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스크린도어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미국]] === [[뉴욕 지하철]]의 경우 뉴욕 지하철 전면 [[리모델링]] 사업과 연계하여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를 진행 중이나 의견 차이가 심각해 지지부진하다. 목표는 [[2026년]]까지인데 뉴욕 지하철이 늘 그렇듯 [[함흥차사]]가 될 확률이 높은 편. 그래도 최근들어 점차 뉴욕 전체에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를 할 것이라는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주요 이유는 당연히 뉴욕 시민들의 지하철 안전사고 방지이다. 그러나 [[뉴욕 지하철]]을 운영하는 [[MTA]]는 [[2022년]] 1월 3,000페이지가 넘는 용역 보고서를 통해, 역사 노후화로 인해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가 불가능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https://newyork.cbslocal.com/2022/01/27/nyc-subways-platform-screen-doors-mta-janno-lieber-mark-levine-subway-push-incidents/|기사]] 쉽게 말하면 뉴욕 지하철 리모델링 예산에 가깝지만... 그러다가 2022년초에 아시아계 여성이 철로에 밀쳐져서 사망한 사태가 터진뒤에 스크린 도어 설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https://www.thecity.nyc/2022/7/15/23219309/mta-open-to-platform-door-barrier-in-3-subway-stations|#]] 단, 3개의 역에 시험삼아 설치할 예정이고 다른 역들은 아직 관련 소식이 없다.[* 대부분 역들이 무려 100년 이상 되었기 때문에 무작정 리모델링하기도 힘들다. 몇몇 역들은 계단이나 엘리베이터 옆의 승강장 공간이 너무 좁아 스크린도어가 설치될 자리도 없다. 또 최근 개통한 [[2번가 지하철]] 구간을 제외하면 환기구가 없기 때문에 밀폐형 PSD를 설치하면 환기구를 새로 뚫어야한다는 점도 있다.] [[워싱턴 메트로]]는 [[2020년]]까지 승강장 스크린도어 전면 설치를 목표로 발주가 난 상태이나, [[2023년]] 현재도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역이 전혀 없다. 나머지 [[시카고 전철]] 등 미국의 주요 대도시들도 도시 전체에 전면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으나 미국 특유의 느릿느릿한 일처리 때문에 잘 되지 않고 있다. 현재 100%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된 곳은 [[에어트레인 JFK]](모두 밀폐형)같은 일부 무인운전 경전철 계통들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