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459 건 / 처리 시간 0.198초

모래위키:제기동역

…편집] 2.1. 서울 지하철 1호선 [편집] 일부 초창기 지하철 노선도에는 '제기역'이라고 표기되어 있었으나, '제기역'이 아닌 '제기동역'이다. 1970년대의 작명 관습이 그랬기 때문이다. 다른 예를 들면 신설동역이 있으며, 성수역의 가칭이 '성수동역'…

모래위키:청량리역

…었다. 경춘선 승강장만 특이했던 이유는 구역사 완공 당시 경춘선은 청량리역을 경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때의 경춘선은 성동역이 기점이었는데 성북역을 거쳐 석관동(정확히는 석계역 위치)에서 분기하여, 월곡동을 지나 현재의 제기동역 인근의 성동역에서 시발하였다. 그러…

모래위키:신설동역

…있는 관계로 무산되었다. 또한 우이신설선 터널이 끝나는 부분 앞에 지하철 1호선 터널구조물(유령 승강장 진입 터널)이 위치해 있어 더 이상 연장이 불가하다.우이신설선 전용 출입구는 만들어지지 않았다. 우이신설선 운임구역과 1호선…

모래위키:금정역

…안산선 개통과 더불어 1988년 수도권 전철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역명은 어느 곳이나 파기만 하면 물이 잘 나와 물 긷는 여인들의 옷을 적신다는 뜻의 동명의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처음 역이 만들어질 당시 1,547.97㎡ 규모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2…

모래위키:종로5가역

…안내음의 톤이 상당히 낮고 둔탁하다. 서울교통공사 1~4호선 구간 스크린도어 중 서윤산업에서 설치한 스크린도어의 특징이다.개통 당시 역명판 사진을 자세히 보면 역판 주변이 타일이 아닌 그냥 민무늬 콘크리트로 되어 있었다. 개통 당시에는 벽면 하단만 타일…

모래위키:과천안산선

…건설 목적 [편집] 경기 서남부와 서울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 확충과천선은 과천시와 안양 평촌신도시를, 안산선은 군포 산본신도시와 안산시, 시흥시를 지나면서 이들 지역과 서울 도심을 잇는다. 여기에 서울에 들어오자마자 각각 2호선, 7호선, 9호선 환승역인 사당역, 이수역…

모래위키:경의고속선차량관리단

…본단은 현위치(고양)로 이전2017년 2월: 수도권차량융합기술단으로 개칭2018년 3월: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으로 환원2020년 9월: 조직개편지역본부 차량처 폐지 및 산하 15개 차량사업소 관리업무 이관2023년 12월: 조직개편일반차량운영처 및 광역…

모래위키:문서 삭제식 이동

…는 안 되는 행위입니다.3.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경우 [편집] 문서 전체를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문서 내용 중 일부를 새 문서나 기존 문서의 다른 곳으로 옮길 때에는 모래위키의 기술적 한계로 인해 삭제식 이동을 하는 것이 불가피합니다. 한 문서가 다수 문서로…

모래위키:지역별인구

…동구+서구+남구+북구+광산구+송정구+첨단구목포시 1,147,333(목포시+무안군+신안군)ㄴ 호남구+남악구+무안구+신안구여수시 657,386ㄴ 여수구+여천구+돌산구순천시 558,369ㄴ 동구+서구나주시 412,125광양시 304,093화순시 277,340(화순군)장성시 167,344(장성군)담양시 150,385(담양군…

모래위키:영종대교

…하부도로의 제한속도가 낮은 이유는 공항철도 선로 때문에 차로폭이 좁아졌기 때문으로, 이 구간은 고속도로 규격이 아닌 고속화도로 규격의 차로폭을 가지고 있다. 해풍이 하부도로에 몰리는 것도 제한속도가 줄어든 이유이다.(주)유신에서 일본의…

모래위키:철도특별사법경찰대

…음은 철도특별사법경찰기관의 특수성이 보편적인 것임을 알수 있다. 철도경찰도 역시 이러한 배경속에서 철도 공무원중 일부를 행정직이 아닌 공안직으로 임명해 치안질서를 유지해오고 있었다. 이후 2000년에 철도청이 각 사철로 쪼개져 민영화…

모래위키:진접역

…다만 광릉숲이 이 역에서 자가용으로 10분, 버스로 30분 이상이 소요되는 상당한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후 공식 역명은 2020년 10월 26일 제12회 역명심의위원회에서 광릉숲이 빠진 진접역으로 결정되었다.2023년…

모래위키:남부터미널역

…터미널 입구까지 에스컬레이터도 없고, 계단이 4번이나 나오기 때문에 다소 힘들 수 있다.[4]3. 역 주변 정보 [편집] 역명대로 5번 출구 바로 앞에 서울남부터미널이 위치한다. 1990년 이전에는 용산역의 용산시외버스터미널이 지금의 남부터미널의 기능(여객운송, 이하 ‘남부터미널’이라…

모래위키:벽제역

…도시 교통대책으로 일산선을 건설하여 연계하면서 결국 백지화되었다.원래 3호선은 벽제역에서 수서역을 지나 분당신도시까지 갈 예정이었으나 분당 구간은 3호선이 아니라 분당선이라는 별도의 노선을 만들어서 오금역이 종점이 되었다.2.1.2…

모래위키:제물포역

…지만,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제물포 역명만 방송한다.2.1. 역명 [편집] 경인선이 최초 개통되었을 때 노량진역과 제물포역 사이를 개통하였다고 알려져 있으나, 당시의 제물포역은 이 역이 아니라 현재의 인천역이다. 정확히는 한글/한문으로는 인천역, 영어로는 제물포역이었다…

모래위키:상계역

…창동차량사업소에서 출고하여 불암산역까지 회송하는 열차를 그냥 바라만 보고 있을 수밖에 없다.승강장과 대합실 사이에 엘리베이터가 아닌 수직형 휠체어리프트가 설치되어 있다.그 어느 시간에 가도 높은 확률로 앉아갈 수 있는 역이다…

모래위키:금강산선

…했으므로 빠른 속도로 운행할 수 없었던 것이다. 140R이 어느 정도냐 하면 30km/h 속도 제한이 걸려 있는 종각 드리프트와 동일한 수치인데, 종각드리프트가 여기저기에 있다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이는 28개역으로 인한 가속과 감속 및 기본정차시간, 2개의 스위치백…

모래위키:압구정역

…뜬금없이 10년 전 구형 역명판이 나타났다. 보다시피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으로 Apkujŏng이라고 쓰여 있다.('압' 다음 자음이 무성음화된것을 반영하여 g가 아닌 k이며, 매큔라이샤워의 특징인 'ㅓ'를 ŏ로 쓰는것이 보일것이다.) [4] 기존 시설물을 철거하면서 10…

모래위키:태백본선

…2배 이상이고, 시간 차이도 크지 않기 때문에 절반은 채우고 다닌다. 하지만 경강선(강릉선 KTX) 개통으로 이용객이 적은 청량리 ~ 동해 간 열차 승객 중 이 구간 하차객은 그리 많은 편이 아니다. 더군다나 성수기나 연말연시(12월 31일)에는 더더욱 그러하다. 그나마 인근…

모래위키:을지로입구역

…가깝다.외국계은행: 미쓰이스미토모은행(서울지점)상호금융: 신협(한국외환은행직장신용협동조합, 하나은행직장신용협동조합)(하나은행 본사 사옥 입주; 舊 외환, 舊 하나 직원들만 사용 가능), 신협(국민은행신용협동조합)(KB국민은행 명동영업부 내부 위치; 국민은행 직원만 이용 가능), 유안타저축은행(을지로지점), DB저축은행(본점), 신한저축은행(본점 영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