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초월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 정보 == 대합실이 1층, 승강장이 지하 1층에 있는 반(半) 지하역이다. 그래서 대합실은 지상역사 디자인, 승강장은 지하역사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승강장 형태는 [[상대식 승강장]]이다. [[경강선]] 전체 구간에서 [[판교역(성남)|판교역]], [[성남역]], [[이매역]], [[강릉역]]과 함께 지하역에 해당되며[* [[수도권 전철 경강선]] 구간 한정으로는 판교역, 성남역, 이매역과 함께 넷 뿐인 지하역이다.], 여주 방면 기준 마지막 지하역이다. [[경기광주역]]을 출발한 후 경안터널 진입 후 이 역까지 산 뿐만 아니라 아파트, 경충대로 아래를 지나 지하로 달리며, 이 역에서 곤지암역 방면으로 출발하자마자 다시 지상 고가철로로 달리게 되기 때문에 [[부산 2호선]] [[동원역]]과 비슷한 구조이다. 초월읍 시가지는 크게 쌍동IC 인근 언덕을 경계로 초월읍사무소가 있는 대쌍령리(대쌍)와 롯데아파트와 도곡초가 있는 쌍동리(소쌍)로 나눠져 있는데, [[경기광주역]]에서 곤지암을 직선으로 잇기 위해서는 쌍동리를 지나가는 것이 최선이었기에 역은 쌍동리에 세워진다. 다만 이 때문에 쌍령리 지역에서 역에 오기가 조금 어려워졌는데, 이를 어떻게 극복할지는 지켜봐야 될 듯. 근데 쌍령리 지역에서는 버스를 타고 오면 되긴 한다. 역 주차장은 75대(장애인 주차 구역 3개 포함) 정도 주차가 가능하다. 대합실에 책을 대여하거나 반납할 수 있는 스마트도서관이 있으며, 스마트도서관 기기 내부에 있는 책만 대출이 가능하다. 스마트도서관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대출증을 바코드에 찍거나, 회원번호를 입력해야 하며 회원번호는 광주시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에 회원가입을 하면 조회할 수 있다. 단, 스마트도서관에서 빌린 책은 스마트도서관에서만 반납이 가능하며 반납기한을 넘겨서 반납할 경우 '''연체한 일 수 만큼 광주시 내의 모든 도서관에서 대출이 불가'''하니 유의하도록 하자. 경강선에서 [[삼동역]]과 더불어 승강장 횡단이 안 되는 둘 뿐인 역 중 하나다. 여담으로 선개통 후완공이였다. 개통은 했는데 마무리 공사는 한창 진행 중이였다고(...)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