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627 건 / 처리 시간 0.019초
웅천역
…으나 관광열차인 서해금빛열차는 정차하지 않는다.2.1. 승강장
[편집]
↑ 남포1ㅣㅣㅣㅣ2판교 ↓1장항선보통홍성·천안·용산 방면2장항·군산·익산 방면통과선이 있는 2면 4선식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이와 같은 구조의 역으로는 아화역등이 있다.역…
안동역
…1940년 3월 1일 경경남부선의 안동~우보 구간이 개통하였다.1944년 10월 1일 경북본선의 예천~안동 구간이 불요불급선에 지정되어 폐선되었다.2020년 12월 17일 경동로 684(舊 운흥동 218-14)에서 현위치로 이전함과 동시에…
동점역
…흔적으로 철도와는 무관한 시설이다.[5]역 뒤편의 태백동점산업단지도 동점갱과 관련이 있는 장소로 본래 사군다리골로 불리는 동네였는데 제2연화광업소 동점지구의 광미침전지로 사용되었다가 복토 후 2011년부터 산업단지 조성이 추진되어 2019년부터 입주…
별내역
…무배치간이역으로 전환되었다. 기존 경춘선의 역사가 아니라 긴 역 간 거리를 보완하고, 인근 별내동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탄생한 신설역사로 이를 통해 서울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별내역 역명은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일대는 조선시대에는…
수인·분당선
…구간[3] 319F08~319F10편성[4] 왕십리역 ↔ 청량리역과 죽전역을 제외한 분당선 전 구간, 수인선 송도 ↔ 인천구간 및 사리역에 한해 R-bar식 강체가선 사용[5] ATC 속도코드 100km/h 적용 구간: 압구정로데오역 ↔ 서울숲역(한강하저터널), 상갈역 ↔ 청명역(수원 ↔ 죽전 구간 최장 역간거리)[6] 고색역…
삼척역
…는 삼척화력선이라는 지선도 있었으며, 1956년 5월 1일에 준공되었다(연장 1.8㎞). 이는 동양시멘트선(3㎞), 영동연탄선(2.4㎞)을 합쳐서 부르는 이름이다. 주요 목적은 과거 삼척화력발전소에 석탄을 공급하는 것이었으나, 발전소 폐쇄 이후…
연천 버스 832
…실패한 노선으로, 830번과 831번도 수요가 없긴 하지만 아예없는 수준으로 다니진 않은 반면 해당노선은 개통당시부터 지금까지 승객이 고작 1명(....)으로 처참한 수준이다.특이하게도 상패IC 진출후 동두천시 구간의 정류장은 일절 무정차 통과한다.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