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종로3가역
(r3 문단 편집)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 역 정보 == 1, 3, 5호선 모두 [[서울교통공사]]가 관리한다. 2017년 이전에는 1호선과 3호선은 [[서울메트로]](구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5호선은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관리했다. 1, 3호선 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가에 있지만, 5호선 역은 종로2가 근처에 있다. 5호선 역에는 '''탑골공원'''과 '''인사동 문화거리'''가 각각 병기역명과 부역명으로 지정되어 있다.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5호선을 운영할 때 부여되었고, [[서울교통공사]]로 통합된 후에도 존치 중이었으나 현재 5호선 측 역명판이 서울남산체 폰트로 교체되어 '인사동 문화거리' 부역명은 표기하지 않는다. 국내 지하철 역사 중 처음으로 2-1번이라는 출구 번호가 생겼다. 출구 번호를 정하는 규칙대로 2-1번 출구에 3번으로 번호를 끼워 넣으면 기존에 위치하던 3~15번 출구는 전부 1씩 더해서 출구 번호가 바뀌는데 그렇게 되면 주변 상인들의 반발이 있기 때문에 기존 출구 번호는 그대로 유지하고 새로 생긴 출구에 '-1'번을 부여했다. 그러므로 정식 출구 수는 총 16개다. 1호선, 3호선, 5호선 모두 왼쪽 문이 열린다. 1호선은 상대식 승강장에 좌측통행이고, 3, 5호선은 섬식 승강장에 우측통행이기 때문이다. 도심의 3개 노선 환승역이라 이용객이 많은데, 이 역은 [[서울역]], [[노원역]], [[홍대입구역]], [[고속터미널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등과 함께 수도권 [[막장환승/수도권 전철|막장환승]]의 대표 역 중 하나다. 1호선 - 5호선 간 환승은 3호선 승강장 위 통로를 지나야 한다. 무빙워크가 있지만 아침, 저녁에 각 3시간씩만 작동한다. [[1기 지하철 계획]]의 5호선 계획(연희동 - 서대문 - 종각 - (1호선과 선로를 공유함) - 신설동 - 신답 - 답십리 - 현 5호선)은 지금의 5호선과 노선이 비슷했는데 지금처럼 골목을 지나는 것이 아니라 1호선 종로 구간 양 옆에 선로를 부설해 2복선화하여 종로 구간을 1호선과 공용할 예정이었다. 그래서 1호선 종로3가역에는 양 옆에 빈 공간이 일부 있는데 만약 당시에 5호선 계획이 그대로 유지되었더라면 평면환승을 실현할 수도 있었다. 이후 5호선 계획 조정으로 이 공간에는 각종 통신 케이블과 파이프 등이 들어섰는데, 1호선 인천/신창 방면과 3호선 승강장 간 환승통로가 이 공간의 일부를 활용했다. 5호선과 1호선 인천/천안 방면 간 환승은 이 역보다는 [[신길역]]에서 하는 것이 좋다. 두 경로 모두 종로3가 - 신길 구간 소요시간이 거의 같고(1호선 20분, 5호선 17분), [[신길역]]은 동인천{{{#01B3E6 쾌속}}}이 있다. 그리고 5호선 방화 방면에서 1호선 동두천 방면으로 가는 경우 굳이 [[신길역]]에서 환승해 돌아올 승객은 없으므로 이 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좋다. [[왕십리역]] 이동에서 출발할 때 [[도봉산역]] 이북이 목적지라면 [[군자역]]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으로 갈아타고 [[도봉산역]]에서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으로 갈아타거나 [[왕십리역]]에서 [[경의·중앙선]]을 통해 [[회기역]]으로 가는 게 빠르다. [[노원구]], [[도봉구]] 쪽이 목적지라면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으로 갈아타서 [[창동역]]으로 가거나 [[왕십리역]]에서 [[경의·중앙선]]으로 갈아타서 [[회기역]]에서 [[경원선]]으로 갈아타면 된다. 1호선과 3호선은 이 역에서만 교차한다. 또한 3호선과 5호선의 경우도 이 역을 지나면 [[오금역]]에서야 다시 만나는데 오금역은 5호선에서도 거의 끝인데다 [[마천지선]] 구간에 있어서 상일동/팔당행을 탄다면 이용 불가다. 따라서 1-3호선은 물론 3-5호선도 대다수 이 역에서 환승해야 한다. 다행히 1↔5를 제외하면 막장환승까지는 아니다. 1↔3호선은 무난한 편이며 1호선 하행선과의 환승은 개념환승에 가깝고, 3↔5호선 환승도 거리가 좀 길긴 하지만 막장환승까지는 아닌 무난한 환승이다.
사용자
216.73.216.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