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
최근 수정 시각: ()
서울驛
Seoul Station
Seoul Station
시종착 | |||||
시종착 | |||||
시종착 | |||||
주소 |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405 (동자동 43-205) | |||||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 (봉래동2가 122-28) | |||||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78 (동자동 43-205) |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지하2 (남대문로5가 73-6) |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392 (동자동 14) | |||||
역 운영기관 | |||||
개업일 | |||||
1900년 7월 8일 | |||||
1905년 1월 1일[1] | |||||
1921년 7월 11일 | |||||
1974년 8월 15일 | |||||
1985년 10월 18일 | |||||
2010년 12월 29일 | |||||
2023년 9월 27일 | |||||
철도거리표 | |||||
시종착 | 경부본선 서 울 | ||||
경의본선 서 울 | |||||
인천국제공항선 서 울 | |||||
신안산선 서 울 |
1. 개요 [편집]
유라시아 철도허브를 향해 날아오르다
서울역은 1900년 7월 8일, 남대문 정거장이라는 이름의 33㎡의 단층 목조 건물로 처음 문을 열었다. 1923년 경성역으로 이름을 바꾸고, 약 3년간의 공사를 거쳐 1925년 스위스 루체른 역을 모델로 한 르네상스와 바로크 절충 양식의 역사(현, 문화역서울284)가 준공되었다. 1947년 서울역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꾸준한 확장을 통해 명실상부한 수도 서울의 관문으로서 위용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1988년 현대식 건물의 민자역사시대를 맞아했고, 2004년 고속철도시대를 여는 시발역으로 재단장하였다. 서울역은 세계로 뻗어가는 활 모양을 모티브로 유리와 철골구조로 지어졌고, 타는 곳의 웅장한 지붕은 유라시아 철도허브를 향해 비상하는 새의 날개를 연상시킨다.서해철도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간선철도 경부본선, 경의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의 기점이자 경부선 전차선 구간과 경의·중앙선의 기점이며 수도권 전철 4호선이 지나가는 중추역의 기능을 한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일평균 이용객을 보유한 역이다.
경부선이 철도의 대동맥이라면 이곳은 대한민국 철도의 심장이다.[2] 몇몇 고속열차는 서울역을 지나서 행신역에서 종착하거나 또는 반대로 행신역에서 출발해서 서울역을 경유하고 호남고속선 계통은 용산역을 경유한다.
서울역의 상징성은 정치적으로도 연관이 깊다.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은 고속선 개통으로 인해서 용산역이 주 출발역으로 바뀌었을 때 국회의원들이 들고 일어났다. 그 후 일부 고속선이 용산 경유 서울역 착발로 바뀌었다. 행신역 착발 열차도 경부선 계통은 서울역은 필수 정차하며, 호남선과 전라선 계통은 일부 열차만 정차하고 나머지 열차는 서울역을 통과한다. 4, 5번과 6, 7번 승강장 사이에 통과선이 있지만 이쪽으로 다니는 건 회송열차나 극히 일부 화물열차, 그리고 일부 호남선 타고 온 행신행 고속열차 외에는 없으며, 98%의 여객열차는 서울역에 선다. 그리고 호남고속선의 주요 시 · 종착역은 용산역이다. 서울역 시 · 종착 열차는 연장 운행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철도의 심장인 만큼 서울역에는 회송열차를 제외하면 지나가는 모든 여객열차가 정차할 것 같이 보이지만 그렇지는 않은 것이다.
이렇게 굵직한 간선철도들의 시 · 종착역이다 보니 연간 일반 · 고속철도 이용객 약 3,010만 명[3]에 연간 광역 · 도시철도 이용객 약 7,500만 명, 총 약 1억 명으로 한반도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다. 광역 · 도시철도만 셀 때에는 강남역, 홍대입구역, 잠실역 등에 밀리지만, 서울역의 주력은 일반 · 고속철도이므로 이를 세면 이런 역들을 뛰어넘는다. 기차를 타고 와서 지하철로 들어가는 중복 계산이 포함되는 수치이지만, 이러한 환승도 포함하는 것이 세계에서 대부분 쓰이는 방식이다.
동국철도가 해산되고 지상역을 강원철도에서 잠시 운영했을 때 동국백화점 서울역점이 CENTRE PLAZA로 이관되었다. 이후 서울역 지상역사의 관할권이 서해철도로 이관됐지만, CENTRE PLAZA는 철수하지 않아 서울역의 백화점은 CENTRE에서 운영하였다. 2025년 5월 3일, 강원철도에서 민자역사를 남서울철도에 매각하며 자연스럽게 CENTRE PLAZA도 넘어갔다. 이에 5월 5일부터 5월 31일까지 새단장을 위해 휴점공사를 진행하고 6월 1일 타임빌라스 서울점으로 재개업할 예정이다.
2. 인접 정차역 [편집]
경의고속선 ■ ◀ | ▶ ■ 경부고속선 | ||||
시종착 | |||||
시종착 | |||||
시종착 | |||||
시종착 | 특별쾌속 特別快速 | ||||
쾌속 快速 | |||||
청량리서울라인 ![]() | ▶ ![]() | ||||
특별쾌속 特別快速 | |||||
보통 普通 | |||||
경의 쾌속선 ![]() | ▶ ![]() | ||||
쾌속 快速 | |||||
시종착 | |||||
보통 普通 | |||||
쾌속 快速 | |||||
쾌속 快速 | |||||
▶ ![]() | |||||
쾌속 快速 | |||||
시종착 | <:>통근쾌속 通勤快速 | ||||
각역정차 各驛停車 | |||||
<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 | |||||
시종착 | <:>급행 急行 | ||||
<:>쾌속 快速 | |||||
<:>각역정차 各驛停車 | |||||
<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 |||||
각역정차 各驛停車 | |||||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