2><:>[[부전역|{{{-2 {{{#000,#fff 부전 방면}}}}}}]][br][[단양역|단 양]][br]22.4 ㎞ →|| ||<:><-2>[[서울역|{{{-2 {{{#000,#fff 서울 방면}}}}}}]][br][[봉양역|봉 양]][br]← 6.9 km||<-2><bgcolor=#0074bf><color=#fff> {{{-1 특별쾌속[br]特別快速}}} ||<-2><:>{{{#gray 시종착}}}|| ||<:><-2>[[서울역|{{{-2 {{{#000,#fff 서울 방면}}}}}}]][br][[봉양역|봉 양]][br]← 6.9 km||<-2><bgcolor=#eb5c01><color=#fff> {{{-1 쾌속[br]快速}}} ||<-2><:>{{{#gray 시종착}}}|| ||<width=34%><-2><:>{{{#gray 시종착}}}||<width=32%><bgcolor=#808080><-2><:>{{{-2 {{{#fff 보통[br]普通}}}}}}||<width=34%><-2><:>[[영주역|{{{-2 {{{#000,#fff 영주 방면}}}}}}]][br][[고명역|고 명]][br]3.9 ㎞ →|| ||<-3><rowbgcolor=#f5f5f5,#373a3c> [[중앙본선]] {{{#0074bf ■}}} ◀||<-3>▶ {{{#75787A ■}}} [[태백본선|태백선]] || ||<width=34%><-2><:>[[청량리역|{{{-2 {{{#000,#fff 청량리 방면}}}}}}]][br][[남원주역|남원주]][br]← 37.4 km||<-2><bgcolor=#0b6e3f><height=75> [[정선아리랑(열차)|{{{-1 {{{#fff [특급] 정선아리랑[br][特急] 旌善아리랑}}}}}}]] ||<width=34%><-2><:>[[아우라지역|{{{-2 {{{#000,#fff 아우라지 방면}}}}}}]][br][[영월역|영 월]][br]34.7 ㎞ →|| ||<width=34%><-2><:>[[청량리역|{{{-2 {{{#000,#fff 청량리 방면}}}}}}]][br][[남원주역|남원주]][br]← 37.4 km||<width=32%><-2><bgcolor=#3d99c2><:>[[태백산(열차)|{{{-1 {{{#fff [특급] 태백산[br][特急] 太白山}}}}}}]]||<width=34%><-2><:>[[강릉역|{{{-2 {{{#000,#fff 강릉 방면}}}}}}]][br][[영월역|영 월]][br]34.7 ㎞ →|| ||<-2><:><width=34%>{{{#gray 시종착}}}||<-2><width=32%><:><bgcolor=#e83a24>{{{-2 {{{#ffffff 쾌속[br]快速}}}}}}||<-2><:><width=34%>[[아우라지역|{{{-2 {{{#000,#fff 아우라지 방면}}}}}}]][br][[쌍용리역|쌍용리]][br]18.3 ㎞ →|| ||<width=34%><-2><:>{{{#gray 시종착}}}||<width=32%><bgcolor=#808080><-2><:>{{{-2 {{{#fff 보통[br]普通}}}}}}||<width=34%><-2><:>[[동해역|{{{-2 {{{#000,#fff 동해 방면}}}}}}]][br][[입석역|입 석]][br]13.7 ㎞ →|| ||<-6><rowbgcolor=#f5f5f5,#373a3c> {{{#70AD47 ■}}} [[충북선]] || ||<:><-2>[[대전역|{{{-1 {{{#000,#fff 대전 방면}}}}}}]][br][[봉양역|봉 양]][br]← 6.9 km||<-2><bgcolor=#808080> {{{#fff {{{-1 보통[br]普通}}}}}} ||<-2><:>{{{#gray 시종착}}}|| ||<width=34%><-2>||<width=16%> ||<width=16%> ||<width=34%><-2> || == 대중매체에서 == [[1박 2일]] 2007년 초창기에 유명세를 탔다. '''1기 일원 [[김종민]], [[이명한(PD)|이명한 PD]]가 이 역에서 [[가락국수]]를 2분 동안 먹다가 [[1박 2일/2007년#s-5|낙오된 사건]] 때문.''' 중앙선 복선전철화 공사가 본격화되기 전만 해도, 덕소역까지 복선화되었던 2005년 기준으로 무궁화호의 소요시간은 빨라도 2시간 반이었고 정차역이 많다 싶으면 3시간도 있었다. 덧붙여서 제천역에서의 정차시간도 긴 편이어서 대부분이 3분 이상 정차였다. 실제로 통일호 운행 당시에만 하더라도 제천역에 서 있는 동안 [[가락국수]] 먹고 오는 게 가능하도록(!?) 시각표가 짜져 있었다.[* 그리고 그렇게 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다만 이견도 있는데 가락국수는 3분내로 먹기는 힘들며, 당시 태백선과 중앙선이 단선인 특성상 지연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여기서 지연을 회복하고 가라는 의도도 있다. 예를 들어 원래 10분에 도착, 13분에 출발하는 시간표인데 실제로는 2분 지연되어 12분에 도착했는데 승하차를 1분 내로하고 13분에 출발하면 그만큼 지연시간을 회복한다.] 그러다가 해당 방송분이 방송되던 때는 어느 정도 중앙선 복선화공사가 탄력을 받아서 진행되고 있었고 소요시간도 많이 단축되고 하던 때라 무궁화호의 제천역 정차시간은 2분이 대다수. 결국 김종민은 제한시간 압박을 극복하지 못하고 국수 먹다가 몇몇 스탭들과 같이 무궁화호가 떠나는 모습을 승강장에서 보게 되었다.[* 그 와중에 김종민 曰 "기차는 후진 안 되죠?"...이후에 목적지인 정선까지 [[택시]]를 타고 오긴 했다. 택시비는 [[강호동]]이 내는 거로 해서...] 참고로 여기에 나온 [[가락국수]]집은 이후 플랫폼에서 역 앞으로 그 위치를 옮겼으나, 판매가 부진하여 문을 닫았고, 뒤이어 '''그 자리에 있었던 [[가락국수]]집 건물 자체도 철거되고 공원과 주차장이 조성'''되면서 이런 광경은 옛 추억으로 남게 되었다. 다행히 역 앞 시장 쪽에 가락국수 집이 하나 생겨서 운영 중이다. 이후 승강장에도 강원철도에서 가락국수 판매점을 설치하였다. 제천역에서 중앙선-태백선 보통열차간 환승대기시간을 15분으로 꽤 길게 설정해두었는데 이는 보통열차로 장거리를 여행하는 여행객들이 중간에 가락국수를 먹고가라는 배려이다. 그 외에 [[MC 스나이퍼]] 2집 타이틀곡 한국인의 뮤비 중 일부를 여기서 촬영했다.[* 뮤비 컨셉 자체가 한국의 여러 곳을 다니면서 찍는거라 서울-수원(화성)-천안-광주-부산-경주-대구-제천-서울 순서대로 여정이 나오며 제천은 스나이퍼의 고향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7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7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