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킨텍스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입지 === 원래 킨텍스역이 종착역으로 계획되던 시절에는 [[현대백화점 킨텍스점]]-레이킨스몰 앞에 계획이 됐다. 그러나 [[운정중앙역|운정3지구 연장]]을 하게 되면서 운정 급회전을 할 구간이 부족해져서 현대백화점-레이킨스몰에 역을 놓기가 어려워졌다. [[국토교통부]]에서는 [[KINTEX|킨텍스]] 제1전시장과 제2전시장 사이의 한류월드로에다가 역을 놓든가, [[킨텍스 원시티]] [[아파트]] 단지 내부에 역을 놓든가 둘 중 하나를 정해야 했다. [[KINTEX|킨텍스]] [[전시장]] 측과 여기에 출자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서는 '당연히' 킨텍스 1-2 전시장 사이의 한류월드로 사이를 요구했다. 그런데 [[킨텍스 원시티]] [[아파트]]를 개발하면서 원시티를 개발하는 시행사 측이 [[기부채납]] 형식으로 역 부지 + 교통부담금을 무상제공하면서 '''킨텍스 원시티 103동 지하'''에 킨텍스역이 들어서게 됐다. 한류월드로 지하에 지으려면 [[국토교통부]]나 민자사업자가 돈을 내야하는데 원시티 아파트 103동 지하에 들어서게 되면 '''공짜로''' 역이 들어서게 되니까 말이다. 참고로 킨텍스역 건설비는 160억 원, 토지보상비까지 합칠 시 550억 원으로 전망된다. 킨텍스 원시티 측에서는 [[분양]]대금에 이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역 부지를 '''무상으로 정부에 제공'''했다. ||<nopad>[[파일:article232323.jpg|width=100%]]|| 무상제공으로 지하철역을 가져가버린 원시티 아파트 측에 대해 킨텍스와 KOTRA는 당황하여 2016년 1월에 KINTEX역을 킨텍스 1/2 전시장 쪽으로 붙여달라고 요구했다. 일부 [[고양시의회]] 의원들도 킨텍스 측 요구에 동의하여 갑론을박이 벌어졌으나, 상임위 단계에서 부결되었다.[[http://news1.kr/articles/?2551757|기사]] 2018년에도 킨텍스와 KOTRA에서는 [[고양시청]]과 [[고양시의회]]에 킨텍스역을 원시티 103동 위치에서 한류월드로 지하로 이전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제출시켰다. 그러나 이 결의안은 [[2018년]] [[8월 30일]]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3565455|'''반대 다수로 부결'''됐다]].[* [[킨텍스]]는 [[KOTRA]] 33.33%, [[경기도]] 33.33%, [[고양시]] 33.33%로 출자하여 의결권을 1:1:1로 행사한다. 즉 킨텍스에서 재정지출이 발생하면 출자사인 고양시에서도 [[예산]]을 작성해서 시의회 의결 후에, 추가예산을 지출해야 한다.] 결국 킨텍스 원시티 103동 지하에 킨텍스역이 마련되었다. 역이 킨텍스사거리 지하에 지어지게 되면서 [[킨텍스]] 입구까지 직선거리만 500~600m 정도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완공된 이후에 측정해 보니 예상보다 가까운 약 350m~380m 정도(1, 5번 출구 기준)로 드러났다. 기존에 킨텍스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노선이였던 3호선 [[대화역]]이 접근성 면에서 욕을 먹었던 게 '''2번 출구에서 킨텍스가 안 보인다'''는 심리적 이유였음을 생각하면, 일단 킨텍스역에서는 대화역처럼 도로 횡단을 안 해도 되는데다가, '''킨텍스가 시야에 훤하게 보인다'''는 점은 분명 이점이다. 사실 코엑스 전시장과 2호선 삼성역간 거리(약 420m), 3호선 대화역과 킨텍스 제1전시장 간 거리(약 550m)는 의외로 비슷하며, '''킨텍스역 개통 이후에는 삼성역-코엑스보다 킨텍스역-킨텍스 거리가 오히려 더 짧다.''' 그러나 거리가 멀다는 악평은 지금껏 코엑스가 아닌 킨텍스에만 집중되어 왔다. 이는 이용객들이 삼성역은 도심인데다 지하철역과 이어져 있다는 심리적 친밀감 때문에 걷는 것에 대한 저항감이 훨씬 덜하기 때문이다. 반면 대화역에서는 킨텍스가 이어져 있지 않고, 아파트 때문에 보이지도 않기에 심리적 저항감이 굉장히 강하다. 또한 킨텍스 제2전시장의 경우에는 기존 [[대화역]]에서 거의 1km 가까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킨텍스역 개통으로 거리가 거의 반절 이하로 줄어들며 전동 킥보드와 전기자전거 서비스의 보급으로 거리상의 단점이 많이 상쇄되었다. 실제로 앱을 통해 살펴보면 이 근처는 사설 전기자전거, 그 외 각종 킥보드 서비스들의 천국이다. 현재로써는 의외로 기존 [[일산신도시]] 접근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체감된다. 착공 후보였던 두 위치 모두 사실상 원시티, 장성마을, 대화마을, 문촌마을 일부분 등 도보로 접근할 수 있는 주거단지를[* 이 부분도 역사가 바로 위치한 위시티를 제외하면 도보로 15분 이상 소요된다.] 제외하면 일산신도시 도심에서 접근할수 있는 교통수단이 매우 한정적이기 때문이다. 이 점은 원시티 안의 교통 인프라가 조금 더 확충되면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실제로 [[고양 버스 98]] [[김포 버스 33]], [[고양 버스 N007]] 등 킨텍스역을 둘러싼 버스노선 개편도 활성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일산신도시 주민들은 기성 인프라인 일산선(3호선)/경의중앙선 역들을 이용해 [[대곡역]]으로 간 후 [[GTX A]]선으로 갈아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즉 킨텍스역을 직접 이용하는 일산 주민은 장성, 문촌, 대화마을과 킨텍스역을 끼고 있는 킨텍스 원시티 주민들 정도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킨텍스역 동측으로 [[EBS]] 본사, [[JTBC]] 스튜디오, [[빛마루]] 방송지원센터를 비롯한 업무, 방송 시설과 문화, 공연 시설이 들어오고 있고, 현 위치가 양쪽에서 이용하기 용이한 중간 위치에 해당하며, 2025년까지 [[일산테크노밸리]]와 장항택지지구, 일산방송밸리가 들어서는데 거기에 킨텍스지원단지까지 합치면 거의 일산신도시 절반 만한 면적이 주거지와 상업시설로 들어차게 된다. 해당지역에 대한 교통대책이 인천2호선 일산테크노밸리역(그나마도 2028년 예정) 이외에는 전무함을 고려하면 장차 큰 그림으로는 나쁘다고만 보기는 어렵다.[* 물론 일산신도시 절반만한 추가면적을 커버한다는 말은 해당 지구 조성 완료 이후에도 일산신도시의 1/3밖에 커버하지 못한다는 말과 다름이 없다. 또한, 3호선을 중심으로 긴 선형으로 개발된 일산신도시 구 시가지 특성상, 출퇴근 시간의 정체를 고려하면 기존과 같이 일산서구를 포함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차라리 3호선&중앙선 전철 연계가 가능한 대곡역 이용이 압도적으로 유리할 전망이다. 결과적으로 기존 일산신도시 주민들이 요구했던 서울과의 연계교통 추가 요구는 정작 일산신도시에 없는 대곡역이 예전과 다를 것 없이 충족시키게 된다. 다만 일산신도시와 서울 기준으로 대척점에 위치한 [[분당신도시]] 또한 [[성남역|GTX-A노선 역]]은 정작 분당신도시와 [[판교신도시]] 경계에 위치해 있다. 그리고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강선]]만 연계되는 성남역과 달리, [[대곡역(고양)|대곡역]]은 GTX를 포함해 '''4개 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다.'''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과 연계되는 점은 대곡역이 기존 신도시와 접근성에서 더 유리한 요소이다.] [youtube(fDHkXa7IecY)] 2023년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은 킨텍스역에서 킨텍스 제1-제2전시장 하부까지 연결하는 [[무빙워크]] 등 대책을 제시해 킨텍스역에서 킨텍스 접근성을 높이라고 지시하였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