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영등포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개요 = >'''1899년 경인선 개통과 함께 개업하여 최초 민자역사로 성장''' >영등포역은 1899년 경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 1936년에 이르러 경인선에서 경부선으로 편입되었다. 한강철교가 준공되기 전 경인선의 시종착역이었던 노량진역은 영등포에 위치하고 있었다. 잦은 한강 범람으로 노량진에 역사를 설립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1900년 노량진역이 노량진으로 이전한 자리에 영등포역이 들어선다. 이후 영등포 지역이 경성부에 편입되며 1938년 청량리역과 함께 각각 남경성역, 동경성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가 1942년 다시 영등포역으로 돌아오게 된다. 한국전쟁의 발발로 1950년 역사가 파괴되어 1965년에 다시 지어졌고, 1990년 대한민국 최초로 민간자본을 유치하여 설립되는 민자 철도역사로 준공되었다. >---- >[[서해철도]]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경부본선]]의 철도역, [[경부선]] GB39번.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846 (영등포동 618-496) 소재. [[서해철도]] 수도권지사 1급 관리역이다. 서울 서남권의 주요 교통거점이다. [[동인천역]]에서 동인천급행 기준 35분, 동인천쾌속 기준 37분이 소요되고 부평역에서는 급행열차 기준 22분, 쾌속열차 기준 24분이 소요된다. 인천광역시청 기준으로 하면 [[광명역]]이 더 가깝지만 인천시내와 이 역을 오가는 교통편이 매우 나빠 많은 시간이 걸린다. [[연수구]], [[미추홀구]] 일부, [[남동구]] 일부는 [[광명 버스 3001|3001]]·[[광명 버스 3002|3002번 버스]]를 타면 되지만 나머지 지역은 광명역까지 직결되는 교통편이 없었다. 그러나 [[경강선]] [[광명역]]의 개통으로 인천 지역도 고속열차 접근성 면에서 수혜를 보았다. 1호선을 타고 [[구로역]]에서 또는 7호선을 타고 [[가산디지털단지역]]에서 광명셔틀 열차로 갈아탈 수 있었지만, [[경강선]]의 월곶-판교 구간 연장과 함께 폐지되었다. 특히 광명역과의 거리가 매우 먼 [[서구(인천광역시)|서구]], [[계양구]] 등 인천 북부지역은 [[인천국제공항철도]]를 타고 [[서울역]]으로 가서 열차를 타는 게 편하다. 반면 영등포역은 [[경부선]]만 타면 쉽게 올 수 있다. 3복선이며 [[고속열차]], [[일반열차]], [[경인선]], [[경원선]], [[경부선]] 운행계통 등 매우 많은 열차가 지나가고 있다. 2022년 5월 27일까지는 [[대방역]]도 비환승역이었으나 [[서울 경전철 신림선|신림선]]의 개통으로 이 역도 환승역이 됐다. [[구로역]]은 1호선 [[경인선]], [[경부선]] 계통 간의 환승이 이루어진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