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석계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 주변 정보 == 인근 지역의 도로가 상당히 복잡하다. 속칭 '말로도 지도로도 설명 못 하는 기기묘묘한 도로'라고 불린다. 그래서인지 택시기사들도 길을 헷갈리곤 한다.[* 턱없이 좁은 석계로의 도로 폭에다가(왕복 2차선이다.. 게다가 경원선 석계역 방향에 건물들이 빽빽히 들어차있어 261번이 정차하는 버스 정류장(곱창집 앞)의 경우 인도 폭이 무지하게 좁다. 간혹 가다 여기서 차가 막혀서 A정류장 버스들이 회차를 못하는 경우도 있다) 상단의 경원선 철교에다가 북부간선도로 고가차도까지 겹치니 이런 결과가 나오게 된 것.. 1번출구 앞의 버스 정류장은 원래 단일 정류장이었으나 정체가 하도 심하다 보니 석계역을 기준으로 다시 돌아나오는 노선들은 A로, 화랑로 방향으로 직진하는 노선들은 B로 분류해놓았다.] 성북동이 개발되고 1960년대에 [[화랑로(서울)|화랑로]]가 개설되었고, 1984년 화랑고가차도 개통, 1997년 [[북부간선도로]] 개통으로 석계역 위로는 2개의 고가도로가 지난다. 석계로 같은 길 등은 당연히 옛날부터 있던 길이다. 석계로 방면의 역 북쪽과 역 남쪽의 5번출구 쪽에는 문화공원과 노래방, 음식점 등 유흥시설이 밀집해 있고, 1번출구 앞 버스정류장에는 주로 음식을 파는 노점상들이 널려 있다. 그리고 2, 3, 4번 출구가 있는 역 동쪽에는 화랑로와 두산, 우남, 그랑빌 등의 아파트단지가 있고, 7번 출구 인근 석계역 문화공원 방향의 역 서쪽은 비교적 층수가 낮은 빌라들이 위치해 있다. 또한 1번 출구 바로 앞에는 노점상을 철거하고 문화공원이 위치해 있었으나 관리가 잘 되지 않아서 사실상 이 일대 노숙자들의 집합소가 되었다. 대낮에도 공원 의자에 짐을 깔고 숙면을 취하는 노숙자가 상당히 많았으나, [[노원구]]에서 이를 의식하고 공원 리모델링에 들어갔다. 2021년 초에 공사를 시작해서 6개월 뒤인 2021년 7월 초에 리모델링이 완료되었다. 석계역 앞은 늘 혼잡하다. 특히 출퇴근시간대에는 역과 역 앞의 버스 정류장 모두 혼잡해지고, 게다가 경원선 굴다리에서 작은 사고 하나라도 나면 이 여파가 [[월릉교]] 너머 [[태릉입구역]]까지 미친다고 할 정도로 교통정체가 심각해진다. 원인 중 하나는 도로 구조의 문제점인데 도로 자체가 심히 꼬불꼬불하고, 일방통행 투성이다. [[노원구]] 지역은 대체로 도시계획에 의한 일괄 개발이 이뤄져서 도로망은 반듯한 경우가 많은데, 석계역은 석관동이나 성북동처럼 [[1960년대|1960]]~[[1970년대|70년대]]부터 대단위 주택지구였던 곳과 인접한 관계로 주변을 밀고 구획을 새로 짜는 게 불가능해 도로망이 복잡하다. 그래서 태릉역 쪽에서 장위동 쪽을 자가용으로 가려면 화랑고가차도를 이용하는 게 훨씬 편하다. 또 다른 원인으로는 신호등도 버스정류장 앞에 5~10m 내지의 작은 횡단보도가 있는 등 어정쩡한 곳에 걸려 있어서 자잘한 보행신호는 전혀 준수되지 않기에 도로 상황 자체가 24/7 노상 좋지 않다. [[일제강점기]] 때 지어진 굴다리(제2기우천철교)를 그대로 두고 하부도로 확장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가차도를 위로 올리면서 석계역 진입은 더욱 꼬이게 되었고[*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298947|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교통 마이너 갤러리], 여기에 1998년에 지어진 두산아파트와 진입로가 복잡하게 꼬이면서 이런 형태가 만들어졌다. 철도운행이 꼬이는 건 여전하겠지만 교통량이 덜 혼잡했고 석계역이 없었던 그 시대라면 지금보다는 충분히 도로확장이 더 쉬웠다. 또한 이 구간에 경사진 도로가 있는 이유도 우이천 복개 구조물이 있어 도로가 복잡한 기형으로 될 수밖에 없었다. 우이천 중 석계역 문화공원~석계역 교차로 구간이 'ㄱ, ㄴ' 모양으로 급커브처럼 꺾여 있다. 무엇보다 20가지가 넘는 버스노선들이 이 지점을 종점이나 경유지, 주요 환승지역으로 삼기 때문이다. 대표적 예시로,석계역에서 월계동 쪽으로 2km 가량 들어가면 나오는 [[노원구]] 시내버스 회사인 [[진아교통]] 차고지가 있다. 원래는 현재 6호선 석계역 인근 현 한진한화그랑빌 상가자리 자리에 진아교통 차고지가 있었고 1985년 월계시영아파트단지(월계삼호, 미성, 미륭아파트) 건설 완료 후 현재의 [[이마트 월계점]] 앞으로 차고지를 이전했다. 차량 동선상 진아교통 소속 시내버스는 147번을 제외하고 전부 석계역 앞을 지나가고, 진아교통 소속 버스 중 유일하게 석계역으로 가지 않는 147번도 개편 전 38-2번 시절에는 석계역 경유 노선이었다. 또한 진아교통 외에도 태릉교통, 보광운수 소속 노선이나 그 외 각종 마을버스, 경기도버스 등도 이 역 앞을 지나가기 때문에 이 버스들이 4대 이상 몰려올 경우에는 정체가 반드시 발생한다. 6호선이 개통되기 전에는 공사 때문에 더욱 심했고, 6호선 완공으로 그나마 환승 필요성이 줄어든 상태이지만 출퇴근 시간대이면 언제나 심한 교통정체를 보인다. 신호가 아슬아슬할 것 같으면 달려서 정체가 발생하고, 너무 심하면 석계역에서 [[태릉입구역]] 방향으로 난 월릉교를 건너는 데만 10분을 넘긴다. 더구나 태릉입구역이나 [[화랑대역]] 주변은 [[노원구]]에서 북부간선도로를 타고 [[구리시]]로 빠져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구리IC를 통해 [[중부고속도로]]를 타는 길목이어서 [[서울특별시]] 바깥으로 나가려는 차가 많을 때는 걷는 것보다 확실히 더 느려지기 때문에 차라리 걸어가거나 6호선을 타는 게 더 편하다. [[광운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삼육대학교]]의 스쿨버스가 이 곳을 지나간다. 이 3개 대학 덕분에 석계역 상권은 엄청나게 발달했다. 공통적으로 이 3개 대학 모두 다 근처에 제대로 놀 곳이 거의 없기 때문에 사실상 석계역의 상권을 공유하는 셈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또한 월계역의 [[인덕대학교]] 역시 상황은 비슷하여 인덕대 학생들도 신입생 환영회나 개강파티 등 단체 술자리를 가질 때 석계까지 오는 일이 많다. 공릉동과 공릉역을 필두로 상권이 발달되어 있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도 예외는 아니다. 경원선과 6호선을 이용하여 통학하는 학생들은 [[서울 버스 노원03|노원03]], [[서울 버스 노원04|노원04]], [[서울 버스 노원13|노원13]], [[서울 버스 1136|1136번]] 버스를 이용해 통학한다. 예전에는 스쿨버스가 운행했지만 마을버스 [[서울 버스 노원13|노원13번]]이 신설되면서 유지비로 매년 지출되던 1억 원의 예산을 장학금으로 돌렸다. [[제71보병사단]], [[육군사관학교]] 등 인근 군부대 장병들에게 핫플레이스라고 한다. 71사단이 해체되고 6군수지원단이 후적지에 들어온 지금도 유효하다. 7번 출구에서 남서쪽으로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집들이 이어져 있는데 1971년까지 [[제기동역]] 앞에 있던 [[경춘선]] [[성동역]]으로 가던 철도 부지이다. 골목 시작점에는 벽화거리, 반대편에는 석계역 음식문화거리라는 홍보물이 있지만 과거 철도였다는 안내는 전혀 없다. 40년 후 폐선되고 [[경춘선 숲길]]이 조성된 [[광운대역]] 반대편 구간과는 전혀 다른 분위기이다. 정확히는 석계역 구간이 과거에 성동역 분기 지점이었다. 지금은 분기 지점이 흔적없이 사라졌지만 우이천 일부 복개구간에 경춘선 철교도 존재했었다. 경원선 석계역 플랫폼이 우이천에 걸친 부분에 [[1910년대]] 경원선 부설 당시 조적식 철교 교각이 남아있다. 석계역 승강장 확장 과정에서 철로 대신 승강장을 받치도록 개조되었지만, 그 대신 깨끗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이 시기 지어진 철교들이 소음 문제로 인한 개량 공사로 사라지고 있는 것을 생각하면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https://blog.naver.com/kgh19941061/221474833731|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