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549 건 / 처리 시간 0.085초

분천역

…때마다 구했을 정도이다. 군내 최다 수요의 역인 봉화역에서도 구하지 않는데 분천역은 방학 때마다 근로장학생 선발 공고를 냈을 정도.[3] 현재는 노환으로 죽어서 더 이상 볼수가 없다.[4] 분천1교차로로 나와서 P턴하여 분천교를 건너면 바로 산타마을이다.

양원역

…039;세계에서 가장 작은 역'1988년 산골짜기 원곡마을 주민들의 염원으로 탄생한 작은 역사. 영동선의 양원역이 바로 그곳이다. 양원역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역사라는 타이틀 말고도 한 가지 타이틀을 더 가지고 있다. 바로 국내 최초의 민자 역사라는 것이다. 정식철도역으로…

정선선

…그러나 DMV는 눈에 취약하다는 특성 때문에 결국 도입을 포기하였다.2018년부터 BEC819계의 도입으로 축전지 전동차가 운행한다. 운행이 끝나면 민둥산역에서 충전하는 방식이다.2. 역사 [편집] 1962년 5월 10일: 예미 ~ 정선간 착공.1967년 1월 20일: 증산 ~…

서동탄역

…통해 그대로 들어오기 때문에, 현재 병점행 하행선 전동차는 차량기지 입고차를 제외하고 상당 부분 동탄행으로 교체됐다.차량기지 인입선이기에 선로전환기 횡단과 커브 구간이라 병점역과 이 역 사이는 열차가 제 속도를 내지 못한다. 병점역까지의 소요시간은 약 5~6분이며…

대치역

…기지까지 회송한다고 한다. 독립문역도 예전에는 회송하지 않았다.4호선 명동역이나 7호선 청담역처럼 출구 쪽 계단이 양쪽 끝에만 있는 특이한 구조를 지니고 있으므로 정신 놓고 있다가 한가운데서 내리면 양 끝 가는 길이 제법 멀다. 또한 개찰구를 나온…

보산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동두천중앙역과 동두천역 사이의 신설역역사 나서면 이국적인 그래피티의 거리보산역은 동두천중앙역과 동두천역 사이에 자리 잡은 경원선 철도역으로 2006년 12월 5일 처음 영업을 시작하였다. 역명은 미군부대의 주둔으로 없어진 옛 지명을 따서 붙여진…

소요산역

…시 행락 수요를 이유로 경원선 완행열차 일부를 이 역까지 연장운행하기도 했으나, 동두천-소요산 구간 평면교차 문제로 의정부선 열차의 정시성에 악영향을 미쳐, 경원선 완행열차는 더이상 운행하지 않으며, 그 대신 의정부선 동두천행 열차를 소요산으로 연장하였다.2. 승강장 [편집] 2.1…

압구정로데오역

…거리'는 압구정동이 아닌 신사동에 위치해 있다. 길 하나만 건너면 압구정동이지만 지번 주소에서는 신사동으로 분류된다.부산의 괘법르네시떼역과 작명 방식이 같지만 압구정로데오는 이상하다는 말이 잘 안 나온다.역 내의 LED 행선판과 일부 역의 승강장에서는 '로데오'로 축약해서 표기…

회현역

…휠체어 이용자의 경우 역사 구조상 1, 7번 출구 측에 있는 엘리베이터는 무용지물이나 다름없으니 참고해야 한다.과거 3기 지하철 계획 당시 서울 지하철 10호선과 11호선이 근처의 한국은행앞사거리에서 교차할 계획이 있었는데, 비록 이 역에서 4호선과 환승될거라고 언급한…

제물포역

…위한 보통역으로 출발제물포역은 1959년 7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1957년 숭의역이란 이름으로 숭의동과 도화동 일대의 학교들에 통학하는 학생들을 위해 처음 계획되었다고 한다. 이후 인천을 대표하는 제물포란 명칭으로 영업을 개시…

녹번역

…통일로와 은평로가 갈라지는 은평구의 길목에 있는 역이다. 지하 2층 구조로 벽돌 타일로 마감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지하 1층 맞이방 내부에는 의류 및 신발을 파는 미니 지하상가가 조성되어 있으나 문을 닫은 점포가 많다.역 구내에 0…

구룡역

…나머지 출입구들은 지하통로를 통해 이 곳으로 연결되어 있으며(3,4번 출구 제외) 개포동역, 서울 지하철 5호선 고덕역과 비슷한 구조이다. 참고로 티머니 도입 이후 최초로 개통한 수도권 전철역이다.역 내부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있지만 출입구에는 없어서 교통약자나 일부…

상월곡역

…종착역이었다. 6호선 전구간 개통 이후에 잠깐 막차로 이 역에 종착하는 열차가 있었지만, 2001년 이후 운행하지 않는다. 이 역에서 아주 가까운 안암역에서 막차가 주박하기 때문이다. 단, 상월곡발 응암순환 첫차는 아직도 운행되고 있는데, 이…

신둔도예촌역

…를 제외하면 휑하다. 그러나 열차선이 지면보다 살짝 위에 있는 신둔도예촌역 구조상 2번 출구는 편리성을 위해 없으면 안되는 출구이다.주변엔 아파트라곤 좀 연식이 있는 반석 아르미 아파트와 2017년 입주한 신둔 코아루아파트, 신둔도예촌역에서 바로…

성신여대입구역

…또한 성신여대입구역이 있는 사거리는 오랫동안 서울 전차의 종점 중 하나로써, 돈암동 전차 종점이란 이름으로 매우 유명했다. (지적도 상의 법정동 편성을 직접 보고 싶다면 링크 참조.)원래 돈암을 정식 역명으로 쓰려고 했다가 개통 직전 성신여대에서 로비를 벌여 돈암은 병기역명…

압구정역

…172 (압구정동 668) 소재.2. 역 정보 [편집] 조선 세조 대의 권신인 한명회가 지은 정자인 압구정에서 유래했으며, 역 승강장 벽면에는 이 일대 지명의 유래가 된 압구정(狎鷗亭)이라는 정자와 갈매기 그림이 그려져 있다. 하지만 압구정은 이미 헐린 지 오래고, 역 근처 압구정 현대아파트 단지 안의…

남영역

…의 경부선 전철이 서는 선로 2개는 1호선 지하 서울역과의 직결운행을 위한 것이다. 지상과 지하의 전력 공급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직결운행을 위한 선로는 절연구간이다. 인천/천안으로 가는 경부·경인선 열차들은 여기서부터 지상으로 올라와 경부선을 이용하여…

운정중앙역

…생김으로써 경의선과 멀리 떨어진 쪽에서도 철도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무엇보다 기존 교통수단으로 1시간 이상 걸리던 서울 도심까지 30분 이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3. 역 주변 정보 [편집] 운정중앙역 남쪽에 동서대로 삽다리IC가 있다…

마천역

…암반에 머리를 다칠 수 있어서 그렇게 만든 모양이다. 그러다가 2012년경 승강장 벽을 리모델링하면서 역명판도 기존 날개 형식에서 일체형 LED식 역명판 으로 교체했다. 같은 암반역에서 리모델링을 거쳤으나 기존의 역명판을 유지했던 가산디지털단지역과는 딴판이다…

고덕역

…입장에서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많은 어려움을 주게 된다. 건설 당시 해태백화점(현 이마트)보다는 주양쇼핑이나 근처 아파트의 주민 수요가 컸음을 감안하면 현재 고덕역의 위치는 이해하지 못할 바는 아니다. 당시에는 한영외국어고등학교 옆의 강동경희대병원도 없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