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432 건 / 처리 시간 0.069초

중동역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개발계획이 수립된 것은 1989년이므로 잘못된 서술이다. 또한 역이 위치한 곳 역시 중동신도시 구역에도 해당되지 않는다.[3] 현재 기준으로 1번 출구에는 "중 동 역"이라는 역명판이 "중동" 으로 바뀌었…

시청역(서울)

…부터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2호선의 환승역으로 기획되었던 역이다. 1호선 개통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초창기 2호선 계획이 백지화되었지만 지금의 순환선으로 수정됨과 동시에 1-2호선 환승역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였다.1974년 1…

신김천역

新金泉驛Sin-Gimcheon Station동해철도신김천역서울 방면지 탄← 46.9 km경부고속선부산 방면동대구55.3 km →◀ 경의고속선 직통김천 방면김 천← 4.3 km대경선동대구 방면대 신5.4 km →주소경상북도 김천시 농소면 신촌리 1089-26역 운영기관경부고속선대경선개업일…

추암역

…추암오토캠핑장, 이사부사자공원이 있다.역 서쪽으로 강원경제자유구역 동해자유무역지역, 북평국가산업단지가 있는데 강원경제자유구역의 경우 외자 투자가 부진하여 상당부분의 대지가 야적장 형태로 방치되고 있다. 4. 역 및 승강장 [편집] ↑ 동해2ㅣㅣ1삼척해변 ↓1■ 동해선…

도계역

…인 지역이기 때문이다. 도계역 바로 뒤에 가행중인 탄광인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가 위치해 있다. 또한 도계역 뒷편 저탄장에는 폐석 운반용 강삭철도가 있다. 읍내 반대방향인 남쪽으로 가다 보면 도계전두시장 및 오십천변 까치발 건물들이 있고, 더 올라가면…

양동역(경기)

…삼각 박공지붕이 소담스러웠던 80㎡ 규모의 목조 기와 단층 역사였지만, 2009년 중앙선 복선전철화 사업으로 임시역사를 거쳐 현재의 역사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다른 중앙선 역사들이 위치가 조금씩 바뀐 것과는 달리, 옛 역사 자리를 그대로 지키는 동시에 커튼월로…

매곡역(경기)

…리 마을회관 인근에 자리하고 있었다. 2012년 8월 중앙선 복선전철화 사업으로 약 1.3km 떨어진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2005년부터 무인역으로 운영되어오던 매곡역은 새로운 터전으로 이전하였지만, 여전히 무인역이다. 선로 아래 지어진 작은 선하…

백운역

…이유로 "십정역", 또 그 주변 동네의 오래된 이름인 신촌[1]을 따서 "신촌역" 등의 의견도 나왔고 나름 유력하기도 했으나 백운이 어감이 좋다고 해서 백운역이 되었다.초창기 백운역사는 오르락내리락 할 필요없이 골목길에서 개찰구를 찍고 들어가면 바로 승강장, 그리고…

이매역

…방면삼 동6.9 km →1. 개요2. 역 정보3. 승강장3.1. 수인·분당선3.2. 경강선1. 개요 [편집] 2004년 분당선, 2016년 경강선 개통역사 내부에 매화와 한자 모티브의 벽화이매역은 2004년 분당선의 지하철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1994년 처음 분당선이 개통되었던 당시에…

한국항공대역

…4 km경의·중앙 완행선KJ30용문 방면향 동1.7 km →주소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랑로 53 (화전동 183-10역 운영기관경의·중앙 완행선개업일경의본선1954년 9월 1일철도거리표서울 방면향 동← 1.7 km경의본선한국항공대신의주 방면강 매2.4 km…

노원역

蘆原驛Nowon Station서울교통공사노원역불암산 방면상 계← 1.3 km4호선411남태령 방면창 동1.5 km →◀ 진접선 직통과천·안산선 직통 ▶도봉산 방면마 들← 1.2 ㎞7호선713온수 방면중 계1.1 ㎞ →◀ 도봉산포천선 직통인천 7호…

남서울판교역

…으므로 내부 전산과 TIDS에서는 신판교역으로 표기되며 타고타고에서는 판교(경기)로 표출된다. 강원도 이천군 용포면 상두리에도 동명의 역이 존재했다.신분당선이 민자로 만들어진 만큼 당연히 환승 게이트가 있다. 다만 일반 수도권 전철 운임 구역이 아니라 수도권 전철 경강선…

KTX

…고 싶어하지만, 강원철도에서 완강히 반대하고 있다.이는 쌍도교통과 강원철도의 준고속열차에 대한 인식이 달라서 그런 것이다. 쌍도교통은 준고속열차에도 전용 브랜드가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강원철도는 재래선 특급과 동급으로 보고 있다.[1] 수원 경유, 구포…

미로역

…연결하여 길게 가설한 곳이 여러 곳 있어서 미늘근다리라 불렸던 것에서 유래했다고 하는 얘기가 있고 둘째로는 오십천을 여러 번 건너다녀야 하는 동네라고 미는 늘창나드리라고 불리던 것이 와전된 것이라고 하는 얘기가 있다…

구절리역

…개요 [편집] 레일바이크 여행의 진수, 구절리역구절리역은 1974년 정선선 여량-구절리 간 개통과 동시에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과거에는 여량(현 아우라지역)역을 관리하던 역이자 2001년 비둘기호가 마지막으로 운행되었던 역이었다. 1997년 간이역 격하에 이어 2002년 태풍 피해로 열차 운…

하고사리역

…영동선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역으로,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마을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건립하여 운영했던 정식역사이다. 등록된 간이역 중 팔당역과 함께 역사가 설치된 역사 중 규모가 가장 작은 역으로, 건축면적 36㎡ 규모에 1동, 1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석항역

…213) 소재.2. 역 정보 [편집] 한때는 무궁화호와 통일호가 모두 정차할만큼 호황을 누렸다.하지만 중국의 텅스텐 가격 완화로 인해 인근 대한중석의 상동광산이 폐광되어 인근 마을들의 인구가 줄어들면서 더이상 특급은 정차하지 않고, 보통열차만 정차하는 역이 되…

양원·중랑숲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영동선 양원역과 동명이역이었던 경의·중앙선의 역양원역은 서울시 망우동에 위치한 역으로 2005년 영업을 개시하였다. 역 건설 당시 인근 학교 이름을 딴 송곡역으로 불렸으나 서울에서 몇 안 되는 오래된 집성촌이었던 지역적 특색을 바탕으로 지역…

대성리역

…관광객 증가와 함께 역사 및 광장을 넓히면서 성장해왔다. 역명은 동명의 지명에서 유래하였는데, 대성이란 대승(大升) 또는 대성(大城)으로 높은 언덕, 둔덕임을 의미하는 이름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이곳으로 흐르는 북한강 기슭이 마치 성곽처럼 이어져 있다는…

부천역

…부천역으로 변경하였다. 그 후 부천역 옆에 1997년 신설된 역사가 소사역으로 이름 붙여졌다. 1974년 수도권전철 개통과 함께 준공되었던 옛 역사는 선상역사였지만 1980년 지하역사로 변경되었으며, 1999년에는 민자역사가 들어섰다. 이처럼 발전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