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의왕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 정보 == 인근에 한국교통대학교 의왕캠퍼스와 [[철도박물관]], 왕송호수공원이 있다.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에 따라 돈 주고 산 것도 아니고, 역과 학교 사이가 도보 약 10분, 버스 약 7분으로 꽤 먼데도 부역명이 있는 까닭은 과거 남서울철도와 교통대 의왕캠퍼스(舊 철도대학)의 모태가 [[대한민국 철도청]]인 것에서 기인한다. 그리고 주변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현대자동차, [[현대로템]] 등 주요 기업들이 있어서 출퇴근 수요가 존재한다. 1944년에 [[용산역]] 인근 철도기지창 기능의 일부가 수원군 일왕면 삼리(당시 행정구역)로 이전하면서 철도 관련 인력의 통근 편의를 위해 신설한 역이다. 1974년 광역전철 개업 당시의 행정구역은 시흥군 의왕면 삼리였으나,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1989년부터 의왕시 삼동에 소재한 역이 되었다. 일왕면이 시흥군에 편입된 것은 1963년이다. 편입과 동시에 옛 명칭인 의왕면으로 환원되었다. 일왕면이 의왕면과 일형면(지금의 [[수원시]] [[장안구]], [[권선구]] 구운동, 서둔동, [[팔달구]] 고등동, 화서동 일대)이 합쳐져 한 글자씩 따서 만든 이름이기 때문인데, 일형면에 해당되는 지역이 [[수원시]]에 편입되면서 원래 이름으로 돌아간 것이다. 1966년에는 역 구내 인접 지역에 부곡차량주식회사가 설립되어 철도차량 생산 기능도 맡게 된다. 이 시설은 한국기계공업과 [[대우중공업]] 철도차량 생산부문을 거쳐서 현재의 [[현대로템]]으로 이어졌다가 2005년 공장을 폐쇄하고 해당 부지에는 현대자동차그룹의 의왕연구소가 들어서 있다. 물론 현대로템이 현대자동차그룹의 계열사기 때문에 [[현대로템]]의 본사는 이곳에 있으며 현대로템의 일부 연구부서가 이곳에 자리잡고 있다. 다만 상법상 본점은 이곳이 아닌 [[신창원역]] 근처의 창원공장에 있다. 1971년에는 일제강점기 시절 준공된 단층 역사를 허물고 벽돌 구조의 2층 역사를 건설했으며, 1976년에는 그 옆(당정역 방면)으로 수도권 전철 전용 선상역사를 지었다. 1977년 5월 16일부터 철도청고시 제10호에 따라서 수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 [[https://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N&archiveEventId=0028089606#8|철도청 고시 제10호]]] [[오봉역]]과 더불어 수도권 철도물류의 핵심역할을 하고 있는 역이다. 1974년 수도권 전철 개통과 함께 화물기지가 건설된 것이 시초로 본래 1990년대까지는 화물 중계 기능을 하는 조차장 역할이었으나, 수도권 물류기지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원과 수색에 있던 차량기지/승무주재 업무를 이전시켜 2000년 4월 [[부곡차량사업소]]를 완공하였다. 역 구내 본선 수도 이 시기 크게 늘어 현재의 28가닥에 이르게 되었다. 부곡차량사업소는 항상 30량 이상의 기관차가 정비 또는 출고대기 중인 대규모 차량기지이며 수도권에 진입하는 화물열차의 [[기관차]]와 [[화차(철도)|화차]] 정비를 전담하고 있다. 과거에는 [[비둘기호]], [[통일호]] 등 완행열차가 일부 정차했으나 1999년 6월부터 이 역에 정차하던 통일호가 모두 무정차 통과하게 되면서 [[군포역]], [[금천구청역|시흥역]]과 함께 일반열차 취급이 중지되었다. 이로써 경부선 영등포~수원 구간의 일반열차 정차역은 [[안양역]]만 남게 되었다. 남서울철도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한국교통대학교)까지 방송하지만,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의왕 역명만 방송한다. 그리고 [[갑종회송]]이 대부분 이곳에서 끝나기 때문에 갑종회송이 있는 날에는 [[철도 동호인]]들이 자주 찾는다. 2016년 5월 28일에는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강선]] 갑종회송이 있었는데 대부분이 안전선을 넘어서 촬영하고, 다른 승객에게 피해를 줘서 그때 민원이 많이 들어왔다고 한다. 이 때문에 2020년 기준 이 역부터 [[두정역]]까지 [[경부선]]상에서 갑종회송 열차를 볼 수 있는 모든 역에 촬영금지령이 내려져 있다. 2020년 12월 기준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가동 중이다. 갑종은 [[천안역]]이나 [[대전역]]에서 많이 찍거나 포인트를 찾을 듯하다. 노인 인구가 많은 부곡동 특성상 노인 이용객이 많았는데, 상하행선 각각 작은 엘리베이터 하나씩 있는 게 전부이다 보니 시민들의 불만이 많았다. 그리고 2020년 6월에 에스컬레이터가 완공되었다. 남쪽 계단을 에스컬레이터로 대체하였다. 원래 계단이었던 것을 바꾼 거라 폭이 좁다는 게 단점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