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고모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명 === 고모(顧母)라는 역명을 한자로 풀어쓰면 '''어머니가 돌아본다''' 라는 뜻이 되는데 이에 관해서는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96609&cid=49347&categoryId=49347|출처: 문화원형백과]] 첫째는 옛날에 역 위치 근처에 살던 홀어머니와 어린 남매 이야기다. [[지나가던 스님]]이 이들을 보고 전생에 덕을 쌓지 못하여 가난하게 사는 것이라 하자 이에 가족이 모두 덕을 쌓고자 산을 쌓은 게 근처에 있는 모봉과 형봉, 제봉이다.[* 현재도 남아있는 지명이며 [[동대구역]]에서 고모역으로 들어가기 직전에 오른편에 있는 야트막한 산이다. [[http://me2.do/F5xcZaX2|네이버 지도 링크]]] 이 때 두 남매가 산을 쌓으면서 덕을 쌓기는 커녕 오히려 서로 더 높이 쌓겠다고 다투고 시샘하자 이를 본 어머니가 자식을 잘못 키웠다는 마음과 실망감에 집을 나왔다. 그렇게 걷던 어머니가 언덕 위에 올라서서 집을 향해 뒤돌아본 그 곳이 바로 고모령이다. 둘째는 일제강점기 때 이 역을 통해 [[강제징용]]으로 끌려가던 아들을 어머니가 배웅하며 다시 돌아보았다는 데서 기원한다. 당시에 증기기관차가 고모령을 지나가는 데에 큰 어려움이 많아서 천천히 다녔는데 이때 징병가는 아들을 조금이라도 더 보려고 모여들었다고 한다. 이에 관하여 [[현인]]이 부른 [[비내리는 고모령]]이라는 유명한 옛날 노래[* 말이 그렇지,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1948년]]에 발표된 곡이다.]가 있고[* 가사가 일제징용과 관련된다.], 또한 6.25 전쟁 당시에는 상시적으로 부상병을 호송하던 병원열차가 정차했다고 하니... 여러모로 사연이 많은 역이다. 다음은 해당 곡의 가사 전문. ||어머님의 손을 놓고 돌아설 때에 부엉새도 울었다오 나도 울었오[* 당시에는 '울었오'가 옳은 표기였다.] 가랑잎이 휘날리는 산마루턱을 넘어오던 그날밤이 그리웁고나 맨드래미 피고 지고 몇 해 이던가 물방앗간 뒷전에서 맺은 사랑아 어이해서 못잊느냐 망향초 신세 비 내리는 고모령을 언제 넘느냐 눈물어린 인생고개 몇 고개이더냐 장명등이 깜박이던 주막집에서 손바닥에 서린 하소 적어가면서 오늘밤도 불러 본다 망향의 노래 || 다만 이 곡의 가수 [[현인]]도 3절까지 다 부르진 않았고 적당히 가사를 바꿔 2절로 축약한 것을 불렀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수들이 이 노래를 부를 때는 현인이 압축한 가사로 부른다. 압축된 가사 전문은 [[비내리는 고모령#s-2.2|여기 참조.]] 이 노래를 기리기 위한 시비가 이 역에 세워져 있다. 다음은 해당 시의 전문이다. ||고모역에 가면 옛날 어머니 눈물이 모여 산다 뒤돌아보면 옛 역은 스러지고 시레기 줄에 얽혀살던 허기진 시절의 허기진 가족들 아 바스라지고 부서진 옛 기억들 부엉새 소리만 녹슨다 논두렁 사라진 달빛 화물차는 몸 무거워 달빛까지 함께 싣고 쉬어가던 역이다 고모역에 가면 어머니의 손재봉틀처럼 덜커덩 덜커덩거리는 화물열차만 꽁지 빠진 새처럼 검은 물새떼처럼 허기지게 날아가는 그 옛날 고모역 선로 위에서 아 이즈러진 저 달이 아 이즈러진 저 달이 어머니의 눈물처럼 그렁그렁 옛 달처럼 덩그라니 걸려 있구나 옛 달처럼 덩그라니 걸려 있는 슬픔처럼 비껴 서 있는 그 옛날 고모역에서||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