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경리역

최근 수정 시각: ()
桃京里驛
Dogyeong-ri Station
파일:KANGWON_Wlogo.svg강원철도
도경리역
미 로
← 3.6 km
주소
강원도 삼척시 도경북길 121 (도경동 182)
역 운영기관
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
개업일
1940년 7월 31일[1]
철도거리표
영동본선
도경리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여담5. 승강장6. 인접 정차역

1. 개요 [편집]

문화재가 된 영동선 철도역의 맏형
도경리역은 영동선 철암-묵호 간 위치한 역으로 영동선에서 가장 오래된 역이다. 철암선이 삼척탄전의 개발을 위해 개통되었던 1940년 8월 1일 도경리역도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현재의 역사가 완공된 것은 1939년 5월이지만 일부 그보다 먼저 지어졌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한다. 인적이 적은 외진 곳에 위치하여 이용객이 줄어들면서 1997년 배치간이역이 되었다가 2001년과 2005년에 연이어 신호장, 무인 신호장으로 격하되었다. 그러나 과거 도경리역은 이웃 다른 마을보다 지세가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는 뜻으로 ‘돈경’으로 부르던 지명에서 유래된 이름의 역사답게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던 곳이다. 현재에는 일반 열차도 멈추지 않고 여객도 취급하지 않는다. 비록 더 이상 승객이 열차를 기다리는 역은 아니게 되었지만, 여전히 열차들은 도경리역을 지나며 사람과 삶, 시간을 실어 나른다.

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
영동본선의 철도역, 강원도 삼척시 도경북길 121 (도경동 182) 소재.

2. 역 정보 [편집]

1940년에는 보통역으로 역 업무를 시작했지만, 1988년 화물취급을 중단하더니 1997년에 배치간이역으로 떨어졌다. 이후 2001년에 무인화 되었다.

2009년 까지는 약 6만 톤 정도의 시멘트를 수송했으나 이마저도 현재는 시멘트 공장 철거로 중단되었다.

영동선 역 중 삼척시 시내에서 가장 가까운 역이다. 도로를 통한 서울 방향 접근이 불편했을 시절에는 나름대로 삼척 시내의 영동선 내 관문역으로 기능했을 법도 하지만, 어떤 이유에서인지 그렇게 되지는 못하고 산골짜기의 작은 역으로 남았다.

3. 역 주변 정보 [편집]

주변에 동해고속도로 삼척IC가 있다.

4. 여담 [편집]

현존하는 영동본선 역사 중 가장 오래된 역이다. 역이 개업하기도 전인 1939년 5월 15일에 준공되었으며, 역사의 문화적 가치가 크다고 판단되어 2006년에 국가등록문화재 제298호로 지정되었다[2]. 2011년 기준으로 한 번 리모델링을 거친 듯하다.

이곳에서 가수 다비치가 부른 '오늘따라 보고 싶어서 그래'의 뮤직비디오를 촬영했다.

동 노선의 양원역의 개통 비화를 담은 영화 기적의 촬영지 중 한 곳이다. 영화에서는 승부역사로 나온다.

5. 승강장 [편집]

미로
2
1
동해
1
하행
동해 방면
2
상행
도계·동백산·철암 방면
( 태백선 직통 태백·영월·제천 방면)

6. 인접 정차역 [편집]

철암·제천 방면
미 로
← 3.6 km
보통
普通
[1] 철암선으로써의 개업일.[2] 이러한 이유로 무인역 역사 철거 정책의 예외 대상으로 선정되어 역사가 철거되지 않았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