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7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신이문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아무나이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분류:경원본선]][[분류:경원선]] [include(틀:다른 뜻, other1=망우선의 이문역 및 이문차량사업소, rd1=이문차량사업소)] {{{+1 '''新里門驛'''[br]'''Sinimun Station'''}}}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0ab84><tablebgcolor=#ffffff,#2d2f34> [[DH강원철도|[[파일:KANGWON_Wlogo.svg|height=50&align=left]]]][[강원철도|{{{#fff 강원철도}}}]][br]'''{{{#fff {{{+2 신이문역}}}}}}'''|| ||<|2><width=120px><-2><:>[[동두천역|{{{-2 {{{#000000,#fff 동두천 방면}}}}}}]][br][[석계역|석 계]][br]← 1.4 km||<|2><-2><width=120px><:><bgcolor=#0072bc>[[파일:DH-KK.png|width=20]][br][[경원선|{{{-2 {{{#fff 경원선[br]KK21}}}}}}]]||<width=120px><-2><:>{{{-2 [[청량리역|{{{#000000,#fff 청량리 방면}}}]]}}}[br][[외대앞역|외대앞]][br]0.8 km →|| ||<-2><bgcolor=#0072bc> [[청량리역|{{{#ffffff {{{-3 1호선 경유[br]경부선·경인선 직통 ▶}}}}}}]]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 (이문동 7) ||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0072bc> [[경원선|{{{#ffffff 경원선}}}]] ||<-4> [[강원철도|[[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width=180&theme=light]][[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width=180&theme=dark]]]]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0072bc> [[경원본선|{{{#ffffff 경원본선}}}]] ||<-4> 1980년 1월 5일 || ||<-6><bgcolor=#c0c0c0,#383b40> '''철도거리표''' || ||<-2><:>[[용산역|{{{-1 {{{#000,#fff 용산 방면}}}}}}]][br][[외대앞역|외대앞]][br]← 0.8 ㎞||<colbgcolor=#f5f5f5,#373a3c><-2><:>'''[[경원본선]]'''[br]신이문||<-2><:>[[안변역|{{{-1 {{{#000,#fff 안변 방면}}}}}}]][br][[석계역|석 계]][br]1.4 ㎞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원선]] KK21번.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 (이문동 7) 소재. == 역 정보 == 개통 당시에는 현재의 북부 역사 역할을 하는, 승강장 북쪽 끝에만 선상역 형태로 맞이방이 있었고 출구도 1번과 2번밖에 없었다. 2004년 즈음에 이문차량기지의 시설을 활용해 대우아파트 쪽으로 통하는 3번 출구를 만들었고, 2007년 4월 15일 승강장 남쪽 끝에 남부 역사로써 새 맞이방과 출구(4번, 5번)를 만들었다. 새 역사를 크게 짓기에는 주변 땅이 부족해 선로 양쪽으로 난 4번과 5번 출구는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즉, 4번 출구로는 동두천 방향, 5번 출구로는 서울역/인천 방향 승강장으로만 갈 수 있다. 4번 출구와 5번 출구 사이에 지하차도가 있어 왕래가 쉽다. 다른 역의 스크린도어와는 달리 이 역의 스크린도어 개폐음이 특이하다. 이 개폐음은 과거 옛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의 스크린도어 설치 초기의 개폐음이다. 하행 막차가 일찍 끊긴다. 평일에는 23시 38분에, 주말에는 23시 37분에 구로행 막차가 이 역을 출발한다. 경사가 있어서 승강장 틈새가 매우 넓다. 그래서 2010년에는 [[서울지하철공사]] 시절의 구형 승강장 안내방송[* 1996년 부터 사용했었다.]인 "딩동댕~ 우리역은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습니다. 타실 때 발이 빠질 염려가 있사오니 조심하시기 바랍니다."를 잠시 인용하였다. 스크린도어 설치 이전에는 승강장 하부에 발빠짐 주의용 경보버저를 설치했었다.[* 한남역, 구 옥수역, 과천역, 삼송역 등 에도 설치했었다.] 이 역부터 청량리역까지 모든 역의 주역명이나 부역명은 대학 이름이거나 한때 대학 이름이었다: 신이문역 옛 부역명([[한국예술종합학교]]), 외대앞역([[한국외국어대학교]]), 회기역 옛 부역명([[경희대학교]]), 청량리역 부역명([[서울시립대학교]]) 등이다. 석계역을 건너뛰면 [[광운대역]]과 월계역 부역명([[인덕대학]])도 대학 이름이다. === 역명 관련 === 역명을 지을 때는 [[망우선]] [[이문역]][* [[1964년]] 개통되었다 당시는 없었다가 [[1966년]] 무연탄 화물수송위해 역을 신설하였다.]과의 명칭 중복을 피하기 위해 '신'이문으로 정했다. 이문역이 [[이문차량사업소]]로 전환된 지금은 신이문이라는 명칭이 주변 주민들에게 익숙해졌고, 바꾸려면 비용도 발생하니 그대로 신이문역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래서 신이+[[門]]("신이"라는 이름의 문)이 아닌 신+이문(새로운 이문)이다. 新里門을 어떻게 발음해야 맞는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은데, 대개 {{{[}}}시니문녁{{{]}}}으로 발음한다. 신이문은 지역명인 '이문'에 구 이문역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신(新)'을 넣은 것으로, '신+(이문+역)'의 형태로 어절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므로 {{{[}}}실리문{{{]}}}이라고는 할 수 없다. 한글 맞춤법 제11항에 따르면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단어는 두음법칙을 적용해야 한다. 여기서 "신"은 "새로운"이라는 의미를 더하는 접두사로 쓰였으므로 신룡산, 신리문이 아니라 [[신용산역|신용산]], 신이문으로 표기한다. 한편 표준발음법 제7장 제29항을 보면 접두사에 받침이 있고 뒷 단어가 '이'로 시작하면 {{{[}}}니{{{]}}}로 발음하며, 이에 의하면 {{{[}}}신니문녁{{{]}}}으로 읽어야 되겠지만, 동 항의 예(송별-연/송ː 벼련/, 등-용문/등용문/ 등)처럼 규정과 실제 발음이 다르다면 실제 발음을 따르는 별도 규정이 있기 때문에 결국 {{{[}}}시니문{{{]}}}이 맞다. 만일 지역명이 처음부터 "新里門"이었다면 {{{[}}}실리문{{{]}}}으로 발음될 수 있으나, 이때는 표기 자체가 '신리문'이 된다. [[신례원역|신례원]](新禮院)역이라는 유사 사례가 있다. 부역명은 [[한국예술종합학교]]이었으나 부역명 계약기간 만료로 해지되었다. 이 때문에 안내방송에서도 빠졌다. 정문 기준으로는 신이문역이 가까우나, 후문이나 쪽문 등의 부수적 출입구까지 생각하면 오히려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의 [[돌곶이역]]이나 [[상월곡역]] 쪽이 더 가깝다. === 노후화 문제 === 1980년에 개통되어 40년 가까이 쓰이고 있는 역이지만 관리가 미흡한 탓에 건물 일부가 갈라지고 군데군데 부식되어 떨어져나간 모습을 볼 수 있다. 더 큰 문제는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공간과 밟고 다니는 승강장까지 이런 노후화가 심각한데도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JTBC 뉴스룸]] '밀착카메라'에서 2017년 11월에 1호선 노후화를 문제삼는 뉴스를 내보낼 때 이 역과 [[광운대역]]을 취재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rVhuZTH-DL8|「[밀착카메라] 갈라지고 파이고…불안한 '낡은 지하철역'」]], JTBC, 2017-11-14]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외관이 상당히 오래되어 보이고 비둘기도 많이 살았지만 차차 공사가 진행되어 현재는 그런 모습이 많이 사라졌다. 역 위의 고가도로에도 문제가 있다. 2020년 8월 5일 오전 5시에 고가도로 하부에 물받이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떨어졌다. 보수 작업을 위해 오전 6시 10분부터 지하 [[청량리역]]과 [[광운대역]] 구간은 약 6시간 동안 운행을 중단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507602?sid=102|「경원선 광운대역∼청량리역 구간 운행 중단됐다 6시간만에 재개」]], 한겨레, 2020-08-05] 역사가 노후화되어 재건축을 검토 중에 있으나 재정 문제와 고가도로 문제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 승강장 == ||<-4> ↑ [[석계역|석계]] || ||<width=10px><bgcolor=#0072bc> {{{#ffffff 1}}}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0072bc> {{{#ffffff 2}}} || ||<-4> [[외대앞역|외대앞]] ↓ || ||<width=10px><bgcolor=#0072bc> {{{#ffffff 1}}} ||<|2> [[파일:DH-KK.png|width=17]] [[경원선]] ||[[광운대역|광운대]]·[[의정부역|의정부]]·[[동두천역|동두천]] 방면|| ||<width=10px><bgcolor=#0072bc> {{{#ffffff 2}}} ||[[회기역|회기]]·[[청량리역|청량리]] 방면[br]{{{-2 (직통 [[인천역|인천]]·[[동탄역|동탄]]·[[천안역|천안]] 방면)}}}||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DH-KK.png|width=20]] [[경원선]] || ||<width=34%><-2><:>[[동두천역|{{{-1 {{{#000,#fff 동두천 방면}}}}}}]][br][[석계역|석 계]][br]← 1.4 ㎞||<width=32%><-2><bgcolor=#0052a4><color=#fff> {{{-1 각역정차[br]各驛停車}}} ||<width=34%><-2><:>{{{-1 {{{#000,#fff [[인천역|{{{#000,#fff 인천}}}]]·[[동탄역|{{{#000,#fff 동탄}}}]]·[[천안역|{{{#000,#fff 천안}}}]] 방면}}}}}}[br][[외대앞역|외대앞]][br]0.8 ㎞ →|| ||<-2>|| || ||<-2> || == 역 주변 정보 == 2007년 개통된 남부역사 5번 출구에는 [[남태령역]]의 3초 [[역세권]]을 뛰어넘는 '1초 역세권'이 있다. [[생생정보통]]에도 소개됐다.[*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freeboard&no=3071746|관련 게시글]], 뽐뿌, 2013년 12월 11일] 그러나 신이문역은 지상 역이다. 여기는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구간이라 화물열차가 지나다니고 일부 주택은 한쪽 담벼락이 철도 방음벽일 정도로 완전히 붙어 있어 소음이 심하다. [[광운대역]] 이남 구간의 철도 통행량도 매우 많다. 이러한 요소들이 작용하여 이 역세권의 집값은 오르지 않고 내려간다. 사진 속의 집은 [[이문휘경뉴타운]] 이문4구역에 속하며 이문4구역은 사업진행이 매우 느리다. 이문4구역 [[재개발]]이 시행되면 저 집은 철거될 예정이다. [[이문휘경뉴타운]] 사업으로 인해 신이문역 5번 출구 주변 건물들은 전부 철거되고 있다. 대신에 지금의 5번 출구도 집과 상당히 가깝다. 인근에 [[이문차량사업소]]와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지역관리단이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도 인근에 있어 이른 아침 역전에서는 교직원들과 학생들이 [[택시]]를 타고 가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학교 측 [[셔틀버스]]는 아침에만 운행하기 때문에 그 외 시간대에는 걸어가거나 [[택시]]를 타야만 한다. 1번 출구를 빠져나오면 바로 앞에 오래된 지역 명물과도 같은 튀김가게가 있으며 현재(2022년 3월 기준)는 평일, 토요일에만 운영한다. 5번 출구 쪽에는 작은 시장이 존재한다. 4번 출구 쪽에서 오려면 오른쪽으로 돌아서 가다 약간 큰 골목으로 가면 승강장 밑인데, 왼쪽으로 돌아서 직진하면 나오는 지하 통로를 통과하면 바로 시장이다. 지하보도 높이는 1.7m이다. 예전에는 과일가게 몇 개와 마트밖에 없었는데 두부, 식당, 횟집, 치킨집, 수선집 등이 생기며 규모가 커졌다. [각주]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7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7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