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외대앞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 정보 == [[1974년]] [[8월 15일]] 개업 때의 역명은 '''휘경'''(徽慶, Hwigyeong/Hwigyŏng)이었다. 이는 [[정조(조선)|정조]]의 후궁이자 [[순조]]의 생모인 [[수빈 박씨]]가 묻힌 휘경원에서 나온 법정동명 [[휘경동]]에서 따왔다. 휘경동과 [[이문동]]의 경계에 자리하며 정확히는 이문동 쪽이다. 정작 휘경동에는 [[회기역]]이 있고, 휘경원 터도 회기역 부근이다. 이 까닭은 회기역이 이 역보다 나중에 열려서 그렇다. 정확히 휘경동 산7번지 일대로 서울시립대학교 후문 및 도서관이 있다. 휘경원은 뒤에 남양주 진접으로 이장한다. [[1996년]] [[1월 1일]]에 당시 부역명이자 인근의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따온 외대앞역으로 바뀌었다. 당시 [[대한민국 철도청|철도청]]에서도 역명 변경을 내심 바랐는데, 중대사고가 빈번해서 대중에게 나쁜 쪽으로 이름이 널리 알려졌기 때문이다. [[1977년]]부터 휘경역 사망사고가 났고[*a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7021900209207004|「列車에빨려轢死」]], 동아일보, 1977-02-19], [[1984년]]에는 휘경역 열차 추돌사고[*b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100200209201010|「徽慶전철역 전동차 貨物列車에 받혀 3명死亡」]], 동아일보, 1984-10-02], [[1990년]]에 휘경역 휘경4건널목 사망사고 등이 일어났다.[*c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72400209214014|「철도건널목 안내원 취객구하려다 순직」]], 동아일보, 1990-07-24] 그리하여 바뀌기 직전인 [[1995년]]에 철도사보(현재 [[강원철도]] 본사 기록실에 보관 중)를 보면 외대앞역으로 바뀐다는 소식이 나오자 휘경역 역무원들이 "이 저주받은 휘경역이 이름 바꾸면서 사고가 없어지길 바란다"고 쓴 수기도 있다. 그리고 휘경역에서 외대앞역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사고가 사라졌다. 가장 중요한 이유는 1996년 외대앞역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구내 공사를 실시해 외대앞역 앞의 휘경4건널목을 [[절연구간]]에서 해제하고 급전구간으로 변경했기 때문이다. 동시에 로마자 표기도 '''Oedae'''로 바뀌었다. 당시에는 영어로 번역하지 않고 로마자로 옮기는 식으로 표기하여, [[한대앞역]]이 "Handae-ap"인 식이었다. 지금도 1호선 열차의 전자표시기 가운데 일부는 '''Oedae'''로 표시된다. 끝의 a 와 e가 뒤바뀌어서 Oedea로 표시되었던 적도 있다. 안내방송은 "This stop 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로 바뀐지 오래이다. 중앙선이 덕소까지 연결되기 전에는 [[광운대역|성북역(현. 광운대역)]]에서 용산까지 현재의 중앙선을(왕십리, 옥수) 경유하여 가는 전철이 있었다. 아침 1대에 한해 창동역발 열차도 있었다. [[2005년]] [[12월 16일]]에 [[수도권 전철 중앙선]] 회기~덕소 구간이 신설되면서 운행계통이 성북~용산에서 덕소~용산으로 바뀌어 더 이상 외대앞역에서 중앙선을 바로 이용할 수 없자 강남통학 외대생들이 전철 노선의 부활을 요구한 적이 있다. 하지만 선로 포화와 평면교차 문제로 운행을 하지 않는 만큼 이 노선은 부활하지 않았고, 강남통학 외대생들은 회기역에서 내려 [[서울 버스 동대문02|동대문02]] 마을버스를 타는 쪽으로 타협한다. 원래 [[경원선]] 본선이 왕십리-청량리-회기로 운행하였는데, 경원선과 1호선을 직통 시키고 중앙선 전철을 만들면서 왕십리-청량리-회기 구간의 선로와 평면교차가 되게 선로를 깔았다. [[신이문역|신이문]] 방면 승강장은 [[바로타(역 구조)|바로타]] 구조의 1번 출구를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과 다르게 [[회기역|회기]] 방면 승강장은 엘리베이터는 커녕 휠체어리프트조차 설치되어 있지 않아 [[휠체어]] 이용객의 접근이 아예 [[엘리베이터가 없는 역|불가능]]하다. 따라서 [[회기역|회기]] 방면으로 이용하는 [[휠체어]] 이용객은 인근의 [[회기역]]이나 [[신이문역]]에서 승하차하거나 [[회기역]]에서 외대앞 방면으로 횡단해야 한다.[* 다행히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회기역]]은 [[섬식 승강장]]인 덕분에 횡단이 매우 쉽다.] 엘리베이터가 맞이방에 있긴 하지만 모두 출구로만 연결되어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