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스크린도어/종류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반밀폐형 == 밀폐형과 거의 모양새는 같으나, 위쪽이 뚫려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그 때문에 열차풍을 완벽히 막진 못한다. 지하역은 바람이 빠져나갈 곳이 거의 앞 아니면 스크린도어 윗부분밖에 없으니 그쪽으로 다 빠지고 지상역은 말이 필요없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기 이전에는 몸에 직접 바람이 몰아쳤다면, 반밀폐형으로 설치된 이후엔 승강장 전체에 바람이 몰아쳐 벽에 맞고 몸에 닿는 정도다. 결국 열차풍과 부수적으로 따라오는 먼지는 절대 막지 못한다. 지상역의 경우 대부분 열차풍을 이용한 자연 환기 방식을 채택하여 환기 장치가 없는 역[* 이유는 당연히 승강장을 완전히 밀폐시키고 공조시스템을 일일이 추가하려면 돈이 많이 들기 때문.]이 많은데, 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면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지상역에는 반밀폐형 혹은 난간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된다. 위쪽이 뚫려있기는 하나 난간형 스크린도어와는 달리 높이가 상당하기 때문에 사다리를 타고 오르지 않는 이상 넘어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반밀폐형 스크린도어는 안전 측면에서는 완전밀폐형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수도권에서는 지상역이나 지하역 플랫폼이 거대한 [[수원역]], [[양천구청역]] 등에 설치되어 있다.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은 모든 역이 지하역이지만 2006년에 개통된 1단계 구간 중 9개 역([[판암역|판암]], [[신흥역(대전)|신흥]], [[대동역|대동]], [[대전역]], [[서대전네거리역|서대전네거리]], [[용문역(대전)|용문]], [[탄방역|탄방]], [[시청역(대전)|시청]], [[정부청사역]])에는 반밀폐형으로 설치되어 있었다가 2019년 11월부터 2020년 3월 사이에 공사를 통해 기존에 반밀폐형으로 설치되었던 모든 스크린도어의 위쪽을 막아버렸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은 2구간 중 지상 종착역인 [[평동역]], 지하역인 [[도산역]]과 1구간 중 지상 종착역인 [[녹동역]]에 반밀폐형이 설치되어 있다.[* 녹동역은 과거엔 상하식 스크린도어였다. 즉, 반밀폐로 교체된 시기는 2016년.] [[부산 도시철도]]에서는 스크린도어가 비교적 나중에 설치되었던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부산 도시철도 2호선]]에서 이러한 반밀폐형 스크린도어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특히 2호선이 이런 경우가 믾다. 1호선은 밀폐형이 더 많은편이다.] 완전밀폐형은 처음 지하철 만들 때 설치하면 저렴하지만 원래 없던 곳에 새로 설치하려면 많은 부분을 뜯어고쳐야 해서 설치비가 천문학적으로 드는 반면, 반밀폐형은 비용이 반밖에 안 들기 때문이다. 재정적으로 곤란을 많이 겪고 있던 [[부산시]]와 [[부산교통공사]]가 전역사 완전밀폐형 설치는 불가하다고 판단, 반밀폐형을 설치하기로 했다. 다만 부산 도시철도의 스크린도어는 환기시설을 확충하면 반밀폐형을 밀폐형으로 개조가 가능한 모델이긴 한데, 건설과 운영을 동시에 하는 부산교통공사는 다른 지역 도시철도 공기업보다 재정사정이 나쁘기 때문에 개조가 될지는 미지수. 다만 [[센텀시티역]], [[부산역(도시철도)|부산역]], [[연산역(부산)|연산역]], [[서면역]] 등 초기에 설치된 일부 역에는 완전밀폐형이 설치되어있다. 그리고 부산 1호선 다대포 연장 구간, [[부산 도시철도 3호선]]과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은 개통할 때부터 이미 스크린도어를 설치했기 때문에 지상역을 제외한 전역사에 완전밀폐형이 설치되어 있다. [[대구 도시철도]]는 1호선 하양 연장 구간 3개 지상역에 반밀폐형으로 스크린도어가 만들어지며, 이후 지상으로 지어질 [[대구 도시철도 4호선]]은 3호선의 난간형이 아닌 이 형태로 스크린도어가 만들어질 예정이다. 타 운영기관에서는 적극적으로 사용하나 [[강원철도]]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방식이다. 설치된 역이 [[사북역]], [[고한역]] 밖에 없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