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스크린도어/종류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상하개폐형(로프형) == [youtube(Ny63tk33kxk)] [youtube(lEdFTjiyqa0)] 평상시에는 줄 여러 개가 가로로 띄엄띄엄 있어서 승객을 가로막고 있는데, 문이 열리면 줄이 위로 올라가면서 문을 열어 주는 형태. 다른 방식과는 달리 줄이 위로 올라가면서 문이 열린다. 차량 규격이 다양한 곳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한국]]에서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문양역]]에서 볼 수 있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녹동역]]에도 설치되어 있었으나 이용객이 적은 탓에 가동을 중지했었고, 이후 반밀폐형 스크린도어로 교체되었다. 두 역 모두 [[차량기지/대한민국|차량기지]]가 근처에 있는 종점 역이라서 [[보안]] 차원에서 만들었다고 한다.[* 기존의 스크린도어는 유리로 차량기지가 훤히 보이는 반면 로프식은 로프가 차량기지를 약간 가려주는 효과가 있다.] 단, 난간형과 마찬가지로, 열차풍이나 소음, 미세먼지는 전혀 막을 수 없다. 이 로프식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배경은 꽤 재미있다. SKD하이테크측에서 직접 [[광주도시철도공사]] '고객의 소리' 게시판에 글을 올려서 제안을 했고, 이것을 본 공사 측에서 적극적으로 고려를 하여 설치가 이루어진 것. 근성의 승리다. [[https://www.grtc.co.kr/subway/board/view.do?rbsIdx=134&idx=1405|고객의 소리 게시판 자료]] 이 때 설치된 녹동역의 스크린도어는 한국은 물론 세계 최초의 로프형 스크린도어이다. [youtube(j-kDIXuy8gg)] [youtube(zwRzkJdG2Mg)] 일반철도에서는 [[논산역]] 상행 본선 승강장에 로프식 스크린도어가 시범 설치되었었다. 일반철도에도 주요역을 중심으로 차차 스크린도어가 설치될 것으로 보인다. 처음 보는 사람이 보면 이어져 있는 줄이 옆으로 열리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하며, 놀라는 경우도 간혹 있다고 한다. [youtube(9b5-qtoVRHc)] [[도큐 전철]]에서 이거에 눈독 들여 SKD하이테크와 협의, [[덴엔토시선]] [[츠키미노역]]에 시범설치했다. 이 모델은 SKD하이테크와 일본신호(日本信号)가 공동 개발한 것이다. [[https://www.tetsudo.com/special/report/20180418/|관련 링크(일본어)]] 그리고 괜찮아 보였는지 [[2015년]]에 2개 역에 더 설치한다고 했지만 무산되었다. [[JR 서일본]]은 [[롯코미치역]]에 2014년부터 시범운영했는데 이쪽의 스크린도어는 SKD하이테크사의 스크린도어가 아니라 JR 서일본과 미쓰비시, 일본신호가 공동 개발한 것이며, 안전선 넘음 경고 기능[* [[용인 에버라인]]의 안전선 이탈 경고 1단의 그것과 동일하다. 거기가 굉음이라면 여기는 안내방송.], 상승시 로프 간 간격 조절 기능 등 몇 가지 기능들이 더 추가된 것이 특징. 로프형 스크린도어의 특허는 SKD하이테크에 있기 때문에 JR 니시니혼 텍시아, 미츠비시, 일본신호[* 한국제 제품을 시범 운영하면서 축적한 데이터를 JR 니시니혼 텍시아에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한 마디로 '''통수를 쳤다는 말.'''] 측과 법적 분쟁을 겪었으나, 한국에서 개발된 것은 지주고정형이고 일본에서 개발된 것은 지주신축형이기 때문에 2024년 현재는 잠잠한 상황이다. 일본은 한 노선에 다니는 열차의 규격이 통일되지 않았는데 로프형은 다양한 규격의 열차를 소화할 수 있는게 장점이다. 실증 실험 이후 2016년 3월 26일 [[JR 서일본]] [[타카츠키역(오사카)|타카츠키역]]에 실증 실험이 아닌 정식으로 설치되었다. [[사가미 철도]] [[이즈미노선]] [[야요이다이역]]에는 로프를 금속제 봉으로 바꾼 바리에이션도 존재한다. 참고로 이 제품은 타카미자와 사이버네틱스의 제품으로, SKD하이테크와 무관한 제품이다. [[JR 큐슈]]에서도 봉으로 된 스크린도어[* 일반 스크린도어와 같이 양 옆으로 열리는 형태이며, 카시오페아의 전 멤버로 유명한 무카이야 미노루 음악관 사장의 특허다. 그래서 작동음도 특이하다.]를 [[치쿠히선]] 복선 구간 전 역에 도입하였다. [youtube(IBu0dHy77uc)] [youtube(utdgJa-Ikzo)] 프랑스 파리 Hauts-de-Seine 에있는 Vanves–Malakoff 역에는 알루미늄 구조물과 강화유리 패널로 구성된 상하개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있다. 한국기업인 [[http://www.straffic.co.kr|에스트래픽]]에서 제작한 제품. 만약 해당 시운전이 성공적일 경우 2024 파리 올림픽을 앞두고 수도권 교외 전역사에 설치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스크린도어, version=2251)]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스크린도어/종류, version=36)] [[분류:스크린도어]]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