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북울산역
(r2 문단 편집)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 역명 선정 과정 === 초기 가칭 '송정역'으로 불리던 역은 [[울산광역시]] [[북구(울산광역시)|북구]] 창평동에 자리 잡고 있었으며, 인접한 북구 [[송정동(울산)|송정동]] 및 송정택지지구에서 이름을 따왔다. 그러나 동일한 동해선 노선에 위치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해운대구)|송정동]]의 송정역과 명칭이 완전히 일치하여 혼동을 피하고자 '울산송정역'으로 이름을 지정하자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유사 사례로 경부선의 원동역과 부산의 원동역이 있다. 두 역 모두 한글, 로마자, 한자명칭이 동일하여 혼동의 여지가 있었는데, 양산시의 원동역이 전국적으로 인지도가 높아 부산에 새로 생긴 동해선 원동역을 부산원동역으로 명명하여 구분했다. 또한, 수도권에서는 서울 강남구의 논현역과 인천 남동구의 논현역을 각각 논현역과 인천논현역으로 구분한 사례가 있다.] 이에 가칭 '송정역'은 여러 가지 역명이 논의되었는데, 과거 울산시 출범 전 울주군 농소읍에 속했던 지역의 지명을 딴 '''농소역''', [[무룡산#s-1]]을 딴 '''무룡역''', [[송정 박상진 호수공원]]을 딴 '''송정호수공원역''', 새로운 고속전철의 의미를 담은 '''신울산역''', 방위에 따른 '''북울산역''', 그리고 '''울산송정역''' 등이 거론되었다. 또한, 울산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 [[박상진]]의 생가가 송정동에 있어서 '''박상진역''', '''송정박상진역''' 또는 박상진의 호를 딴 '''고헌역'''으로 지정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비슷한 사례로 [[신분당선]]의 [[양재시민의숲역]]에 [[윤봉길]] 의사의 호인 '매헌'이 들어간 사례가 있다.] '''울산공항역'''으로 하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울산공항과의 거리가 멀어 무산되었다. 결국 울산시 북구 지명위원회는 2021년 3월 5일 '북울산(박상진)역'으로 결정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379385?sid=102|#]] 그러나 [[국가철도공단]]에서 법적으로 일반철도 노선의 역이라 병기역명이 불가하며 또한 역명 글자수가 6자를 넘어가는 등 ‘철도노선 및 역의 관리지침’에 부합하지 못했다는 것이 이유로 부결되었고 이후 '북울산박상진역'이라는 역명도 부결되었다. 이에 따라 2021년 7월, '북울산역'으로 다시 제출되었다. 이 기간에 글자수가 총 8글자에 [[병기역명]]과 [[부역명]]이 있어 지침에 걸리는 [[경부고속선]] [[천안아산역|천안·아산역]]-[[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장재리, [[구한말]] [[충청남도]] [[천안군]] 군서면(郡西面) 솔울(松谷; 송곡) 소재-이 개칭되지 않고 유지되었다. 2021년 9월 14일, 국토교통부 역명심의위원회에서 '''북울산역'''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5603540?sid=102|#]] 부기 역명은 2021년 9월 23일 [[국가철도공단]]의 광역철도 역명부기 사용기관 모집공고에 북울산역이 포함되어 모집 공고에 신청하였고, 같은 해 11월 25일 북울산역 부기 역명이 '박상진생가'로 최종 확정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4745737|#]] 한편 역명이 '북울산'으로 정해지면서 영문 역명은 표기법에 따라 'Bugulsan'으로 쓰게 됐는데, 공교롭게도 이게 '[[벌레|Bug]]+[[울산광역시|Ulsan]]'으로 읽힐 수 있는지라 지역 언론에서 관련 보도가 나온 적이 있다.[[https://www.usmbc.co.kr/article/XKMYkBEdpdjpqfCrwY|#]] 하지만 동해철도가 접두·접미어는 하이픈을 붙이는 로마자 표기 규정을 자체 신설하면서 Buk-Ulsan으로 개명되었다.
사용자
216.73.216.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