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평택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 정보 ==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고, 2005년에 [[경부선|경부선 전철]]이 [[병점역]]에서 [[천안역]]까지 연장되며 광역전철이 운행하게 되었다. '''[[경기도]] 전체에서 [[수원역]] 다음 2번째로 [[일반열차]] 이용객이 많은 역'''인 만큼 보통등급은 필수정차하고, 쾌속, 특별쾌속 등급 열차들도 평택역에 정차한다. 다만, 수원경유 KTX는 통과한다.[* 평택역뿐만 아니라 장항선이 분기하는 천안역, 충북선이 분기하는 조치원역도 통과하여 대전역으로 직행한다. 수원~대전 구간만큼은 '''대전 직행 KTX'''인 셈이다.] 2006년부터 [[민자역사]] 공사를 진행하여 2009년 4월 24일에 완공하였으며, 그동안 임시역사를 개설해 영업하였다. [[수원역]]과 비슷하게 [[타임빌라스|타임빌라스 평택점]], CGV 평택, 북스리브로, ABC마트 등이 입점해 있다. 역 내에는 뚜레쥬르,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와 푸드코트가 있다. 푸드코트 쪽에는 던킨도너츠와 CU가 있다. 타임빌라스 7층에는 전문식당가가 있다. 개업 당시인 구한말에는 평택 땅이 5개 군으로 쪼개져 있었고, 평택역은 [[경기도]] 진위군과 [[충청남도]] 평택군의 경계에 있었으며 그 중 진위군 소속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위역이 아닌 평택역이 된 이유는 역이 진위군 중심지인 현 진위면보다 평택군 중심지인 현 팽성읍이 더 가까웠기 때문이다. 이후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현 평택 일대가 '''진위군'''으로 통합되었다가, 군 중심지가 진위면에서 평택역 일대로 이동하며 1938년 아예 고을 이름이 '''평택군'''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이 역이 위치한 곳도 자연스럽게 평택동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초대 역사는 안성천을 통한 수운 연계를 위해 지금보다 더 안성천에 가깝게, 즉 서쪽에 위치해 있었으나 6.25 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후 2대 역사부터는 동쪽에 새로 옮겨지었다고 한다.[* [[http://www.pt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8250|「평택역, 근대 도시를 열다」]], 평택시민신문, 2009-03-25] 현 평택역 서쪽이 '''원'''평동으로 불리고, 동쪽이 '''신'''평동으로 불리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전철과 일반열차가 모두 정차하는 만큼 평택역 이용객에게는 타지역으로 갈 때 두 개의 선택지가 존재하는 셈이다. 보통 [[오산역]]이나 [[수원역]]으로 갈 때는 싼 전철을 이용하지만, [[영등포역]]이나 [[서울역]]이 목적지일 때는 빠른 일반열차를 타는 경우가 많다. 평택역에서 서울역까지 쾌속을 타면 1시간 20분, 각역정차로는 무려 '''1시간 40분'''이나 걸리지만 일반열차를 타면 50분~1시간만에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안양역]]까지는 완행 기준 1시간이 소요되므로 대략 안양역 이북부터 슬슬 일반열차를 타는 사람들이 생긴다. 이 역은 경부선 전철에서 [[광명역]]과 함께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 역|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없는]] 둘 뿐인 역이다. 반대편 승강장으로 가려면 무조건 교통카드를 한 번 더 찍고 개찰구를 다시 통과해야 하는 구조이다. 민자역사가 완공되기 전까지는 횡단이 가능했으나 완공 후 현재와 같이 변경되었다. 서울특별시의 [[시청역(서울)|시청역]]도 동일한 구조이지만 이쪽은 환승통로를 통해 횡단이 가능하다. 물론 비상게이트를 이용해 역 직원에게 반대쪽으로 간다고 말하면 반대편 횡단이 가능하다. 다음역인 [[성환역]]부터는 [[충청남도]] [[천안시]]에 진입하게 된다. 이 역 이북에서 출발하면 이 역을 지난 시점으로부터 4km당 100원씩 올라간다. 원래는 천안/아산시 버스와의 환승할인도 되지 않았지만 2022년 3월 19일부로 천안시와 아산시에서 수도권 통합 요금체계와 별개로 천안형 환승할인 체계가 마련되어 경부선 전철과 천안버스 간 환승시 할인이 적용된다. 이 점은 평택역에 들어오는 천안버스와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단, 평택~천안역에서만 적용되며 버스, 경부선 승하차 처리시간 기준 '''45분''' 내로 환승해야 할인이 적용된다. 이외 역에서 승하차하거나 승하차 후 45분이 초과되면 적용이 불가하다. 이 역의 다음역인 [[성환역]]까지의 역간거리는 무려 '''9.4km'''로 경부선 전철 전 구간에서 가장 길다. 성환역의 이용 인구 수가 적은 편이 아니라서 쾌속열차가 평택역과 성환역에 전부 정차하며 [[경부본선]] 계통 열차도 정차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