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신도림역
(r14 문단 편집)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 [[경부선]] ===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초기 개통 때는 없다가 2호선 환승을 목적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개통과 함께 1호선 선로상에도 생긴 역이며 그런 이유로 전역인 [[구로역]]에서 700m 앞에 있다. 구로역을 빠져나오자마자 서행하다가 1분 후에 안내방송이 들릴 정도로 간격이 짧다. 이는 완행열차 선로의 굴곡이 상당하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특히 [[경부선]] 계통(경부2선)의 상행 열차의 속도 제한이 가장 강력하게 걸려있다. 이 속도 제한이 해제될 때 즈음에 이미 열차는 신도림 지하차도 위를 지나고 있는 시점이며, 여기서 신도림역까지 200m가 채 되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구로역에서 신도림역까지는 제대로 된 가속을 하지 못한다. 또한 신도림역의 상행 완행 승강장인 1번 승강장이 다른 승강장에 비해 구로역에 가깝게 지어진 탓도 있다. 반면 하행 열차는 이런 제한에서 비교적 여유로워 구로역 진입 속도가 빠르며, 같은 상행선이라도 급행선으로 달리는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동인천쾌속]]/[[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급행]] 열차는 큰 문제없이 신도림역으로 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출퇴근 시간에는 신도림역 승하차 지연도 있고, 이곳이 경부선과 [[경인선]] 계통의 실질적 합류 지점이 되기 때문에 이런 선로 사정이 없더라도 열차가 원활히 달리기 어려운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경인/경원선과 경부/장항선의 공용 구간(연천-구로 구간)에서 하행(인천/서동탄·신창 방향) 열차를 잘못 탔을 경우 또는 구로행 열차를 탔을 경우 이 역이 환승 가능한 사실상 마지막 역이다. 다음 역인 [[구로역]]에서 환승할 경우 계단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 역인 구로역을 마지막으로 부평행, 인천행 열차는 [[구일역]]으로, 병점행, 동탄행, 천안행 열차는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갈라져 나간다. 전동차 내 안내방송으로도 신도림역 도착 전 이 내용을 방송한다.
사용자
216.73.216.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