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철도특별사법경찰대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계급 == 철도특별사법경찰은 공안직 공무원으로 9급부터 3급까지의 계급이 있으며 계급에 따른 직무는 다음과 같다. ||<tablewidth=100%> '''급수''' || '''계급''' || '''상응 경찰계급''' || '''직책''' || '''정원''' || || 3급 || '''부이사관''' || 경무관 || 철도경찰대장 || 1 || || 4급 || '''서기관''' || 총경 || 서울지방철도경찰대장 || 1 || || 5급 || '''사무관''' || 경정 || 철도경찰본부 과장, 지방철도경찰대장 || 7 || ||<|2> 6급 || '''주사''' || 경감 ||<|2> 지방철도경찰대 과장, 센터장 ||<|2> 74 || || '''주사''' || 경위 || || 7급 || '''주사보''' || 경사 || 팀장 || 151 || || 8급 || '''서기''' || 경장 ||<|3> 팀원 || 188 || || 9급 || '''서기보''' || 순경 || 58 || || 9급 || '''서기보시보''' || 순경시보 || - || 한 가지 특이한 점은 철도경찰의 계급장은 같은 급의 경찰에 비해 1단계가 높다는 점이다. 이는 9급 시보 기간에 방패 문양 2개를 달았다가 시보 기간이 끝나면 승진한 것이 아님에도 다음 단계 계급장인 방패 문양 3개를 달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9급 계급장을 두 단계로 나눠버린 것. 9급에서 한 칸 밀려버린 계급 인플레는 철도경찰대장에 이르기까지 착실히 적립되어 3급 공무원인 철도경찰대장은 경무관/소방준감/준장과 같은 급임에도, 치안감/소방감/소장에 해당하는 계급장을(...) 달게 되었다. 즉 4급 공무원만 되도 별을 달 수 있다. 484명짜리 기관에서 투스타를 배출하는 위업(?)을 달성한 것. 유사한 계급 체계를 사용하는 경찰/소방은 계급이 완벽하게 일치하고, 교정직도 차관급에서 1단계 차이가 있으나 거의 같다. 하지만 철경은 시보부터 한 단계 틀어진 탓에 모든 계급이 다른 직렬과 맞지 않는다. 경찰/교정직은 9급 시보기간에 별도의 계급장을 사용하지 않고, 소방직은 의무소방대와 같은 1개짜리 계급장을 시보에게 달아줘서 문제를 해결했다. 총원 484명짜리 기관이기에 별로 티가 나지 않지만 규모가 커지거나 경찰과 접점이 생길 경우 문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경찰이 무조건적인 기준이 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고, 별도의 기관인 만큼 실질적으로 터치할 방법도 없는게 사실이다. 하지만 철경은 점점 경찰과 유사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예전엔 철도공안이라는 이름을 사용해 일반인들도 경찰과 별개임을 쉽게 알 수 있었으나 명칭을 철도경찰로 개편했고, 2013년에 이루어진 복제 개선을 통해 경찰과 유사한 점이 많이 생겼다. 이는 사업을 담당한 홍익대 산학협력단이 비슷한 시기에 경찰과 철경 제복을 같이 작업했기에 그런 부분도 있기는 한데, 얼마든지 다르게 주문할 수 있었던 것도 사실이며, 어쨌든 일반인 입장에서는 실질적으로 구분이 힘들게 되었다. 한편 이런 계급 인플레는 일선 직원들이 업무를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측면도 있다. 어쨌건 뭔가 주렁주렁 달고 다니니 범법자들이 묘하게 쫄아버린다. 현장일을 많이 보는 7급도 모자에 무궁화 잎이 새겨져 간부처럼 보인다.[* 경찰은 6급을 상당 계급인 경위부터 무궁화 잎이 새겨진다.] 실제로 경찰에서는 일부 몰지각한 시민들이 계급이 낮은 경찰관을 얕보고 뻗대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자 2011년에 순경부터 비간부 경위까지의 근무복 계급장을 경찰청 문장으로 퉁쳐버렸던 흑역사가 있었다. 별다른 효과도 없었고, 오히려 자기들끼리 계급을 식별할 수 없는 부작용이 발생했고, 일선 경찰관들의 반발도 강했기에 결국 원래대로 환원되었다.[* 이때 생산된 악성재고들은 경찰대학으로 보내져 교육생 견장으로 짬처리되고 말았다.] 공식적인 입장은 아니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을 수 있는데, 경찰공무원과 국가공무원 간에 사법경찰관의 범위에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형사소송법에 따라 사법경찰관은 주어진 범위 내에서 수사를 진행하고, 사법경찰리는 사법경찰관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경찰공무원의 경우 형사소송법에 따라 6급 상당인 경위부터 사법경찰관으로 취급하고, 그 이하인 순경(9급), 경장(8급), 경사(7급)는 모두 사법경찰리로 규정되어 있다. 철도경찰의 경우 사법경찰직무법에 따라 7급 공무원부터 사법경찰관으로 취급한다. (참고로 동법에서 소방공무원의 경우 6급 상당이자 경찰공무원의 경위와 동급인 소방위부터 사법경찰관으로 취급한다.) 형사소송법과 사법경찰직무법에서 경찰관과 소방관에 한정하여 차이를 두고 있는 것으로 비슷한 사례로는 형사소송법에 규정되어 있는 검찰수사관의 경우에도 검찰청법에 따라 7급부터 사법경찰관으로 취급한다. 급수는 차이 나는 것이 맞으나, 실질적인 형사 업무에서는 7급 주사보나 경위나 거기서 거기인 것. 이 방식에 따르면 사법경찰관인 4급부터 7급 철도경찰과 경무관부터 경위까지의 경찰관의 계급장이, 사법경찰리인 8급에서 9급의 철도경찰과 경사부터 순경까지의 경찰관의 계급장이 일치한다. ||<|2><tablewidth=100%><width=20%> '''분류''' ||<-2> 특정직 ||<-2> 일반직 || ||<width=20%> '''일반사법경찰''' ||<width=20%> '''특별사법경찰''' ||<width=20%> '''특별사법경찰''' ||<width=20%> '''일반사법경찰''' || || '''예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6494; text-align: center" {{{#FFF 경찰공무원}}}}}}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82647; text-align: center" {{{#FFF 소방공무원}}}}}}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F599F; text-align: center" {{{#FFF 철도경찰직 공무원}}}}}}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48CCB; text-align: center" {{{#FFF 검찰직 공무원}}}}}}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6DB7; text-align: center" {{{#FFF 6급}}}}}}[br]{{{-2 경위, 소방위, 주사}}} || 사법경찰관 || 사법경찰관 ||<|2> 사법경찰관 ||<|2> 사법경찰관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B048; text-align: center" {{{#FFF 7급}}}}}}[br]{{{-2 경사, 소방장, 주사보}}} ||<|3> 사법경찰리 ||<|3> 사법경찰리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text-align: center" {{{#FFF 8급}}}}}}[br]{{{-2 경장, 소방교, 서기}}} ||<|2> 사법경찰리 ||<|2> 사법경찰리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A4160; text-align: center" {{{#FFF 9급}}}}}}[br]{{{-2 순경, 소방사, 서기보}}} || 굳이 이런 계급장 인플레가 필요했던 이유는 공식적으로 밝혀진 바 없다. 그러나 이 문제를 개선하려면 철도경찰대장부터 서기보까지 전 직원이 1계급 강등되는 모양세가 되기 때문에 섣불리 건들기 애매한 것도 사실이다. 규모가 작고 잘 알려지지 않은 직렬이기에 좋은게 좋은거라고 쉬쉬하는 것. 하지만 언젠가는 반드시 해결해야 될 문제이기도 하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