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유래 == 해외의 [[광역급행철도]] 선례들이 있어왔다. * 1970년~, 일본의 [[신쾌속]][* 표정속도와 차량 형태가 유사하다.] * 1977년~, 프랑스의 [[RER]][*언급 2015년 국토교통부의 홍보 영상에서 언급되었다.] - 일반선 혼용과 노선 중간분기 등이 유사하다. * 1978년~, 일본 [[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 * 1989년~, 스페인 [[Renfe]]의 [[Renfe#s-3.2|세르카니아스]] * 1995년~, 독일 [[DB]]의 [[RE]] * 1997년~, 스위스 [[SBB]]의 RegioExpress * 2003년~, 영국의 [[High Speed 1]][* [[영국철도 395형|재블린 셔틀]]을 이용한 광역철도임에도 [[세인트 판크라스역]] 부터 입스플릿 인터내셔널역까지 고속선을 통해 유로스타와 선로를 일부 공유하며 크로스레일과 함께 영국 남동부에서 GTX와 일부 비슷한 역할을 한다. 최고속도는 시속 225km/h.] * 2005년~, 일본의 [[수도권 신도시 철도 츠쿠바 익스프레스]][*언급] * 2006년~, 오스트리아 [[ÖBB]]의 REX * 2007년~, 일본 케이큐의 카이토쿠(쾌특) * 2008년~, 중국 [[베이징 교외철도]] S2선 * 2012년~, 중국 상하이 [[진산철도(상하이시)]] * 2017년~, 중국 [[베이징 교외철도]] 화이러우-미윈선(S5선) * 2018년~, 중국 [[베이징 교외철도 도시행정부중심선]](S1선) * 2019년~, 중국 [[징슝도시간철도]] * 2020년~, 중국 [[베이징 교외철도]] 퉁미선(S6선) * 2022년~, 영국의 [[크로스레일]][*언급] - 2015년 국토교통부 홍보영상이 이를 모델 삼았다고 밝혔다. 국내의 도입 유래는 다음과 같다. * 1977년~, 대한민국의 [[무궁화호]] - 지정좌석제고, 통근시간대에 배차만 짧으면 GTX와 다를 바 없다는 의견이 있지만 최고속도가 그닥 높지 않다. * 1991년, 대한민국도 [[3기 지하철 계획]] 세울 당시 [[수도권 간선전철 계획]]을 구상했으나 무산되었다. * '''2009년 4월 14일,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재선에 도전하는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위 계획을 수정한 GTX 계획을 발표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ZVFMQNhvosQ|홍보영상]]'''[* 반대편 [[유시민]] 후보는 경기도를 서울의 [[베드타운]]으로 간주하는 공약이라면서 이를 비판했다. 유시민 후보는 대신 경기도 내 주요 지역을 이어주는 간선교통체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후 이 주장 또한 [[경기순환버스]]와 [[경기순환철도]] 등을 통해 김문수 도정에서 일부 반영되었다. 비록 김문수 지사 이후에는 [[남경필]] 지사의 연정을 거쳐 [[이재명]]과 [[김동연]] 두 [[더불어민주당]] 출신 경기지사의 당선으로 경기도의 정치지형은 민주당으로 쏠리기 시작했지만, GTX 사업은 도민들의 수요가 극명한 사업이었기 때문에 여야를 막론한 수도권 국회의원 다수와 지역 정치권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아 꾸준히 추진되었다. 그 덕에 GTX는 비록 김문수 도정에서 삽을 뜨지는 못 했지만 김문수가 처음으로 땅을 다져놓은 주요 치적으로 남게 되었고, 15년 후 김문수는 GTX-A 개통식에 GTX 계획을 최초 수립한 전직 경기지사로서 초청되었다. (2024년 당시에는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제사회노동위원장]]이었다.)] * 2011년 6월, [[수서평택고속선]]이 A선을 염두에 둔 시설들을 지어 A선은 실질적으로 착공했다. * 2012년 11월, [[경기도]] 지역구 국회의원들이 국가 예산안에 GTX 사업 예산을 반영하며 사업이 시작되었다. [[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690402|#]] 이후의 역사는 개별 노선 문서에 정리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