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561 건 / 처리 시간 0.105초

백양리역

…그 외 여러 가지 물건들이 있다. 구 백양리역은 도로화된 구 경춘선 노반을 따라 강촌역 방면으로 약 2km 걸어 가면 나온다. 원래는 시내버스를 타고 갈 수도 있었지만 춘천 시내버스가 개편되면서 정류장이 없어졌다.참고로 승강장 위에 있는 이러한 형태의…

스크린도어/종류

…에 뛰어든 것으로 추정했으나, CCTV 판독 결과 난간형 스크린도어를 넘어가서 선로를 통해 잠실철교로 이동하여 그 곳에서 투신 자살한 것으로 판명된 사건이 일어날 정도로 서울 2호선의 난간형 스크린도어는 웬만한 성인 키보다 낮다. 2호선에 설치된 것들은…

파주 버스 600

…파주시 시내버스 회사인 관동여객에서 운행하는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79km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편집] 파일:파주시 CI_White.svg 파주시 일반시내버스 600번기점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갈곡리(대등앞)종점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엽동(강선마을)종점행첫차04:30기점행첫차05:50막차…

문곡역

…│││동백산 ↓乘■ 태백선상행태백·영월·제천 방면하행동백산·도계·동해 방면4. 인접 정차역 [편집] ■ 태백선제천 방면태 백← 3.0 ㎞보통普通동해 방면동백산5.3 km →[1] 황지지선으로서의 개업일. 1973년 10월 16일자로 태백본선에 편입.[2] 문곡역에서…

분천역

…역할을 했었다.예전 청량리행 야간열차가 운행할 때는 분천에서 울진읍까지 심야 농어촌버스도 다녔었다고 한다. 청량리행 무궁화호가 폐지되면서 해당 노선은 울진-광비로 단축되었고, 지금은 봉화여객의 춘양-남회룡 농어촌버스만 1일 2회 마을 입구에 정차하고 있다.맞이방에는 …

영월역

…2012년, 어느 철덕의 답사기영월군의 태양에너지 발전단지 계획과 맞물려 이 구간의 공원화가 2008년에 결정되어, 서울대학교에도 관련 연구용역을 의뢰하는 등 영월군 측에서 나름의 의욕을 가지고 계속 추진하였다. #, # 이미 흔하디 흔한 아이템이 되어가고…

장항역

…가칭이 장항역이었다. 장항동이 인근에 있기 때문. 그런데 문제는 장항역이 무슨 비슷한 일에 엮였던 경전선 평촌역과 마찬가지로 시골 변두리 간이역도 아니고 새마을호도 들어가는 중요 간선의 종착역이자 그 간선 철도 노선명이 유래한 중요역인지라... 당시 철도청이 포기한 듯.2.1. 승강장 …

종합운동장역(서울)

…서행해야 한다.2.2. 서울 지하철 9호선 [편집] 9호선 종합운동장역은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체육관과 아시아공원 사이의 올림픽로를 서북-동남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만들어졌다.9호선 출구는 아시아공원 안에 있는 9번 출구뿐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아시아공원지하보도와 9…

남서울판교역

…선남서울판교경기광주 방면서 현2.1 km →1. 개요2. 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판교테크노밸리 IT인재들의 출퇴근길남서울판교역은 2011년 신분당선이 개통하면서 처음 영업을 시작, 2016년 경강선이 개통하며 환승역이 되었다. 지하 4층…

금호역(서울)

…는 옥수터널이 있다. 이 역부터 독립문역까지 모든 역이 섬식 승강장이다.오금방향으로 지상으로 올라가는 구간이 있어 지하 2층에 있는 역 중에서도 심도가 얕은 편이다.금호역 1번 출구는 계단이 없이 바로 지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심지어 1번…

시청역(서울)

…1984년 2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1977년 고시 당시까지만 해도 서울 지하철 2호선에는 현재 시청역 위치에 역이 생길 계획은 없었다. 당시 계획에 따르면 아현역 - 을지로입구역 구간의 경우 서소문고가차도 아래 경찰청앞 교차로 인근에만 역이 생길 예정이었…

서울대입구역

…5] 「서울대생들 “경전철 캠퍼스로 끌어오자”」, 2013-05-26, 국민일보[6] 흔히 재학생들에게는 '윗공대'라고 불리며 지도만 봐도 중앙과 상당히 격리되어 있다.[7] 「[SNS 세상] "오산대역 앞에 오산대가 있다는 생각은 '오산'"」, 연합뉴스, 2019-08-25[8] 대학동…

서울역

…만큼 서울역에는 회송열차를 제외하면 지나가는 모든 여객열차가 정차할 것 같이 보이지만 그렇지는 않은 것이다.이렇게 굵직한 간선철도들의 시 · 종착역이다 보니 연간 일반 · 고속철도 이용객 약 3,010만 명[3]에 연간 광역 · 도시철도 이용객 약 7,500만 명, 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