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정왕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 정보 == 2000년에 [[안산선]]이 연장되면서 [[수인선]] 군자역(君子驛)이 있던 자리에 정왕역이 세워졌다. 역명이 바뀐 이유는 이 역이 건설되기 5년 전에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환승역이 [[군자역]][* 한때 '능동역'으로 바꿀 뻔했다가 반려되어 현재 능동은 병기역명으로 사용중이다.]이란 이름을 가져갔고, 시흥군이 시흥시로 승격하면서 군자면이 폐지됨에 따라 군자보다 정왕이란 지명이 인지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배차간격은 다소 길었다. 종착역인 [[오이도역]]이 직전역인데도 불구하고 하행 배차보다 상행 배차가 더 뜸한 4호선/과천안산선의 특징과 [[사당역]]과 [[안산역]]에서 열차가 돌아가는 종착역 분산 때문에 출퇴근 시간을 제외하면 평균적으로 열차가 1시간 당 5대밖에 없었다. 현재는 많이 개선되어 평시에 1시간당 7대는 오고, 출퇴근 때는 1시간당 최대 9대까지 들어간다. 주말 및 공휴일 낮시간대라면 1시간당 3대라는 긴 배차였지만 현재는 안산행의 대부분을 오이도행으로 돌려서 1시간당 5~7대 정도는 오는 편이다. 다만 가끔 운전정리로 오이도행 열차가 안산역에서 타절하는데, 이 때는 예전 수준처럼 돌아간다. 이 역부터 [[오목천역]]까지 수인·분당선의 배차간격이 크게 벌어진다. 출근 시간대 기준 무려 '''25분'''이며, 주말에는 30~40분까지 벌어진다. 대부분의 수인선 열차는 오이도역에서 시종착하기 때문. 때문에 인천으로 가려면 수인분당선 열차를 기다리지 말고 과천안산선 열차를 타고 오이도역까지 가서 오이도발 인천행 수인선 열차를 이용하는 편이 낫다. 안산~오이도역 구간에서 유일하게 부본선 부지가 없는 상대식 역이기도 하다. [[남서울철도]] 전동차에서는 부역명인 시화병원까지 방송하지만,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정왕 역명만 방송한다. 2000년 7월 정왕역이 개업한 이래로 2022년 2월까지 '''22년'''동안 부역명이 '한국산업기술대(영문명: Korea Polytechnic University)'였다. 2022년 3월부터 한국산업기술대학교가 [[한국공학대학교]]로 교명 변경을 진행함에 따라 '한국공학대학교(영문명: Tech University of Korea)'로 부역명이 변경됐다.[[https://tistory-com-jeilbus.tistory.com/m/395|#]] 그러다 2024년 7월부터 계약만료로 '시화병원(영문명: Sihwa Hospital)'으로 부역명이 변경됐다. 여담으로 부역명이 '한국공학대학교'였던 시절에 전동차에서 2022년까지만 해도 '한국공학대학교'라고 방송했지만, 2023년부터는 '한국공대'라는 약칭으로 방송했다. 2010년 당시 한국산업기술대학교는 부역명도 모자랐는지 아예 '한국산업기술대'를 부역명보다 더 상위등급인 [[병기역명]]으로까지 추진한다고 밝혔지만 무산된걸로 보인다.[[http://www.shj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097|#]] 3호선의 [[옥수역]]과 비슷하게 천장에 노란색 기둥으로 나가는 곳을 표시하여 이용객들이 정왕역을 이용하기 편리하게 해놓았다. 단, 정왕역부터 중앙역까지 모두[* 초지역은 서해선 환승역이기도 하므로 서해선 환승 안내멘트만 나온다.] 수인·분당선과 환승역임에도 [[중랑역]]과 똑같이 환승안내 멘트 방송이 나오지 않는다.[* 다만, 수인선 구간 개통 후 일주일간은 환승안내멘트를 하여 8연속 얼씨구야를 선보였다. 마지막 [[이동역]]까지 정차 후 노선이 분기하기 때문에 [[이동역]] 전 공용구간에서는 따로 불필요한 환승안내멘트를 내보낼 이유가 없기 때문] 한마디로 노선 공용이다. 평일 일부 [[서울교통공사]] 열차 오이도행[* S4513,S4533,S4659] 열차를 탈 경우 이 역에 내려서 수인분당선 열차로[* 뒤 따라오는 열차가 왕십리발 인천행 한정] 환승하도록 기관사나 차장이 안내하는 경우가 있다. 오이도역에서 내리면 인천행으로 갈아타기 위해 반대편 수인분당선 인천방향 승강장으로 가기 위해 계단을 오르내려야 하는데 정왕역에서 내리면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