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꽈배기굴/과천선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개요 == [[과천선]]에 있는 [[꽈배기굴]]을 칭한다. ||<tablebordercolor=#00a4e3>{{{#!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fMIHHYYr5s)]}}}|| ||<bgcolor=#00a4e3> {{{#fff '''4호선 서울교통공사 차량 남태령→선바위 구간 후면 영상'''[br](2017년 9월 20일 촬영)}}} || ||<tablebordercolor=#00a4e3>{{{#!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qh1Vikn_MU)]}}}|| ||<bgcolor=#00a4e3> {{{#fff '''4호선 서울교통공사 차량 남태령→선바위 구간 운전승무 영상'''[br]영상에서 나오는 모든 행동은 가상의 상황으로 절연구간 통과 후 MCB[* 주회로차단기(Main Circuit Breaker), 교류 구간에서 열차 운행 중 전기계통에 고장이 발생하여 매우 큰 고장 전류가 형성 또는 회로를 차단해야 할 상황이 되면 이를 안전하게 차단하는 장치이며, 동력칸에 설치되어 있다. 직류 구간에서는 단순히 개폐 작용만 한다.] 차단 불능 상황에서[br] EPanDS[* 비상팬터그래프(판타)하강스위치(Emergency Pantograph Down Switch), 팬터그래프를 긴급히 내릴 필요가 있을 때 동작시키는 스위치다. PanDS와 하강속도는 같으나 MCB를 직접 차단함과 동시에 팬터그래프 하강이 시작된다.] 취급하여 무동력 운전으로 선바위까지 운행 후 조치하는 모습이다.}}} || ||<tablebordercolor=#00a4e3>{{{#!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H-vBlWlXYI)]}}}|| ||<bgcolor=#00a4e3> {{{#fff '''꽈배기굴에 대한 KBS 보도'''[* 영상 썸네일에는 ‘'''철도에 남아있는 일제의 잔재'''’ 라고 언급되었다. 대한민국 철도의 모든 기술이 일본에 영향을 많이 받은 건 사실이지만, 일본의 철도도 철도산업의 시초인 영국의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프랑스, 벨기에, 이탈리아, 핀란드, 포르투갈, 스웨덴, 스위스 등의 일부 유럽 국가 같은 경우 '''도로는 우측통행'''이지만 '''철도는 좌측통행''' 인데 이도 역시 영국의 철도기술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대한민국 철도의 통행방식이 그저 일제의 잔재 라고 하기에는 '''살짝 무리가 있다.''']}}}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