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수도권 집중 문제]] 가속화 및 [[비수도권]] 광역철도망과의 격차 유발 ===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차이를 낳는 이유를 [[김경수|김 지사]]는 광역 대중교통망에서 찾았다. 그는 '''2014년 이후 수도권 광역철도에 __3조원__ 이상 투자됐지만 비수도권에는 __2000억원__이 투자'''됐다고 지적했다. >---- >- [[김경수]] 당시 [[경상남도지사]][[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0/13/2020101301774.html|#]] GTX가 개통된다면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으로의 집중화는 더욱 가속화된다. 수도권은 이미 '''23개에 달하는 광역철도 노선'''이 구축되어있다. 가장 먼저 노선이 계획된 A선은 [[수도권 전철 3호선]], [[경의중앙선]], [[분당선]]과 기능이 중복되며 이들을 급행화하기 위한 노선이다. 이는 서울과 [[1기 신도시|서울의 근교 도시]] 정도를 이어주던 [[수도권 전철|일반적인 전철 노선들]]이 점차 [[서울 공화국|수도권 집중]]으로 인하여 [[2기 신도시|대책도 없이 마구잡이로 연장]]된것에서 출발한다. 이러니 노선 종점에서 중심부까지의 운행시간도 당연히 크게 늘어나게 된다. GTX는 이런 상황을 기존의 전철 대신 새로운 전철 시스템을 구축해 해소하기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수도권은 상대적으로 비수도권에 비해 교통이 더 편리해진다. GTX 사업이 시작되기 이전에도 수도권의 교통은 타 지역에 비해 월등히 편리했으며 이는 [[서울 공화국|수도권으로의 집중]]을 불러온 원인 중 하나였다. 그런데 GTX 사업을 실시하면 더더욱 수도권의 교통이 편리해져 타 지역과 격차가 벌어지고, 수도권 집중 문제를 더욱 심화시키는 악순환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GTX 노선이 모두 계획대로 개통된다는 것은 곧 지방균형발전과는 거리가 있는, [[수도권 집중 문제|수도권을 계속해서 팽창시켜나가는 정책]]이므로 지방소멸을 가속화하고 포화상태인 수도권으로 인해 저출산 문제 또한 가속화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4012518250279831|부산일보 - “GTX 연장·추가” 빨라지는 수도권 집중, 늦어지는 균형발전]],[[https://www.nocutnews.co.kr/news/6085433|노컷뉴스 - '출퇴근 30분' 지방광역급행철도…실효성 있는 선언일까[딥뉴스] ]],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4012508525935068|부산일보 - 수도권 GTX-A·B·C·D·E·F 6개 노선 깐다…수도권 초집중화 악순환]], [[https://www.ulkyung.kr/news/articleView.html?idxno=37670|울산경제 - 광역급행철도, 수도권 초집중 막아야]], [[https://www.soodo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20868|수도일보 - [기자수첩] GTX 본격화, 지방소멸 우려에 대한 대책도 수반돼야]]] 그리고 한정된 자원에서 GTX에 너무 많은 돈이 들어가, [[비수도권]] [[광역철도]] 사업을 간접적으로 방해하기도 한다. GTX는 A선 하나에만 '''국비 1조 5,000억'''이 투입되고 있는데, 반면 비수도권인 [[대경선]]의 총 사업비가 1천억 원이 약간 안 되는데도 예산 문제로 인해 사업 진척이 느리다.[* 이쪽은 경부선 기존 라인을 써 기존의 무궁화호 수요를 대체하고, 고작 편성당 2량짜리 열차로 대구경북 남서부의 주요 도시를 모두 연결하는 사업임에도 지연이 되고 있는 것이다. 서울로 치면 이제야 1호선 국철구간(경인선 등)을 까는 셈이다.] [[동해선 광역전철]] 사업비 역시 GTX 노선 하나의 사업비와 맞먹지만, 총 연장은 GTX A선의 두 배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