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타고타고
(r16 문단 편집)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 편도 승차권 예매 === * 출발역 · 도착역 선택: 출발역와 도착역을 선택하면 된다. * 출발일 선택: 출발일과 시간을 선택하면 된다. 당일 열차 출발 20분 전~1개월 후 오전 7시 출발 열차까지 예약 가능하다. * 탑승인원 선택: 최대 10명까지 선택 가능하며, 10명 초과 인원의 대량 탑승일 경우 앱으로는 예약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 사전에 전화를 통해 예약하도록 하자.] 승객 종류는 어른(만 13세 이상), 어린이(만 4~12세), 유아(4세 미만)[* 유아는 별도로 좌석을 지정하지 않고 보호자가 동반하여 승차할 수 있다. 다만 좌석을 지정할 경우 보호자 1명당 유아 2명까지 어른 운임의 75%를 할인하여 발권할 수 있다.], 경로(만 65세 이상), 장애 1~3급, 장애 4~6급 중에서 선택 가능하다.[* 청소년 할인도 지원된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 * 열차 종류 선택: 왼쪽 상단에 열차를 선택할 수 있는 탭이 있다. 기본값은 모든열차이고, 이것 말고도 각 등급별로 검색이 가능하다. * 좌석 종류 선택: 가운데 상단에 좌석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탭이 있다. 기본값은 "일반석"이고, 이것 말고도 유아동반석, 대피도우미[* 만 20세 ~ 만 50세 이하 성인 중 열차의 출발역 ~ 종착역 한정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열차에서 긴급상황 발생 시 승무원과 함께 대피를 돕는 걸 말한다. 각 객차의 1C석(객차 끝 복도측 좌석)을 전용 좌석으로 하며, 평시에 이용 시 마일리지 10% 추가로 적립, 긴급상황 발생으로 도우미역할 수행 시 국제열차 제외 고속열차 무료 이용권 2매를 증정한다.], 수동휠체어, 전동휠체어석[* 일부 열차에 존재하는 휠체어용 좌석을 검색한다. 좌석이 임의로 배정된다는 점에 유의. 이걸 선택할 경우 휠체어 동의문이라는 안내문이 뜨는데, 휠체어석은 장애인, 유공자 등의 휠체어 이용자에 한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정당 이용자가 아닌 고객이 휠체어석을 이용하면 부정승차로 간주, 부가운임을 징수한다는 내용이다. 이 내용에 동의해야만 휠체어석 발권이 가능하다. 건전한 열차이용 문화를 위하여 휠체어석은 휠체어 이용객을 위해 남겨두자.][* 일부 열차에 존재하는 전동휠체어용 좌석을 검색한다. 좌석이 임의로 배정된다는 점에 유의. 이걸 선택할 경우 전동휠체어 동의문이라는 안내문이 뜨는데, "전동휠체어석"은 전동휠체어를 차내에 고정하는 공간으로 별도의 좌석설비가 없다는 내용이다. 이 내용에 동의해야만 휠체어석 발권이 가능하다.], 자전거[* 토요일/공휴일 출발 열차만 검색할 수 있다. 이것 이외에 차이점은 없다. 이걸 선택할 경우 "자전거는 다른 고객의 통행에 불편이 없도록 접거나 분해한 경우에 한하여 휴대할 수 있습니다."라는 안내문이 뜬다.]를 선택할 수 있다. 일반석을 제외한 나머지 좌석은 반드시 그 항목을 검색해야만 해당 좌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입석]]은 어떤 열차 등급도 모든 좌석이 매진되기 전까지 발권이 불가능하다. * 직통/환승 선택: 출발역에서 도착역까지 한번에 갈지, 열차를 갈아타서 갈지를 선택할 수 있다. 출발역에서 도착역까지 한번에 가는 열차가 아예 다니지 않거나 매우 뜸하게 다니는 경우가 아닌 이상 "환승" 탭을 이용할 일은 많이 없을 것이다. 다만 이용할 경우, 보통 20분~40분 차이로 다음 열차가 있는 환승편을 같이 검색해 준다. 이 경우 열차 2대를 따로 예약하는 것보다 돈이 절약되니 필요할 경우 유의하게 쓸 수 있다.[* 다만 일부 구간에서 환승열차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이 경우 역 창구나 고객센터에서 환승역을 지정하여 승차권을 발매하여야 한다.] * 유의사항: 열차를 검색할 경우, 특정 상황에 따라 출발역과 도착역이 다를 때가 있다. 이 경우 앱에서 해당 열차편을 회색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예약할 경우 출발역과 도착역이 어디인지 다시 확인을 한 다음 타도록 하자. * 일반실/특실 선택: 열차편성마다 각각의 일반실/특실 요금이 나오며, 해당 상자를 누르면 열차시각/운임요금의 상세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좌석선택을 할 수 있다.[* 20분 이내에 출발하는 열차는 좌석선택 버튼이 비활성화되며 좌석선택을 하지 못한다. 시스템에서 랜덤으로 찍어주는 좌석에 타야 하며, 한 번 좌석이 지정되면 예약, 취소를 반복하더라도 쉽게 바뀌지 않는다.] 일반실만 있는 경우 일반실만 뜨며, 특실만 있는 경우[* 관광열차 등 특실로만 운영하는 열차들이다.] 특실만 뜬다. ---- * 이렇게 열차와 좌석까지 선택하여 예매를 누를 경우, 승차권 정보 확인 창이 뜬다.[* 좌석을 선택하지 않거나 열차출발임박, 매진임박, 자유석 선택 등의 이유로 좌석 선택이 불가능할 경우 좌석이 임의로 배정된다.] 승차권을 확인한 다음 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 좌석취소: 말 그대로 좌석을 취소한다. 예약 전으로 원상복귀된다. * 결제: 결제창으로 간다. * 장바구니: 장바구니에 담는다. 예약 기차표 특성상 10분 내로[* 열차 출발 20분 전부터는 5분이다.] 결제하지 않으면 자동 취소된다. 만약 예약한 기차표를 장바구니에 담았으면 마이페이지->장바구니에 가서 찾을 수 있다. 장바구니에 담았다고 그 열차 또는 좌석에 대한 선점권이 인정되지는 않는다. 단, 취소하기 전까지 다른 승객이 그 자리를 예매할 수 없다. * 제휴상품: 제휴상품 창으로 간다. 뒤로 돌아가면 예약한 표가 보이지 않는다. * 승차권 정보 확인 창에서 그냥 뒤로가기[* 삼성 갤럭시 폰/타블렛 기종 등에서의 "뒤로" 버튼.]를 누를 경우: 간혹 이게 가능할 때가 있는데, 이 경우 승차권은 예약 처리되지만 이걸 찾는 게 힘들어진다. 오른쪽 상단의 메뉴 버튼을 눌러서 승차권 예매->예약 승차권 조회/취소 탭으로 가면 볼 수 있다. 이것 역시 10분 내로[* 열차 출발 20분 전부터는 5분 내다.] 결제하지 않으면 자동 취소된다. ---- 결제 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는 누비다마일리지, 타고코인 포인트이며, 일반 카드번호 입력 결제 외에도 타고타고 모바일 교통카드로 결제가 가능하다.
사용자
216.73.216.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