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25 vs r26
11[[분류:충청남도의 철도역]][[분류:경부고속선]][[분류:장항 쾌속선]][[분류:장항선]]
22[include(틀:다른 뜻, from=아산역, other1=천안시의 중심에 있는 역, rd1=천안역, other2=아산시의 중심에 있는 역, rd2=온양온천역)]
33{{{+1 '''牙山驛'''[br]'''Asan Station'''}}}
4||<-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C9252B><tablebgcolor=#ffffff,#2d2f34> [[교통|[[파일:Ssangdo_Wlogo.svg|height=50&align=left]]]][[교통|{{{#fff 교통}}}]][br]'''{{{#fff {{{+2 천안아산역}}}}}}'''||
4||<-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856a0><tablebgcolor=#ffffff,#2d2f34> [[[서해철|[[파일:SH_Wlogo.svg|height=50&align=left]]]][[서해철|{{{#fff 서해철}}}]][br]'''{{{#fff {{{+2 천안아산역}}}}}}'''||
55||<width=120px><-2> [[서울역|{{{-2 {{{#000000,#fff 서울}}}}}}]]·[[행신역|{{{-2 {{{#000000,#fff 행신}}}}}}]] {{{-2 {{{#000000,#fff 방면}}}}}}[br][[광명역|광 명]][br]← 74.0 km ||<width=120px><bgcolor=#003da5><-2> [[경부고속선|{{{#fff {{{-2 경부고속선}}}}}}]] ||<width=120px><-2> [[부산역|{{{-2 {{{#000000,#fff 부산 방면}}}}}}]][br][[오송역|오 송]][br]28.7 km → ||
6||<width=120px><-2> [[왕십리역|{{{-2 {{{#000000,#fff 왕십리 방면}}}}}}]][br][[평택지제역|평택지제]][br]← 25.1 km ||<width=120px><bgcolor=#003da5><-2> [[호남고속선|{{{#fff {{{-2 호남고속선}}}}}}]] ||<width=120px><-2> [[목포역|{{{-2 {{{#000000,#fff 목포 방면}}}}}}]][br][[공주역|공 주]][br]51.3 km → ||
7||<)><-6><bgcolor=#0856a0> [[남서울철도|[[파일:NS_Wlogo.svg|height=50&align=left]]]][[남서울철도|{{{#fff 남서울철도}}}]][br]'''{{{#fff {{{+2 아산역}}}[br](선문)}}}'''||
6||<-6><bgcolor=#0856a0> [[서해철도|[[파일:SH_Wlogo.svg|height=50&align=left]]]][[서해철도|{{{#fff 서해철도}}}]][br]'''{{{#fff {{{+2 아산역}}}[br](선문대)}}}'''||
87||<width=120px><-2> [[천안역|{{{-2 {{{#000000,#fff 천안 방면}}}}}}]][br][[천안역|천 안]][br]← 4.5 km ||<|2><width=120px><-2><:><bgcolor=#0E634C>[[장항 쾌속선|[[파일:NS-JM.png|height=20]][br]{{{#fff {{{-2 장항 쾌속선}}}}}}]][br][[삼성왕십리라인|{{{#fff {{{-2 (삼성왕십리라인)}}}}}}]][br]{{{#fff {{{-2 JM20}}}}}}||<|2><width=120px><-2> [[대천역|{{{-2 {{{#000000,#fff 대천 방면}}}}}}]][br][[온양온천역|온양온천]][br]9.8 km → ||
98||<-2><bgcolor=#0E634C> [[천안역|{{{#ffffff {{{-3 ◀ 경부본선 경유[br]경의 쾌속선직통[br]◀ 삼성왕십리라인 경유[br]의정부선 직통}}}}}}]] ||
109||<width=120px><-2> [[천안역|{{{-2 {{{#000000,#fff 천안 방면}}}}}}]][br][[쌍용역|쌍 용]][br]← 1.6 km ||<width=120px><-2><:><bgcolor=#0FAC84>[[장항선|[[파일:NS-JH.png|height=20]][br]{{{#fff {{{-2 장항선[br]JH13}}}}}}]]||<width=120px><-2> [[대천역|{{{-2 {{{#000000,#fff 대천 방면}}}}}}]][br][[탕정역|탕 정]][br]1.8 km → ||
1110||<-6><bgcolor=#c0c0c0,#383b40> '''주소''' ||
12||<-6><bgcolor=#C9252B> '''[[교통|{{{#ffffff 교통}}}]]''' ||
11||<-6><bgcolor=#0856a0> '''[[서해철|{{{#ffffff 서해철}}}]]''' ||
1312||<-2><bgcolor=#ccc,#383b40> '''천안아산역''' ||<-4><:>[[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희망로 100[br](장재리 364-4)||
14||<-6><bgcolor=#0856a0> '''[[남서울철도|{{{#ffffff 남서울철도}}}]]''' ||
1513||<-2><bgcolor=#ccc,#383b40> '''아산역''' ||<-4><:>[[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희망로 90[br](장재리 268)||
1614||<-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17||<-2><bgcolor=#003da5> [[경부고속선|{{{#ffffff 경부고속선}}}]] ||<-4><|2> [[교통|[[파일:쌍도교통 로고.png|width=180&theme=light]]]] ||
15||<-2><bgcolor=#003da5> [[경부고속선|{{{#ffffff 경부고속선}}}]] ||<-4><|4> [[서해철|[[파일:SH_logo.png|width=180&theme=light]][[파일:SH_logo_black.png|width=180&theme=dark]]]] ||
1816||<-2><bgcolor=#003da5> [[호남고속선|{{{#ffffff 호남고속선}}}]] ||
19||<-2><bgcolor=#0E634C> [[장항본선|{{{#ffffff 장항본선}}}]] ||<-4><|2> [[남서울철도|[[파일:NS_logo.png|width=180&theme=light]][[파일:NS_logo_black.png|width=180&theme=dark]]]] ||
17||<-2><bgcolor=#0E634C> [[장항본선|{{{#ffffff 장항본선}}}]] ||
2018||<-2><bgcolor=#0FAC84> [[장항선|{{{#ffffff 장항선}}}]] ||
2119||<-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220||<-6><bgcolor=#ccc,#383b40> '''천안아산역''' ||
......
3533>'''대지를 박차고 학이 되어 날아오르는 역사(驛舍)'''
3634>천안아산역은 2004년 4월 1일 경부고속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역사의 위치는 하늘 아래 가장 편안한 땅이라 불리는 천안시내와 가깝지만, 소재지는 아산시 배방읍이다. 천안아산역이 그 시작을 알린 것은 1992년 6월 30일이었다. 역사 설립 예정지에서 기공식이 거행되었지만, 외환위기를 겪으며 12년이 지나서야 완공 되었다. 역사는 드넓은 대지 위에 창공을 향해 날아오르는 학의 비상을 형상화하였다. 지상역을 설립할때 걸림돌이 되는 도시 양분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서 관통도로 8개소를 설치하였다. 장항선 철도역인 아산역이 연결되어 있어 이용에 편리하다.
3735>----
38>[[교통]] '철도역 이야기' - 천안아산역에서 발췌.
36>[[서해철]] '철도역 이야기' - 천안아산역에서 발췌.
3937
4038>'''고속철도와 수도권 전철 환승이 가능한 역'''
4139>아산역은 2007년 4월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장항선 철도역이다. 천안아산역과 바로 연결되어 있어 고속철도의 환승 뿐만 아니라 전철 이용도 가능한 곳이다. 지번 주소로는 배방읍 장재리에 위치하고 있는데, 아산역이 지어지기 전 장재리에는 세교역이 있었다. 1931년 영업을 개시했던 장항선의 철도역이다. 때문에 아산역이 처음 지어질 당시에는 세교역(장재역)을 계승한다는 의미로 장재역으로 이름 지으려고 했으나 아산 신도시에 들어서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아산역으로 불리게 되었다.
4240>----
43>[[철도]] '철도역 이야기' - 아산역에서 발췌.
41>[[철도]] '철도역 이야기' - 아산역에서 발췌.
4442
4543 * [[경부고속선]]의 철도역,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희망로 100 (장재리 364-4) 소재.
4644 * [[장항선]]의 철도역, [[장항선]] JH13번, [[장항 쾌속선]] JM20번.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희망로 90 (장재리 268) 소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