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239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방배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아무나이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2호선]] {{{+1 '''方背驛''' (白石藝術大)[br]'''Bangbae Station''' (Baekseok Arts Univ.)}}}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tablebgcolor=#ffffff,#2d2f34><bgcolor=#293896> [[서울교통공사|[[파일:SeoulMetro_Wlogo.svg|height=50&align=left]]]][[서울교통공사|{{{#fff 서울교통공사}}}]][br]'''{{{#fff {{{+2 방배역}}}[br](백석예술대)}}}'''|| ||<width=120><:><-2>[[강남역|{{{-2 {{{#000,#fff 외선순환}}}}}}]][br][[서초역|서 초]][br]← 1.7 ㎞||<-2><:><width=120><bgcolor=#11A84D>[[파일:SM-2.svg|width=20]][br][[서울 지하철 2호선|{{{-2 {{{#fff 2호선[br]225}}}}}}]]||<-2><width=120><:>[[신도림역|{{{-2 {{{#000,#fff 내선순환}}}}}}]][br][[사당역|사 당]][br]1.7 ㎞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지하1822 ([[봉천동]] 979-2)||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11A84D>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4>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theme=light]][[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width=180&theme=dark]]]]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11A84D>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4><:>1984년 5월 22일||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2호선]] 225번.[* 개정 전 25번.]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로 지하80 ([[방배동]] 912-14) 소재. == 역 정보 == 1983년 강남구 방배동 시절 운행개시하여 강남구 직속이었으나 서초구가 분리신설되어 서초구 관할이 된 2호선 역으로, 방배동의 중앙에 있다. [[서초역]]과 더불어 2호선에서 혼잡역으로 손꼽히는 [[사당역]], [[교대역(서울)|교대역]], [[강남역]] 사이에 있어서 앉아서 가기 매우 어렵지만 이 역들에 비하면 그나마 상대적으로 한적하고 구조도 단순하다. 물론 사당, 교대, 강남역에 비해 한적할 뿐 다른 노선의 역들에 비하면 혼잡하다. 2016년 7월 초에 유상 병기역명으로 "[[백석예술대학교|백석예술대]]"가 추가됐다. 이 역과 서초역 사이의 열차 주행소음이 심각하다. 급곡선과 콘트리트 도상 때문이다. 선형을 보면 효령로에서 명달로를 거쳐 서초대로로 진행하는데 명달로와 다른 두 도로로 바뀌는 구간의 곡선이 매우 급격하다. 사당역 사이의 선로도 급곡선이라 소음이 심하지만 서초역 사이보다는 덜하다. 효령로에서 남부순환로로 바뀌는 구간은 서초역으로 가는 구간보다는 곡선이 완만하다. 2023년 기준 재설치된 스크린도어 시운전을 완료하였고, 정상가동 중이다. 개폐음은 5678호선에서 쓰는 개폐음을 적용했다. 이로써 방배역은 1234호선 중에서 최초로 5678호선 스크린도어 개폐음을 적용했다. 이 역과 [[서초역]] 사이에는 급곡선 구간이 있어 속도가 60km/h로 제한되어 있어 운행이 느리다. 역출입 및 승하차가 불편하다. 우선 개찰구에서 승강장으로 통하는 계단이 많이 좁고 엘리베이터는 있으나 에스컬레이터는 없다. 또한 에스컬레이터는 4번 출구에, 엘리베이터는 3번 출구 근처에 있기 때문에 오르막 방면인 1, 2번 출구에서 오고가는 이용객들은 출입하기가 상당히 불편하다. [[https://www.ehistory.go.kr/view/movie?mediasrcgbn=KV&mediaid=20146800&mediadtl=38778&mediagbn=DK|관련 영상 (지하철 2호선 보충(1983년))]] == 역 주변 정보 == [[서울고등학교]], [[상문고등학교]], [[이수중학교]] 등의 학교가 있어서 중,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놀이터 취급을 받고 있다. [[세화여자고등학교]]나 [[서문여자고등학교]], [[동덕여자고등학교]] 등에 재학중인 여자 중고등학생들도 중학교 때 친구, 이성교제 등을 이유로 잘 놀러가는 서초구 서북부에 거주하는 중고생들의 놀이터 중 하나이다. 서클 간 대면식 등의 이성교제 목적으로는 카페골목을 더 선호며, 주변에 그러한 시설이 많다. 인형뽑기방과 놀이방은 물론 피시방과 노래방도 즐비하고, 3대 패스트푸드점이라 할 수 있는 [[맥도날드]](3번 출구), [[롯데리아]](4번 출구)가 다 있고 [[스타벅스]], [[커피빈]], [[탐앤탐스]], [[할리스]], [[투썸플레이스]], 마노핀 등 프랜차이즈 카페도 매우 많다. [[미스터피자]]와 [[도미노피자]]나 [[파리바게뜨|파리바게뜨 카페]] 등도 있다. 반면 역 남쪽(1~2번 출구) 방면은 주거지역으로, 80년대 초 아파트촌이 조성된 이래 재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서 다소 낙후됐다. 물론 그럼에도 기본적으로 땅값이 비싼 동네이고 옛날 아파트들이라 평수가 크기 때문에 집값은 만만치 않다. 그리고 사무실 건물이 조금 있고 2021년 7월 방배그랑자이가 입주를 시작했기에 향후에 발전 가능성이 있다. 2번 출구에 [[백석예술대학]]과 백석대학교 대학원이 있다. 꾸준히 건물 수를 늘리고 있으며, 크기에 비해 학생 수도 많다. 역세권 대학가가 되어 이 곳을 홍대 앞인듯 무분별하게 노는 예대 학생들이 많아 주민들의 백석예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생겨나고 있다. 개강 시즌에는 백예대 학생들이 방배역 인근의 모든 PC방을 이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관공서로는 [[서울남부보훈지청]]이 있다. 1번 출구로 나와서 방배 신동아아파트 방면으로 올라가면 나온다. [[우면산]]이 근처에 있어서 2011년 여름 당시 침수피해를 심하게 받은 역 중 하나이다. 열차 운행 중지, 혹은 통과 등의 대형 사태는 발생하지 않았다. 1번 출구에서 약 5분 거리에 효령대군묘([[청권사]])가 있어서 방배효령아파트, 효령로, 효령프린스빌딩 등 길이나 아파트 이름에 효령이라는 이름이 들어간 것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효령프린스빌딩은 미스터피자 본사 바로 옆에 있으며 청권사와 관리주체가 같다. [[전주 이씨]] [[효령대군]] 종파회관이 이 빌딩에 있다. == 승강장 == ||<-4> [[서초역|서초]] ↑ ||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내}}}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외}}} || ||<-4> ↓ [[사당역|사당]] || ||<width=25px><bgcolor=#00a84d> {{{#ffffff 외}}} ||<|2> [[파일:SM-2.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교대역(서울)|교대]]·[[잠실역|잠실]]·[[성수역|성수]]·[[왕십리역|왕십리]] 방면|| ||<width=25px><bgcolor=#00a84d> {{{#ffffff 내}}} ||[[사당역|사당]]·[[신림역|신림]]·[[신도림역|신도림]]·[[홍대입구역|홍대입구]] 방면|| 이 역부터 [[선릉역]]까지 모든 역이 오른쪽 문만 열린다.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SM-2.svg|height=20]] [[서울 지하철 2호선]] || ||<width=34%><-2><:>[[강남역|{{{-2 {{{#000,#fff 강남}}}}}}]]{{{-2 {{{#000,#fff ·}}}}}}[[잠실역|{{{-2 {{{#000,#fff 잠실}}}}}}]] {{{-2 {{{#000,#fff 방면}}}}}}[br][[서초역|서 초]][br]← 1.7 ㎞||<width=16%><bgcolor=#00a84d><color=#fff> {{{-2 외선[br]外線}}} ||<width=16%><bgcolor=#00a84d><color=#fff> {{{-2 내선[br]內線}}} ||<width=34%><-2><:>[[신도림역|{{{-2 {{{#000,#fff 신도림}}}}}}]]{{{-2 {{{#000,#fff ·}}}}}}[[홍대입구역|{{{-2 {{{#000,#fff 홍대입구}}}}}}]] {{{-2 {{{#000,#fff 방면}}}}}}[br][[사당역|사 당]][br]1.7 ㎞ →|| == 사건 사고 == === [[스크린도어]] 교체 작업 관련 === 2018년 10월부터 2019년 1월 12일까지 새로운 [[스크린도어]]로 교체 작업을 했다. [[김포공항역 스크린도어 사망사고]]를 계기로 시작된 일부 역의 스크린도어 교체 사업 중 하나이다. 특히 이 역은 서울 지하철 역 중 스크린도어 장애가 제일 많이 일어났기에 우선적으로 교체 작업을 했다.[* 이태수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170112066200004|「2호선 성수·방배 등 4개역 스크린도어 다시 설치한다」]], 연합뉴스, 2017. 1. 12.][* 김지유 기자, [[https://www.newspim.com/news/view/20171025000103|「[국감2017] 서울지하철 스크린도어 고장 2호선 성수역 1위」]], 뉴스핌, 2017. 10. 25.] 현재는 양방향 승강장 스크린도어가 공사 완료되어 가동 중이다. 2018년 11월 4일, [[시각장애인]] A씨가 선로로 추락했다. 내선순환([[신도림역|신도림]] 방면) 승강장은 스크린도어 재설치 공사가 한창이었다. A씨는 스크린도어가 없는 것을 보지 못하고 유도길(점자블록)을 따라 그대로 걷다가 떨어졌다. 안전요원이 바로 구조했지만 허리 통증을 호소한 A씨는 병원에서 치료 중이다. 승강장에는 '발빠짐 주의'라는 안내 문구가 붙어 있었지만 시각장애인에게는 사실상 무용지물이었다. 안전요원이 시민들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했고, 안내 방송도 미흡했다는 지적이 많다.[* 안상우 기자, [[https://v.daum.net/v/20181104202409281|「스크린도어 치운 선로로 장애인 추락..허술한 안전조치」]], SBS 뉴스, 2018. 11. 4.] 그 후 승강장에서 스크린도어 교체 공사중임을 알리는 안내방송을 실시하였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239)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239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