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청량리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지하 역사 === 1974년 8월 15일 최초의 지하철 종로선 개통식이 열렸던 장소이다. 한때에는 [[서울메트로|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현 [[서울교통공사]]) 전동차들의 주요 종착역이었지만 2005년 천안 연장으로 심야 막차들만 이곳에서 종착하였다가 2023년 기준 서울교통공사 차량 3개 열차(S434, S436, S510)가 생겼다. 천안·신창에서 출발하는 쾌속열차는 평일 [[서울역]]행 통근쾌속을 제외하고는 모두 청량리까지 운행한다. 따라서 이 역 북쪽의 역으로 가기 위해서는 구로~청량리 사이의 역에서 내려 광운대, 의정부, 양주, 동두천행으로 갈아타야 한다. ~~사실 대부분 쾌속열차를 탈 정도로 빨리 갈 사람은 [[청량리서울라인]]이나 [[삼성왕십리라인]]같은거 탄다.~~ 2019년 12월 29일까지는 천안·신창 각역정차가 대부분 이 역에서 착발하였고, 극히 일부만이 광운대역까지 운행했다. 12월 30일 1호선 운행시각표 대개편으로 천안·신창에서 출발한 모든 급행열차와 일부 각역정차 열차가 청량리행으로, 나머지는 [[광운대역]]까지 운행하도록 조정되었다. 2024년 현재 청량리역 출발 열차는 평일 45편(완행 21편, 급행 24편),[* 이 중 청량리 착발이 44편, 이문기지 출고열차가 1편이다.] 휴일 40편(완행 19편, 급행 21편)이 운행하고 있으며, 평일 완행 중 3편만 [[서울교통공사]] 차량이다.[* 10:19 S441 서동탄행, 11:04 S445 서동탄행, 24:42 S907 서울역행] 회기역 방면으로 유치선(Y선)을 보유하고 있으나 주박 승무원 침실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막차가 주박을 하지 않고 오로지 회차 용도로만 사용하고 있다. 서울역과 청랑리역 사이 [[서울 지하철 1호선]]만을 오가는 열차는 2005년까지 평시에도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막차 시간에 한하여 1회(24:42)만 운행한다. 경의-중앙 완행선 [[홍대입구역]]과 같이 지하역사 중 특이하게도 맞이방이 승강장 아래에 자리한다. 타는 곳이 지하 1층, 맞이방이 지하 2층이다. 그래서 출입구를 통해 역사 내부로 들어오면 지하 2층이며, 여기서 게이트를 통과하고 계단을 올라가야 승강장이 나온다. 승강장과 연결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는 수직형 유압식 리프트로 설계되어 있어 운행 속도가 무척 느리다. [* 편도 운행 시간이 약 45초라고 한다.] 1호선의 지하 구간 승강장 중에서는 유일하게 역명판이 벽돌 벽이 아닌 위쪽 콘크리트 벽에 붙여져 있다. 역명판과 스크린도어, LCD 행선기를 제외하면 1974년 개통 당시의 모습이 그대로 남아 있다. [[회기역]] 방향으로 얼마 가지 않아 지상 선로가 시작되는데 낮에 첫 칸 맨 앞문으로 타고 내릴 때 스크린도어와 차체 사이 틈으로 하얀 빛이 들어오는 터널 출구가 명확하게 보인다. 심도가 6.44m로 서울에서 가장 얕은데 [[청량리역 환승센터]] 3번 승강장에서 버스나 횡단보도 신호를 기다릴 때 열차가 지나가면 소리와 진동이 지상에도 전해질 정도이다. [[경원선]] 청량리역 ~ [[회기역]] 구간은 [[남영역]] ~ [[서울역]] 구간과 동일하게 [[절연구간]]이다. [[남영역]] ~ [[서울역]] 구간은 [[경부선]]~[[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 ~ [[회기역]] 구간은 [[서울 지하철 1호선]]~[[경원선]] 간의 전력 공급 방식 전환으로 인해서 절연구간이 있다. 이 역에서 연천 방면으로 직류 1,500V에서 교류 25,000V로 전력 공급 방식이 바뀌며, 절연구간 안에서 열차는 관성으로 이동한다. 특이점이 있다면 회기역 방면에는(연천 방면) 지상 출구가 훤히 보이지만 회기역에서 들어오는 방향에서는(인천/신창 방면) 보이지 않는다. 지형 특성상 터널 길이가 다르기 때문이다. 연천 방면은 회차 및 분기 선로를 통과하자마자 지상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터널이 짧은 반면에 인천/신창 방면은 회차선과 본선이 같이 있어서 터널이 길다. 다르게 말하자면 청량리에서 회기로 갈 때에 먼저 지상으로 올라가고, 회기에서 청량리로 갈 때에 먼저 지하로 내려간다. 따라서 청량리역에서 회기역 방면으로 가면 회차선을 거의 못 보지만 회기역에서 청량리역 방면으로 가면 청량리역 회차선을 볼 수 있다. 1번, 6번 출구에서 타는 곳으로 이어지는 맞이방[* a.k.a. 서부 대합실]이 상당히 좁다. 거기에 조명도 밝기가 약간 낮아서 밖에서 들어가면 어두운 느낌이 든다. 이는 2014년까지 있던 아현고가로 인해서 타는 곳이 상당히 좁고 건너편 타는 곳을 못 보던 [[서울 지하철 2호선]] [[아현역]]과 그 성질이 대체로 비슷하다. 1번, 6번 출구 인근에 전통 시장들이 몰려 있는 탓에, 명절 직전이 되면 손수레를 든 노인 승객들로 북새통을 이루는 구간이다. 지하 역사 화장실은 4번 출구 방면 계단 중간에 있는데, 입구에서 다시 몇 계단 올라가야 화장실이 나오는 구조인데다가 면적이 상당히 비좁아 들락날락하기가 상당히 불편하다.[* 이 때문에 장애인화장실도 역 구조 상 설치할 수가 없다.] 게다가 남자, 여자 화장실 모두 대변기는 모조리 화변기로 되어 있다. 인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환승통로 초입에도 화장실이 있으므로 웬만하면 환승통로 내부 화장실을 이용하기를 추천한다. 청량리역 인근 재개발 사업으로 탄생한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건물과의 연결통로 공사가 진행중이다.[* 4번, 5번 출구가 이에 해당] 기존의 낡은 5번 출구를 폐쇄하고 비슷한 위치에 새로운 5번 출구가 개통하며 에스컬레이터 2대가 신규 설치되었고(2024년 4월 개통), 4번 출구 역시 연결통로 공사와 함께 기존의 낡은 화장실에 대한 개량 공사가 예정되어 있으나 공사업체 대금정산 문제 등이 엮여 있어 공사가 상당히 지지부진한 상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