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636 건 / 처리 시간 0.048초
신기역(강원)
…현 역사는 지진에 취약한 관계로 2019년에 신축이 검토되었으나 강원철도의 인색한 예산 사용으로 검토되지 못하였다.역의 북쪽에는 환선굴 방향으로 들어가는 선로가 하나 분기하는데 이걸 본 일부 사람들은 환선굴까지 가는 철도가 있는 것으로 착각을…
동백산역
…는 백산동이 아닌 통동에 있으며 백산역보다 북쪽에 있다. '태백산(太白山)의 동쪽'이라는 뜻으로 지었다는 말도 있는데, 한자가 다르다(栢/白). 실제로 전술한 이유 때문에 인근 주민들이 역명 개정을 요구하기도 했다.3. 특징
[편집]
이 역과 도계역을 잇…
일산선
…서울 간 통근 수요는 포기하고 구간수요의 의존하는 모양세이며, 증속이 어렵다는 특성상 고양시 지역 노선 중 투자를 받지 못하고 있다.[1] 전산상으로는 서울차량관리단 소속이다. 이전에는 구로차량기지 소속으로 되어있었으나 일산선 운영사가 구로차량기지…
상천역
…는 모습의 현대식 역사로 재탄생한 상천역은 비록 무인역이지만 옛 그 자리에서 이용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인근에 호명호수가 있는 지역의 특색을 반영하여 역 맞이방이 호명호수의 모습을 담은 타일 벽화로 꾸며지기도 하였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운서역
…서울 방면영 종← 3.5 km인천공항선공항화물청사인천공항2터미널 방면공항화물청사4.3 km →1. 개요2. 승강장2.1. 인천공항선·제2공항선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인천공항선 KA08번. 인천광역시 중구 흰바위로59번길 26 (운서동 1427-27) 소재…
하남검단산역
…위치가 신창초교사거리와 창우초교 앞으로 재조정되어 각각 현재의 하남시청역과 하남검단산역이 되었다.5호선 하남시 구간인 미사역 ↔ 하남검단산역은 경기도 지역에 있기 때문에 이 역에서는 서울전용 정기권과 기후동행카드의 사용이 불가능하…
원주역
…것으로 예상한 강원철도[2]가 구 선로를 치악산선으로 개칭 후 존치하기로 결정하면서 폐역이 되지 않았다. 다만 더이상 수도권 방면으로 열차가 운행하지 않고 서울 방면 열차를 이용하려면 서원주역에서 환승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생겼다.2…
매곡역(경기)
…시작, 1972년에 이르러 역사를 준공하였다. 과거 역사는 108㎡ 넓이의 벽돌조 슬레이트 단층 역사로 현재의 매월2리 마을회관 인근에 자리하고 있었다. 2012년 8월 중앙선 복선전철화 사업으로 약 1.3km 떨어진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2005…
율량역
…㎞세종선SJ35청주공항 방면오근장3.4 ㎞ →◀ 1호선 직통주소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사천동 22-37역 운영기관세종선개업일세종선2024년 11월 1일철도거리표반석 방면충북도청← 4.7 ㎞세종선율 량청주공항 방면오근장3.4 ㎞ →1…
솔빛나루역
…역 정보
[편집]
지역에서 가장 많이 불리우는 이 정거장의 명칭인 '솔빛나루'는 순우리말로 지어진 '솔빛마을'과 '나루마을'에서 따왔으며, 솔빛은 '소나무 빛'을, '나루'는 나루터를 뜻한다. 과거 이 일대의 지명이 '동진(東津)'이었는데…
임진강역
…주소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로 115 (마정리 1253-3)역 운영기관경의·중앙 완행선개업일경의본선1938년 9월 1일~1941년 10월 31일[1]2001년 9월 30일철도거리표서울 방면파주운천← 2.3 km경의본선임진강신의주 방면도라산3.7 km →1…
도경리역
…를 통한 서울 방향 접근이 불편했을 시절에는 나름대로 삼척 시내의 영동선 내 관문역으로 기능했을 법도 하지만, 어떤 이유에서인지 그렇게 되지는 못하고 산골짜기의 작은 역으로 남았다.3. 역 주변 정보
[편집]
주변에 동해고속도로 삼척IC가 있다…
묵호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서울 광화문의 정동쪽묵호역은 1961년 5월 5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 현재의 역사가 지어진 것은 1988년 12월 15일이다. 1939년부터 삼척의 무연탄을 묵호항으로 반출하기 위한 묵호항선의 종착역이다. 까만 석탄과 어울리는 묵호역의…
명일역
…방면4. 인접 정차역
[편집]
서울 지하철 5호선 방화 방면굽은다리← 0.7 km<:>각역정차各驛停車팔당 방면고 덕1.2 km →[1] 동부기술교육원 사거리에서 바로 꺾지 않고 더 진행했다가 완만하게 꺾는 경로로 설계했다.
신원역
…2.1. 경의·중앙 완행선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한번 보면 잊히지 않던 옛 신원역신원역은 1965년 11월 5일 중앙선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개시, 1975년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1993년 간이역 격하에 이어 2001년에는 신호장으로 변경되었는데, 2009년 수도…
여현역
…풍← 7.8 km경의본선사리원 방면계 정7.2 ㎞ →주소경기도 개풍군 여현면역 운영기관경의본선경의 쾌속선개업일경의본선1923년 7월 1일철도거리표서울 방면개 풍← 7.8 km경의본선여 현신의주 방면계 정7.2 ㎞ →1…
백운역
…인천광역시 부평구 마장로55번길 14 (십정동 541-1) 소재.2. 역 정보
[편집]
'백운역(白雲驛)'이라는 이름은 백운역 근처에 백운사라는 절이 있어 개통 당시 이 지역 주민들이 역 이름을 공모해서 지었다. 공모 당시 지역명이 십정동이라는 이유로 "십정역"…
양원·중랑숲역
…이름을 딴 송곡역으로 불렸으나 서울에서 몇 안 되는 오래된 집성촌이었던 지역적 특색을 바탕으로 지역주민들의 요청에 따라 양원역이 되었다. 정식철도역으로 등록되지 않은 영동선 양원역과 동명이역이었으나, 강원철도 측에서 역명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역명을 '…
도농역
…한국 전쟁 당시 역사가 소실되어 1958년 옛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당시 건설된 역사는 조그마한 부대 건물이 함께하는 98㎡ 규모의 벽돌조 건물로 소박한 시골 역사였다. 그러나 2005년 12월 16일 덕소까지의 중앙선 복선 공사가 완료되면서 2002년…
원덕역
…을 개시, 1965년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옛 역사는 부대건물을 갖춘 111.6m 규모의 벽돌조 슬레이트 단층역사였는데, 2008년 9월부터 중앙선 복복선전철화 사업에 따라 여객열차가 통과하다 이듬해인 2009년 2월 역사가 철거되며 무인역으로 변경, 같은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