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량리역(비교)

r160 vs r161
11[[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분류:중앙본선]][[분류:경원본선]][[분류:경의·중앙 완행선]][[분류:경춘선]][[분류:중앙 쾌속선]][[분류:경춘 완행선]][[분류:경춘 쾌속선]][[분류:의정부선]][[분류:청량리서울라인]][[분류:삼성왕십리라인]][[분류:수인·분당선]][[분류:국제열차/대한민국/정차역]]
22{{{+1 '''淸凉里驛'''[br]'''Cheongnyangni Station'''}}}
3||<)><-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0ab84><tablebgcolor=#ffffff,#2d2f34> [[강원철도|[[파일:KANGWON_Wlogo.svg|height=50&align=left]]]][[강원철도|{{{#fff 강원철도}}}]][br]'''{{{#fff {{{+2 청량리역}}}}}}'''||
3||<)><-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0ab84><tablebgcolor=#ffffff,#2d2f34> [[동해철도|[[파일:DH_Wlogo.png|height=50&align=left]]]][[동해철도|{{{#fff 동해철도}}}]][br]'''{{{#fff {{{+2 청량리역}}}}}}'''||
44||<width=120px><-2> [[왕십리역|{{{-2 {{{#000000,#fff 왕십리 방면}}}}}}]][br][[왕십리역|왕십리]][br]← 2.5 km ||<width=120px><bgcolor=#003da5><-2> [[경원고속선|{{{#fff {{{-2 경원고속선}}}}}}]] ||<width=120px><-2> [[나진역|{{{-2 {{{#000000,#fff 나진 방면}}}}}}]][br][[창동역|창 동]][br]9.0 km → ||
55||<|2><width=120px><-2> [[철원역|{{{-2 {{{#000000,#fff 철원 방면}}}}}}]][br][[광운대역|광운대]][br]← 5.2 km ||<|2><width=60px><:><bgcolor=#ff9845>[[의정부선|[[파일:DH-KU.png|height=20]][br]{{{#fff {{{-2 의정부선}}}}}}]][br]{{{-2 {{{#fff KU02}}}}}}||<|2><width=60px><:><bgcolor=#8f0079>[[의정부선|[[파일:DH-KU.png|height=20]][br]{{{#fff {{{-2 청량리[br]서울라인}}}}}}]][br]{{{-2 {{{#fff KU02}}}}}}||<width=120px><-2> [[서울역|{{{-2 {{{#000000,#fff 서울 방면}}}}}}]][br][[서울역|서 울]][br]9.1 km → ||
66||<-2><bgcolor=#8f0079> [[서울역|{{{#ffffff {{{-3 경부본선 직통 ▶}}}}}}]] ||
......
1818||<-2><bgcolor=#0052a4> [[서울역|{{{#ffffff {{{-3 경인선 직통 ▶[br]경부선 직통 ▶}}}}}}]] ||
1919||<-6><:>[[제기동역|[[파일:DH-KK.png|height=17]][[파일:DH-KU.png|height=17]][[파일:DH-KS.png|height=17]] 경원본선·[[파일:DH-KC.png|height=17]][[파일:DH-KJ.png|height=17]][[파일:DH-KG.png|height=17]][[파일:DH-KL.png|height=17]] 중앙본선 ↔[br][[파일:DH-KT.png|height=17]] 동북선 환승특례]]||
2020||<-6><bgcolor=#c0c0c0,#383b40> '''주소''' ||
21||<-6><bgcolor=#00ab84> '''[[강원철도|{{{#ffffff 강원철도}}}]]''' ||
21||<-6><bgcolor=#00ab84> '''[[동해철도|{{{#ffffff 동해철도}}}]]''' ||
2222||<-6>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214 (전농동 591-53) ||
2323||<-6><bgcolor=#293896> '''[[서울교통공사|{{{#fff 서울교통공사}}}]]''' ||
2424||<-6>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지하205 (청량리동 620-69) ||
2525||<-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6||<-2><bgcolor=#00ab84> {{{#ffffff 나머지 노선}}} ||<-4> [[강원철도|[[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width=180&theme=light]][[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width=180&theme=dark]]]] ||
26||<-2><bgcolor=#00ab84> {{{#ffffff 나머지 노선}}} ||<-4> [[동해철도|[[파일:동해철도.png|width=180&theme=light]][[파일:동해철도_White.png|width=180&theme=dark]]]] ||
2727||<-2><bgcolor=#0052A4> [[서울 지하철 1호선|{{{#ffffff 1호선}}}]] ||<-4>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theme=light]][[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width=180&theme=dark]]]] ||
2828||<-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929||<-2><bgcolor=#ff9845> [[경원본선|{{{#ffffff 경원본선}}}]] ||<-4> 1911년 10월 15일 ||
......
4141>'''푸른 미나리 밭의 상전벽해'''
4242>1911년 10월 15일 경원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청량리역은 중앙선의 시종착역으로, 실제로는 청량리동이 아니라 전농동에 위치하고 있다. 청량리라는 지명은 인근에 청량사라는 유명한 사찰이 있었다는 설과 수목이 울창하고 서늘하여 붙여졌다는 설도 있는데 실제 1914년 무렵에도 파란 미나리 밭이 인상적인 농경지였다고 한다. 1938년 경성부 편입으로 잠시 동경성역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가 1942년 다시 청량리역으로 돌아왔다. 1971년 이후로는 폐역된 성동역을 대신해 경춘선의 시종착역 기능을 맡기도 하였으며, 2010년 민자 역사 완공으로 오늘날의 모습이 되었다. 지하철역 1호선을 비롯해 수인·분당선, 경원선, 경춘선, 경의·중앙 완행선 등 6개의 노선이 지나는 거대 환승역일 뿐 아니라 백화점과 약령시장, 경동시장 등 다양한 재래시장이 인근에 위치하여 동부서울의 거대 물류, 여객의 공간으로 손꼽힌다.
4343>----
44>[[강원철도]]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44>[[동해철도]]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4545||<tablewidth=360px><tablebordercolor=#262626><tablebgcolor=#ddd,#2d2f34><bgcolor=#262626> '''{{{#fff 기본 정보}}}''' ||
4646||<bgcolor=#ffffff,#2d2f34><:>{{{#!wiki styl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4747{{{#!folding [ 펼치기 · 접기 ]
4848{{{#!wiki style="margin:-6px -2px -12px"
4949||<-6><tablewidth=100%><tablebgcolor=#ddd,#2d2f34><bgcolor=#262626> '''{{{#fff 관리역 등급 영업사업소}}}''' ||
5050||<bgcolor=#fff,#2d2f34><-6><:>직영역 (1급)[br]수도권 동부지사||
5151}}}}}}}}}||
52||<bgcolor=#262626> [[강원철도|[[파일:KANGWON_Wlogo.svg|height=30]]]] ||
53[[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강원철도]]의 터미널역이다.
52||<bgcolor=#262626> [[동해철도|[[파일:KANGWON_Wlogo.svg|height=30]]]] ||
53[[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동해철도]]의 터미널역이다.
5454
5555== 역 정보 ==
56561911년에 [[경원본선]] 역으로 연 뒤로, 일제강점기 말에 잠시 '''동경성역'''([ruby(東,ruby=ヒガシ)][ruby(京城,ruby=ケイジヤウ)][ruby(驛,ruby=エキ)])으로 바뀌었다가 해방 후 청량리역으로 환원되었다. 그 후 [[중앙본선]]과 [[경춘선]]의 출발역이 되었고, 2016년과 2018년에 경춘 완행선과 수인·분당선 열차가 청량리역까지 운행하게 되면서 4개 노선 환승역이 되었다. 현재도 서울에서 한반도 동부지역으로 향하는 출발역인데 [[제천역|제천]], [[안동역|안동]], [[부전역(동해선)|부전]], [[동해역|동해]] 방면의 [[중앙선]], [[태백선]] 여객열차와 [[경춘 완행선]] 시종착역으로 기능한다.
5757
58가평, 춘천, 강릉 등 경기도와 강원도의 명승지로 향하는 열차가 출발했기 때문에 [[경춘선]] 완행 개통 전과 [[영동선]] 개편 전까지는 대학교[[MT]]철, 여름휴가철, 연말연시 [[해돋이]] 성수기 때마다 젊은이들의 발길로 문전성시를 이루었다. 특히 MT에 가서 먹을 술과 고기를 종이상자에 잔뜩 싣고 기차역으로 향하던 대학생들의 풍경이 이채롭던 곳이다. 지금은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실질시점이 [[상봉역]]으로 바뀌었고 [[ITX-청춘]]을 편하게 타려는 승객도 시발역인 [[용산역]]을 주로 쓰기 때문에 MT를 가고자 청량리역을 찾는 대학생들은 과거보다 많이 줄어들었다. 또 휴가철이나 [[1월 1일]] 등 해돋이 성수기에 영동 지역으로 향하는 교통 수요도 [[강릉선 KTX]] 열차가 [[서울역]]에서 출발하도록 개편되면서 다소 분산됐다.[* 다만 이러한 것을 보기 싫었던 [[강원철도|운영사]]에서 해돋이 기간 영동지방 열차는 청량리 착발로 고정해놓으면서 좋든 싫든 청량리역으로 와야만 하게 되었다.]
58가평, 춘천, 강릉 등 경기도와 강원도의 명승지로 향하는 열차가 출발했기 때문에 [[경춘선]] 완행 개통 전과 [[영동선]] 개편 전까지는 대학교[[MT]]철, 여름휴가철, 연말연시 [[해돋이]] 성수기 때마다 젊은이들의 발길로 문전성시를 이루었다. 특히 MT에 가서 먹을 술과 고기를 종이상자에 잔뜩 싣고 기차역으로 향하던 대학생들의 풍경이 이채롭던 곳이다. 지금은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실질시점이 [[상봉역]]으로 바뀌었고 [[ITX-청춘]]을 편하게 타려는 승객도 시발역인 [[용산역]]을 주로 쓰기 때문에 MT를 가고자 청량리역을 찾는 대학생들은 과거보다 많이 줄어들었다. 또 휴가철이나 [[1월 1일]] 등 해돋이 성수기에 영동 지역으로 향하는 교통 수요도 [[강릉선 KTX]] 열차가 [[서울역]]에서 출발하도록 개편되면서 다소 분산됐다.[* 다만 이러한 것을 보기 싫었던 [[동해철도|운영사]]에서 해돋이 기간 영동지방 열차는 청량리 착발로 고정해놓으면서 좋든 싫든 청량리역으로 와야만 하게 되었다.]
5959
6060||<-5><tablebordercolor=#0047a0><table align=center><tablewidth=100%><bgcolor=#0047a0><width=100%> [[대한민국|'''{{{#ffffff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6161||<width=30%> 268호 ||<|2> ← ||<width=30%> '''269호''' ||<|2> → ||<width=30%> 270호 ||
......
9393
94942017년 12월에 [[강릉선]]가 개통되었고, 2021년 1월부터는 [[중앙본선]] 준고속열차도 운행 개시함에 따라 명실상부한 서울의 준고속열차 정차역 중 한 곳으로 위상이 상승했다. 기존에는 [[중앙선]], [[태백선]] [[무궁화호]], [[ITX-새마을]]나[* 강릉이나 영주 쪽 등의 중앙선, 태백선 연선과 영동선 연선으로 가려면 무조건 청량리역으로 와서 기차를 타야 했다.] [[경춘선]] [[ITX-청춘]] 위주로 운행되었지만 이제는 [[KTX]]가 정차함으로서 강원도[* [[태백선]] 연선 제외. 그래도 선형 개량 및 직선화로 [[태백선]] 연선도 소요시간이 이전에 비하면 꽤 단축된 편이고 특급도 운행 중이다.]나 경북 북부, 충북 북부 쪽으로 갈 때 KTX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소요 시간도 많이 단축되었다.[* 추후 [[경춘선]] 춘천 지구 개통으로 청량리역에 정차하는 준고속 계통이 하나 더 생길 예정이다.]
9595
962번, 3번 출구는 멀찍이 떨어져 있어서 출입이 적다. 3번 쪽은 [[서울시립대]] 방면 이용객 소수와 [[강원철도]] 직원들의 흡연 장소로, 2번 쪽은 하행선 쪽으로 전망이 탁 트여 있고 역 동쪽으로 연결되는 구름다리가 있어 일반 승객들의 흡연 장소로 사용된다.
962번, 3번 출구는 멀찍이 떨어져 있어서 출입이 적다. 3번 쪽은 [[서울시립대]] 방면 이용객 소수와 [[동해철도]] 직원들의 흡연 장소로, 2번 쪽은 하행선 쪽으로 전망이 탁 트여 있고 역 동쪽으로 연결되는 구름다리가 있어 일반 승객들의 흡연 장소로 사용된다.
9797
9898하루 2편 왕복으로 [[부산광역시|부산]] [[부전역(쌍도교통)|부전역]]을 잇는 [[무궁화호]]가 있다. 다만 이는 [[중앙선]] ↔ [[동해남부선]]을 직결하고 청량리역에서 경주역 구간을 완주한 뒤에 [[경주역]]에서 [[동해남부선]]으로 진입하여 [[부전역(동해선)|부전역]]까지 운행한다. 물론 [[근성열차/대한민국|근성열차]]이며, 1990년대 후반 비둘기호에서 통일호로 승격되었다가 2004년 4월 통일호 폐지와 동시에 무궁화호로 승격되었다. 비둘기호 및 통일호로 운행되던 시절 청량리역에서 부전역까지의 소요 시간은 최대 '''12시간'''이었으며, 통일호 시절 청량리-부전 운임은 약 1만원 정도로 비교적 저렴했다. 2004년까지 [[부산역]]에서 시종착했으나 KTX 개통을 앞두고 동해남부선 열차가 모두 부전역으로 단축되었다.[* 단, 청량리-부전 통일호(원래는 비둘기호) 열차의 경우 원래 부전역 시종착이었다.] 또한 80년대부터 있었다가 1996년 통일호에서 무궁화호로 승격을 거쳐 1999년까지는 청량리 - 중앙선 - 영천 - 동대구를 다니는 열차도 있었다. 그러다가 1999년 시간표 개정으로 모두 안동으로 단축됐다.
9999
......
127127청량리역 인근 재개발 사업으로 탄생한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건물과의 연결통로 공사가 진행중이다.[* 4번, 5번 출구가 이에 해당] 기존의 낡은 5번 출구를 폐쇄하고 비슷한 위치에 새로운 5번 출구가 개통하며 에스컬레이터 2대가 신규 설치되었고(2024년 4월 개통), 4번 출구 역시 연결통로 공사와 함께 기존의 낡은 화장실에 대한 개량 공사가 예정되어 있으나 공사업체 대금정산 문제 등이 엮여 있어 공사가 상당히 지지부진한 상태다.
128128
129129=== 환승통로 ===
130과거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과 [[강원철도]] 청량리역은 서로 코앞에 있음에도 별도의 역으로 취급해서 갈아탈 때에 요금을 다시 내야 했다. 경원선 [[용산역|용산]]-[[광운대역|성북]] 구간 수도권 전철이 개통된 [[1978년]] [[12월 9일]]부터 [[민자역사]]와 환승통로가 완공 전([[2010년]] [[8월 19일]])까지 32년 가까이 별개였다. 그러다 [[민자역사]]를 건설하면서 환승통로를 공사하기 시작했고, 2010년 8월 20일 환승통로가 개통되었다.
131131
132132현재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에서 [[강원철도]] 지상역사 방면으로 가는 환승통로는 1호선 상행(연천 방면) 승차위치 1-1, 하행(인천, 신창 방면) 승차위치 10-4에서 가장 가깝다.[* 단, 이곳은 계단뿐이므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환승하기 위해서는 1호선 상행 4-1, 하행 7-4 지점에서 내린 뒤, 대합실에서 게이트를 두 번 통과해야 한다.]
130과거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과 [[동해철도]] 청량리역은 서로 코앞에 있음에도 별도의 역으로 취급해서 갈아탈 때에 요금을 다시 내야 했다. 경원선 [[용산역|용산]]-[[광운대역|성북]] 구간 수도권 전철이 개통된 [[1978년]] [[12월 9일]]부터 [[민자역사]]와 환승통로가 완공 전([[2010년]] [[8월 19일]])까지 32년 가까이 별개였다. 그러다 [[민자역사]]를 건설하면서 환승통로를 공사하기 시작했고, 2010년 8월 20일 환승통로가 개통되었다.
133133
1341341호선에서 지상역사 방면 환승통로로 진입한 뒤 약 30m 걸어가다 보면 우측에 "3층 맞이방"이라고 쓰여 있는 표지판이 있으며, 좌측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올라가면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경춘선 승강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
135135
1361361980~1990년대 일부 지하철 노선도를 보면 청량리역이 갈아타는 역으로 잘못 표기되어 있었던 경우가 있다. 수도권 전철 전산화 전(에드몬슨식 승차권)에는 청량리역에서 갈아타겠다고 하면 검표원이 승차권에다가 특별한 표시를 해서 개찰구를 통과시키고, 상대방 역에 가면 검표를 다시 받는 식으로 갈아탈 수 있었다. 두 노선을 잘못 타서 항의를 하는 승객들이 워낙 많았기 때문에, 서로의 역으로 바꾸어 탈 수 있도록 임시 조치를 취한 것이다. 그러나 1986년 9월에 전산화를 시행하고 나서는(마그네틱 승차권 도입) 이 방식을 못 쓰게 되었다. 이 시절에는 평시에도 용산 발 청량리 종착 열차가 있어서 갈아타려면 [[회기역]]까지 올라가야 했고, 그러자면 그 다음에 오는 더 위로 올라가는 열차를 기다려야 했다. 심지어 용산 - 청량리 구간의 배차 간격은 지금보다 더 나빴다.
137137
138[[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과 [[강원철도]] 노선 간의 환승은 거리가 멀어서 [[막장환승]]이다. [[경의·중앙 완행선]], [[수인·분당선]], [[경춘 완행선]] 간의 환승은 [[개념환승]]이다. 따라서,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과 [[경의·중앙 완행선]] 및 청량리발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 간 갈아타려면 [[회기역]]에서 하는 것을 권장한다[* 운임이 비싼 강원철도선을 추가로 경유해야 해서 운임이 비싸지는 단점이 있긴 하다. 1호선 역에서 중앙선으로 환승게이트를 거치지 않고 환승하면 회기역에서 환승한 것으로 간주하여, 청량리-회기 가산운임이 더 붙는다.]. 청량리역 환승은 준막장급이지만 회기역은 뛰면 1분 만에 가능하다.
138[[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과 [[동해철도]] 노선 간의 환승은 거리가 멀어서 [[막장환승]]이다. [[경의·중앙 완행선]], [[수인·분당선]], [[경춘 완행선]] 간의 환승은 [[개념환승]]이다. 따라서,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과 [[경의·중앙 완행선]] 및 청량리발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 간 갈아타려면 [[회기역]]에서 하는 것을 권장한다[* 운임이 비싼 동해철도선을 추가로 경유해야 해서 운임이 비싸지는 단점이 있긴 하다. 1호선 역에서 중앙선으로 환승게이트를 거치지 않고 환승하면 회기역에서 환승한 것으로 간주하여, 청량리-회기 가산운임이 더 붙는다.]. 청량리역 환승은 준막장급이지만 회기역은 뛰면 1분 만에 가능하다.
139139
140140== 역 주변 정보 ==
141141청량리는 서울의 대표적인 [[부도심]] 중 하나지만, [[청량리 588]]과 노후화 등으로 인해 밤에는 근처 골목길에 들어가지 않는 것이 좋다는 이야기가 나돌 정도로 치안이 안 좋았다. 현재는 사창가 일대가 철거되고 [[전농답십리뉴타운]]과 청량리부도심촉진권역사업에 따라서 [[재개발]]이 시행 중이다.
......
155155[[동서울터미널]]과 마찬가지로 군인들에게 차비가 부족하다면서 돈을 뺏는 [[남수꾼]]들이 있다.
156156
157157== 승강장 ==
158=== [[강원철도]] 청량리역 ===
159[[강원철도]]의 터미널역이다. 이 역 착발인 강원도 방면 특급열차가 많다.
158=== [[동해철도]] 청량리역 ===
159[[동해철도]]의 터미널역이다. 이 역 착발인 강원도 방면 특급열차가 많다.
160160
161161===== 지상 승강장 =====
162162||<-17> ↑ [[회기역|회기]] ||
......
236236== 이용 실적 ==
2372372021년 기준 일 평균 전철과 여객열차 이용객을 모두 포함하여 약 7만 5천 명으로 서울의 [[부도심]]다운 이용객 수를 나타내고 있으나, 일 평균 약 112,500명이 타고 내렸던 2000년에 비해서는 점점 수요가 위축되어 가는 추세다. 이는 과거 청량리역은 서울 동부의 상업/교통 밀집 지역으로서 물류 대부분이 몰려들었으나, 역 주변이 상당히 노후함에도 별다른 대책이 수립되지 않어서 청량리의 부도심 기능은 [[상봉역|상봉]]/[[왕십리]]/[[수유리]]/[[건대]] 등의 주변 지역으로 분산되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열차 이용객 역시 줄었다.
238238
239운영사인 강원철도 역시 이러한 점을 인지하고 있어 청량리를 키우기 위해 청량리 착발열차를 꾸준히 유치하고 있고, 서울역·용산역과 청량리 구간을 잇는 선로의 슬롯을 크게 제한해버리면서 수요 증가를 유도하고 있다.[* 동국철도와 강원철도의 분쟁이 심해진 것도 역시 청량리역은 못 살리니 서울발이나 만들어달라는 발언 때문이었다.]
239운영사인 동해철도 역시 이러한 점을 인지하고 있어 청량리를 키우기 위해 청량리 착발열차를 꾸준히 유치하고 있고, 서울역·용산역과 청량리 구간을 잇는 선로의 슬롯을 크게 제한해버리면서 수요 증가를 유도하고 있다.[* 동국철도와 동해철도의 분쟁이 심해진 것도 역시 청량리역은 못 살리니 서울발이나 만들어달라는 발언 때문이었다.]
240240
2412411호선만 놓고 봤을 때에는 그 감소 폭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2000년과 2017년의 일 이용객 수 차이가 무려 4만 명 이상으로 17년 동안 42%나 줄었다. 이는 1호선 연선에서 청량리역을 찾는 승객이 크게 줄었음을 뜻한다. 또한 신규 개통한 [[강릉선]], [[중앙선]] [[KTX]]가 [[서울역]]까지 환승 없이 운행 중이고, [[왕십리역]]과 [[옥수역]], [[상봉역]] 등의 신규 여객 취급으로 인해 [[영동선]], [[중앙선]], [[경춘선]] 연선 지역에서 청량리역을 거치는 승객들이 크게 줄었다.
242242
......
246246
247247이 역에서 타고 내리는 사람은 주로 [[중랑구]]·[[구리시]]·[[남양주시]] 지역에서 서울 [[사대문 안]]으로 가거나, 여기가 목적지인 승객들이다.
248248
249이용객 수도 많지만 교통 거점인 만큼 환승객 규모가 적지 않다. 2018년에 202,491명으로 [[강원철도]] 소속의 철도역 중 1위, 전국 일반철도역 중에선 [[금정역]]과 [[신도림역]]에 이어서 전국 3위를 차지했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1091619|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다만, 서울교통공사 노선 간 환승은 빠져 있어서 이 환승객들 수를 더한다면 [[왕십리역]] 등 타 역에 밀린다.
249이용객 수도 많지만 교통 거점인 만큼 환승객 규모가 적지 않다. 2018년에 202,491명으로 [[동해철도]] 소속의 철도역 중 1위, 전국 일반철도역 중에선 [[금정역]]과 [[신도림역]]에 이어서 전국 3위를 차지했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1091619|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다만, 서울교통공사 노선 간 환승은 빠져 있어서 이 환승객들 수를 더한다면 [[왕십리역]] 등 타 역에 밀린다.
250250
251251== 연계 버스 ==
252252=== [[청량리역 환승센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