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동탄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 정보 == [[동탄신도시|동탄1, 2신도시]] 입주민들이 [[교통분담금]] 명목으로 1가구당 500~1,000만 원씩 아파트 분양가에 포함하여 모은 1조 원 가량으로 만들어졌다. 단순한 지하 시설을 넘은, 거의 지하[[벙커]] 수준의 규모이다. [[SRT]]와 [[수서동탄선]]을 타려면 끝도 없이 내려가고 또 내려가야 한다.[* 에스컬레이터에서 걷지 않는다면, 승강장까지 내려가는데만 약 5분의 시간이 소요된다.]지하 3층까지가 주차장, 4층이 고객라운지, 5층이 대합실, 6층이 승강장인 구조로서 에스컬레이터로 오르내리는 것도 시간이 꽤 걸리지만, 엘리베이터로 지상에서 지하 5층까지 바로 내려갈 수 있다. 다만 올라올 때는 기차에서 내린 승하차객들이 한꺼번에 몰려 엘리베이터까지 빨리 뛰는 게 아닌 이상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나 소요 시간이 비슷하다. 이는 연계교통의 부족 문제와 더불어 GTX 이용률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환승저항을 증가시켜 광역버스 수요를 전환시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지하 1~3층은 주차장이고, 각종 편의시설과 매표소는 지하 4층에 있다. 김밥 전문점, [[엔제리너스 커피]], [[세븐일레븐/한국|세븐일레븐]], [[크리스피크림]], [[롯데리아]](엘포인트 적립 가능)가 있다. SRT 고객라운지도 지하 4층에 위치하고, 같은 층에 우리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이 있다. 그리고 동탄인덕원선의 승강장은 지하 3층에 들어올 예정이다. 지하 4층에 [[TMO]]가 있었으나 없어졌다. 지하 6층은 타는 곳이 위치해 있다. 엘리베이터는 1층에서 지하 5층까지 운행하는 엘리베이터와 지하 5층에서 지하 6층까지 운행하는 엘리베이터로 나뉘어 있다. 지하 4층까지는 운임경계선 외부에 있다. [[수서역]]이나 [[광명역]]은 반지하역인 데 비해, 동탄역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 고속철도 역사다. 지하 대심도 터널인 [[율현터널]] 중간 지점에 역이 있어서 승강장이 지하 6층에 있다. 승강장에는 대한민국의 고속철도역 최초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고속열차 대응 전용으로 제작된 스크린도어로, 고속통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차풍으로부터 역사 시설물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스크린도어는 승무원이 확인 후 수동으로 개폐하고 있다. 그 탓에 열차 출입문을 닫기 전에 스크린도어가 먼저 닫힌다. 또한 통과 선로는 벽으로 차단되어 있다. [[2021년]] [[12월 31일]] [[중부내륙고속선]]이 개통하기 전까지는 유일한 고속철도 스크린도어였다. 2024년 3월 30일에 [[운정동탄라인]]이 개통하여 수도권 전철 최남단 지하역이 되었다. 동시에 주중 아침 한정으로 1편성 운행했던 동탄 →︎ 수서 SRT 아침출근열차도 [[운정동탄라인]]으로 대체하면서 폐지됐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