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태백본선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사 == 의외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https://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523739|[태백선, 산업선에서 관광선으로] 1. 태백선의 유래]]] 본래 1949년부터 1971년 사이에 여러 단계에 걸쳐 지하자원 수송을 위해 건설한 지선들이 기원이며, 1973년에 이 지선들 중 고한선과 황지지선을 연결한 후 주요 구간을 하나의 노선으로 통합하여 현재와 같은 형태의 노선이 되었다. 1967년에 신설된 [[정선선]]도 역사에 포함하였다. * 1937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충북선]] 연장으로 충주 ~ 제천 ~ 영월 간 허가를 받았으나 실행되지 못함. * [[1949년]] [[11월 16일]]: 제천 ~ 송학 간 임시개통[*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올라가면 당해 4월에 해당 노선 착공 논의가 나온다. 적어도 공사에 7개월이 소요됨을 알 수 있으며, 개통 기사에서도 급속도로 지어졌음을 언급한다.]을 시작으로 영월선 착공. * [[1953년]] 1월: 영월선 공사 재개 * 1953년 9월 21일: 입석리역, 쌍용리역 개업 * 1955년 [[9월 10일]]: 연당역 개업 * 1956년 1월 17일: 영월선(제천 ~ 영월) 개통 * 1957년 3월 10일: 함백선(영월 ~ 함백) 개통 * 1962년 12월 10일: 황지지선[* 황지 본선은 통리 ~ 심포리 구간으로, 인클라인 대체 목적으로 1963년에 개통된 뒤 [[영동선]]으로 통합되었다.](백산 ~ 황지) 개통 * 1964년 [[4월 1일]]: 정양선(영월화력선) 개통 * 1966년 1월 15일: 고한선(자미원 ~ 사북) 개통 * [[1966년]] 1월 19일: 고한역 개업 * 1967년 1월 20일: 정선선(증산 ~ 별어곡) 개통으로 예미 ~ 함백 구간은 [[함백선]]으로 분리 및 개명 * [[1967년]] 6월 1일: 장락역 개업 * 1967년 12월 30일: 정선선 별어곡 ~ 정선 구간 연장 개통 * 1969년 10월 15일: 정선선 [[나전역]] 연장 개통 * [[1971년]] 1월 4일: 제천 ~ 고한 구간 전철화 착공 * 1971년 5월 21일: 정선선 [[아우라지역]] 연장 개통 * [[1973년]] 2월 28일: 정암터널 준공 * 1973년 11월 10일: 고한 ~ 황지 구간 개통을 끝으로 모든 노선을 통합하여 '''태백선'''으로 최종 개명. * 1974년 6월 20일: 제천 ~ 고한 구간 전철화 완료로 [[8000호대 전기기관차|EF80계 전기기관차]] 운행개시.[* [[https://www.joongang.co.kr/article/1379265|태백 준영도 단숨에 「고속철마」전철…제천-고한 간 개통]]] * 1975년 12월 5일: 고한 ~ 백산 구간 전철화 완료 * [[1977년]] 3월 1일: 두평역 개업 * 1977년 [[8월 13일]]: ATS 완공 * 1978년 [[1월 1일]]: 청령포신호장 개업 * 1980년 11월 1일: [[EEC 전동차|우등열차]] 운행개시.[* [[https://www.joongang.co.kr/article/1549256|철도청, 11월부터 영동·태백선에 전동차운행]]] * [[1984년]] 4월 10일: CTC 완공 * 1984년 12월 1일: 황지역이 태백역으로 개명 * 1990년 3월 15일: [[새마을호]] 운행개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447500?sid=101|15일부터 태백선에도 새마을호 운행]]] * 1994년 11월 9일: 청령포 ~ 영월 구간을 직선화 및 이설 완료[* 1990년 9월 11일 대홍수로 '''철교가 붕괴'''되어 영월 이북 구간이 임시 휴업에 들어간 지 4년만에 복구되었다.] * 1995년 2월 16일: 두평역이 탄부역으로 개명 * 2007년: 정양선 폐선 * 2008년 3월 10일: 탄부역, 연하역 여객취급 중지와 동시에 신호장으로 완전 격하[* 탄부역은 편의상 역으로 불릴 뿐 '''단 한번도 무배치간이역으로조차 승격된 적이 없다.'''] * [[2009년]] 9월 1일: 증산역이 민둥산역으로 개명 * [[2013년]] 11월 14일: 제천 ~ 입석리 간 복선전철화 공사 완료와 동시에 장락역, 송학역 폐역 * 2017년 12월 18일: 추전역 화물취급 중지 * 2020년 12월 31일: 석항역 화물취급 중지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