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범계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 정보 == 역 이름은 역이 위치한 곳인 호계동(虎溪洞)에서 유래했다. [[동해선]] [[호계역|호계역(虎溪驛)]]과 역명 중복을 피하기 위해 한자어 지명 대신 순우리말 기반 지명인 '범계'(범溪)를 택했다.[* [[https://www.anyang.go.kr/dongan/contents.do?key=1212|범계동 유래]], [[https://www.data.go.kr/data/15064041/fileData.do|수도권 4호선 역명의 공식 한자 표기]].] 간체자 표기는 순우리말 '범'을 음차한 '凡溪'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법정동은 그대로 호계동이지만 행정동은 1992년에 범계동으로 명명되었다. 평촌신도시 전체가 안양시의 여타 지역과 달리 법정동과 행정동 명칭이 서로 다르다.[* 그래서인지 평촌신도시 주민들은 법정동 대신 행정동 명칭을 쓰는 경우도 적지 않다.] 건설 당시에는 8개 출구가 있었지만, 2008년에 범계역에서 뉴코아아울렛 평촌점 방향으로 4-1번 출구가 개설되었다. 2009년 초, 2번 출구와 4번 출구를 제외한 전 출구에 대형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했다. 2011년 5월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여 현재 가동 중이다. 2020년 6월부터 9월까지 [[인덕원역]]과 같이 스크린도어 개량공사로 인하여 가동이 일시 중단된 적이 있다. 스크린도어 개량 전에는 1호선 [[대방역]], [[주안역]]처럼 '스크린도어가 열립니다' 음성이었으나 개량 후에는 [[광주 1호선]] 대다수 역들, 경의중앙선 [[망우역]]~[[양정역(경기)|양정역]]과 똑같은 '승강장 안전문이 열립니다' 이 음성이 나온다. [[산본역|산본]], [[안산역|안산]], [[오이도역|오이도]]방면 기준으로 마지막 지하역이다. 반면 [[사당역|사당]], [[당고개역|당고개]], [[진접역|진접]]방면으로는 지하구간이 시작되는 기점이며 [[이수역|총신대입구역(이수)]]까지 쭉 이어진다. 평촌 방면 승강장 벽면에 지하철체로 된 구형 역명판 흔적이 있고 [[https://blog.naver.com/scott234/221405321970|사진]] 금정 방면 승강장 기둥에 구형 역명판이 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324149|사진]] 남서울철도 열차에만 평촌마리아병원 산부인과 광고가 있다.[* 강희선 성우 안내방송이다.] 금정역 방향에 단선형 쌍굴 구간이 있다. [[수도권 전철 4호선]] 남서울 구간 중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으며, 4호선 승하차객 수 전체 6위로 상위권 자리를 차지한다. 평촌신도시의 상업 중심지이자 [[안양시]]의 새로운 교통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어서 이미 주변 지역의 개발이 완료되었음에도 2014년까지 빠른 속도로 이용객이 늘어났다. 2005년에 하루 이용객 5만 명 돌파, 2012년에는 6만 명을 돌파하여 안양시 [[동안구]]와 의왕시 사람들이 범계역을 주로 이용했으나 2014년을 기점으로 유가 하락의 영향을 받으며 다시 이용객이 감소해 2017년에는 6년 만에 일일 이용객이 5만 명대로 돌아왔다. 범계역의 주된 이용객은 [[안양시]] [[동안구]] 신촌·귀인동에 넓게 펼쳐진 평촌학원가를 찾는 [[과천시]], [[수원시]], [[의왕시]], [[안산시]], [[군포시]] 일대의 학생과 학부모들이다. 범계역 번화가에서 먹고 놀거나 볼 일이 있는 사람들 또는 서울로 출퇴근하려는 비산동, 호계동 및 의왕시 고천동 일부 주민들도 많이 이용한다. 이 정도만 해도 배후 인구가 10만 명이 넘는 수준인데, 범계역의 이용객 수를 보면 과천시, 수원시, 동작구 등을 포함 곳곳에서 온 사람들 역시 이 역을 자주 찾는 것을 알 수 있다. 안양시 내에서도 경부선 특급, 쾌속급행과 [[경부선|경부선 전철]]이 정차하고 안양1번가라는 번화가가 있는 [[안양역]]을 제치고 안양시 내 지하철 수요 1위다. 출퇴근시간 범계역을 보면 엄청난 인파를 볼수 있으며 주로 서울로의 출퇴근이 많기에 출근에는 탑승객이 퇴근에는 하차객으로 붐빈다. 그렇다고 해서 출근시간에 하차객이, 퇴근시간에 승차객이 적은 편은 아닌지라 혼잡도가 굉장히 높은 편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