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금정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 정보 == [[안산선]]과 [[과천선]]의 기점이다. 1988년 10월에 [[경부선|경부선 전철]]의 지선으로 개통된 [[안산선]]을 연결하는 [[경부본선]]의 분기역으로 추가 개업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이 역은 [[석수역]]처럼 1982년 경부선 [[영등포역|영등포]]~[[수원역|수원]] 2복선화에 맞춰 쌍섬식 승강장을 이미 완성해 놓았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0060900209206002|「서울~水原 철도複複線 難工事 3년 마무리 한창」]], 동아일보, 1980-06-09] 하지만 예산 미확보와 역세권 미비 등으로 인해, 승강장만 완성시키고 정작 역사는 만들지 않았다. 당시 [[시흥시|시흥군]] [[군포시|군포읍]], 지금의 [[군포시]] 일대는 [[군포역]] 주변을 제외하고 이렇다 할 시설이 없는 허허벌판이었다. 그러다가 1984년에 [[안산선]] 계획이 확정되고 금정역을 안산선의 분기역으로 확정했는데, 기존의 쌍섬식 승강장으로는 경부 2선에서 [[안산선]]으로 분기하고 [[안산선]]에서 경부2선으로 원활히 합류하는 데 지장이 있었기 때문에, 1986년에 미리 설치해 놓은 승강장을 철거하고 현재 위치로 수정하여 다시 만들었다. 당시 금정역 예정 부지는 현재 위치보다 남쪽(스마트호텔 삼거리 인근과 금정IC 사이, 지금의 안산선 분기 지점)이었으나[* [[http://www.youtube.com/watch?v=tr-EtnJ89GI|관련 영상(1980년대 초 경부선 시흥~화서 주행 영상)]], 출처: 유튜브] 안산선 공사 당시 승강장이 철거되어 지금은 승강장 흔적조차 볼 수 없다. 1994년 개통한 [[과천선]]이 금정역을 통해 [[안산선]]과 직결되면서 노선 연결 방향이 출퇴근 환승 수요와 직결되는 [[경부선]]의 상하행선 방향과 일치해 떨어져 계단을 거치지 않고도 동일한 승강장에서 열차를 갈아탈 수 있는 구조가 되어 평균 환승 동선이 짧은 [[개념환승]]으로 유명하다. 사실상 두 노선의 동일 방향 승강장이 한 몸인 셈이다. 실제로 두 노선의 열차가 동시에 도착했을 때, 한 노선의 열차가 정차하면 객차에서 사람들이 튀어나와 다른 노선의 열차로 입장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런 편리한 구조로 인해 이 역은 수도권 서남부 교통의 중추를 맡고 있다. 역 신설 당시에는 1~5번 출구가 있는, 남부 선상역사만이 있었다. 그러나 금정역삼거리에서 산본시장 방면으로 가는 길목에 많이 정차하는 버스 등으로 환승하는 데 거리가 멀고 횡단보도를 이용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어서, 군포시 75%, 남서울철도 25% 부담으로 1994년에 환승을 위한 통로로 만들었던 계단에 역 북쪽 금정역삼거리로 바로 통하는 북부 선상역사(6~8번 출입구)를 지어 2006년에 완공했다. [[과천안산선]]의 경우 [[열차자동정지장치|ATS]]를 사용하는 [[안산선]]과 [[열차자동제어장치|ATC]]를 이용하는 [[과천선]] 때문에, 금정역에 도착하면 차상 장비에서 진행 방향에 따라 ATC, 혹은 ATS로 바꿀 것을 요구하고 발차 전까지 전환을 다 마친 상태에서 진행하며, 산본 방향으로 금정역 진입 전에 안전상 이유로 주의신호(Y)가 현시된다.[* ADU에는 제한속도 40km/h가 현시된다.] [[수도권 전철 3호선]]과 [[수도권 전철 4호선]]을 운행하는 열차는 금정역에 연결된 [[연결선로]]를 통해 반입된다. 시흥 기지를 향해 갑종회송되는 3, 4호선 신차들을 간혹 볼 수 있다. 이 역에서 4호선 당고개행 열차를 탔다면 탑승한 쪽 출입문(진행 방향 기준 오른쪽)은 [[이수역|총신대입구(이수)역]]에 진입하기 전까지 약 27분 동안 열리지 않고 [[범계역]]부터 [[사당역]]까지 왼쪽 문만 열리며, 안산/오이도행 열차를 탔다면 [[산본역]]부터 종점까지 열리지 않는다. 조그만 물건이 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구조상의 이유로 경부2선 측에서 사고가 났을 경우 경부선 전동차가 과천안산선 전용 승강장에서 정차, 발차하기도 한다.[* [[http://blog.naver.com/kisuk1993/60103129151|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 (현재는 비공개되어 있음)] 기존의 1호선 급행열차는 2019년까지 금정역 승강장과 연계되지 않는 안쪽 선로(경부1선)로만 달려서 이 역에 정차하지 않았으나, [[군포역]]과 [[금천구청역]]에 대피선을 설치하여 2019년 12월 30일부터 금정역에 '''{{{#0052a4,#0275d8 경부선 청량리 ↔ 천안 쾌속}}}'''이 정차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290365?sid=001|「2019년 서울∼천안 급행전철 추가 운행」]], 세계일보, 2018-07-19] 개편된 쾌속열차는 전 구간을 완행과 같은 바깥쪽 2개 선로(경부2선)로 운행한다. '''{{{#00a4e3 4호선 오이도 쾌속}}}''' 열차는 평일 퇴근 시간대 3회('''19:37''', '''20:48''', '''21:35''') 정차한다. [[당고개역]]부터 금정역까지 각역정차하고 다음 역인 [[산본역]]에서부터 급행으로 운행하기 시작한다. 반대로 오이도발 당고개 쾌속 열차는 산본역까지만 급행으로 운행한 뒤 '쾌속' 표시를 떼고 평범한 당고개행이 되어 각역정차하기 때문에 금정역에서는 완행열차와 다를 바 없다. 비운임구역 화장실이 남북 두 역사 모두 존재하지만, 운임구역 화장실이 승강장에 위치하고 있다. [[삼성왕십리라인]] 개통과 함께 환승센터를 건설하였다. 한때 이 역에 일반열차를 세우려는 계획이 있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7052000209142003|「철도청"금정驛 신설 반대"」]], 동아일보, 1997-05-20] 안양-의왕-군포 지역 일반여객열차 취급역 일원화 시 정차역으로 지정하려 했는데, [[대한민국 철도청|철도청]]은 거절했고 [[안양역]]으로 일원화되었다. 2022년 8월 1일부터 과천안산선 시간표 개정으로 평일 당고개발 산본행 막차가 금정행으로 바뀌었다. 이로 인해 평일에 안산행 막차를 놓친 후라면 산본 이서로 갈 이용객은 금정역에서 내려 버스나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해야 한다. 2022년 12월, 금정역 남부역사(신역사) 설계 공모 당선작이 나왔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341408|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