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태백본선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개요 == [[충청북도]] [[제천시]] [[제천역]]과 [[강원도]] [[태백시]] [[백산역]]을 연결하는 [[철도]]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이후 최초로 신설된 간선철도'''이다. 노선색은 {{{#75787A 회색}}}인데, 이는 석탄의 회색[* 석탄은 검은색에 가까우나, 역명판 디자인 자체가 검은색 기반이라 시인성을 위해 회색을 사용한다.]을 상징한다고 한다. 전 구간이 전철화되어 있는 노선이다. [[함백선]]과 병주하는 구간을 제외하면 복선구간은 아예 없었으나 2013년 [[11월 14일]]에 제천 ~ 입석리(13.7km)간이 이설되면서 '''개통 64년''' 만에 신설되었다. 특징은 화물열차 비중이 매우 높고[* 여객열차 12편(상행 6편, 하행 6편)을 제외하면 전부 화물열차다.], 선로가 대한민국에서 제일 험난하다는 것[* 해발 1,268m인 두문동재를 넘어야 하는 지역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것이다. [[태백시]]내도 해발 1,100m에 달한다.], 대한민국에서 제일 해발고도가 높은 구간을 지난다는 것이다. 부설 목적부터가 이미 [[석탄]], [[텅스텐]], [[시멘트]] 수송이다. 그 때문에 1974년에 일찍이 전철화했고 지금도 [[전기 기관차]] 위주로 운행하는 노선이다. [youtube(HTIGKmnpIpY)] 예미역과 조동역 사이에는 30퍼밀짜리 구간이 있다. [[추전역]]은 해발 855m로 실효 지배중인 [[대한민국]] 영역에서 제일 높은 곳에 있는 역이다. 실제로 지나갈 때 귀가 멍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을 정도이다. 다만 태백선 [[철도]] 자체는 이 일대에서 '''해발 고도가 가장 낮은 지역'''만 다닌다. 정선(민둥산)-태백을 잇는 '''두문동재는 해발 1,268m'''[* 두문동재 정상(구 [[38번 국도]]) 기준. 2022년 기준 현 38번 국도에 있는 두문동재터널의 높이는 1,048m.]에 달하는데 철도는 두문동재를 넘지 못해 [[터널]]을 뚫었기 때문이다. [[38번 국도]]를 [[자동차]]로 타고 다니다 보면 태백선 철도가 '''한참 아래에''' 보인다. 현재 제천 ~ 태백은 무궁화호 기준 1시간 50분이 걸리며, 청량리 - 원주 - 제천 - 태백 - [[동해역|동해]]까지 운행하는 무궁화호 및 [[ITX-마음]]이 경유한다. 주요 경유지는 [[제천역|제천시]] - [[영월역|영월군]] - [[민둥산역|민둥산]] - [[고한역|고한읍]] - [[태백역|태백시]](구 황지역)이며, 제천역에서 [[중앙선]] 및 [[충북선]]과, 태백시 [[백산역]]에서 [[영동선]]과, 그리고 정선군 민둥산역에서 [[정선선]]과 접속한다. 중앙선과 영동선을 빠르게 연결하는 중요한 철도이며, [[충북선]]과 비슷하다. [[38번 국도]] [[강원도]] 구간[* 제천 ~ 동해]과 선형이 비슷하며, 철도판 38번 국도라고 불러도 될 수준이다. 다만, 선형은 도로가 더 한 수 위라 철도가 뒤쳐지기도 한다. 4,505m로 한때 한국에서 가장 긴 터널이던 정암터널[* 전라선 슬치터널 관통 후 콩라인으로 밀렸고 금정터널, 솔안터널, 대관령터널, 율현터널이 개통한 뒤 순위에서 밀려났다.]이 고한역과 [[추전역]] 사이에 있다. 태백선에서 두 번째로 길다. 복선화 구간의 송학터널([[제천역]] ~ [[입석역]])이 '''5,985m'''로 제일 길기 때문. 험지를 지나가다보니 [[영동본선|영동선]]과 마찬가지로 BT급전 방식을 채택하였는데 이 때문에 변압기 용량이 작고 급전구간이 4km 내외로 짧다. 그래서 EF80계가 대거 운용되던 과거에는 열차간 교행 시 정거장에 먼저 도착한 열차가 MCB를 차단하고 대기하였다고 하며, 이는 EF80계가 운행하면서 발생하는 고조파(高調波), 전압강하 등에 의해 같은 섹션내 전기차량의 전기·전자기기 고장을 방지하기 위함이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