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태화강역
(r8 문단 편집)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 역명 환원/변경 여론 === 울산시장을 비롯해 KTX [[울산역]] 개통 이후 내어준 울산역 명칭을 부전-청량리간 KTX-이음, 부전-강릉간 KTX-이음 개통 전 다시 본 역으로 가져오자는 여론이 있다. 역사성에서는 본역이 매우 오래전부터 울산역이였기에 아무 무리가 없으나, KTX울산역의 이름을 어떻게 해야 할지는 감감무소식이다. 예상 역명으로는 서울산, 울산삼남, 울산언양 등이 나왔지만 모두 문제점이 있다. 서울산역은 북울산역이 개통했으니 위치상 서울산이라고 명명하자고 하였는데, 문제는 읽는 화자에 따라 '서 울산' 또는 '서울 산'으로 읽히는 문제로 경부고속도로 서울산IC도 표지판에 (서)울산으로 표기해 둔다. 삼남의 경우 역 소재지의 [[읍(행정구역)|읍]] 이름이나, 1920년에 생긴데다 태화강 건너 연담화된 [[언양읍]]이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대표성을 가지며, 그렇다기엔 언양을 넣기엔 퉁쳐서 언양으로 불리는 지역이지만 삼남읍에 위치한 것을 부정할 수 없다. 다만 구역이 폐역되며 경주역이 된 신경주역의 사례처럼 신울산역은 거론조차 되지 않았다. 울산역은 이미 개통을 했고 두 역의 시설비를 부담할 필요없이 태화강역의 역명을 변경하자는 여론도 있다. 변경 역명 후보로는 울산중앙역(울산 시가지의 중심지에 위치), 동울산역[* 울산역의 동쪽에 위치, 혹은 울산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동쪽에 가까운 위치라는 의미다. 그러나 동울산이라고 하면 보통 [[동구(울산광역시)|동구]] ([[방어진]]) 일대를 이야기해서 이 역을 동울산역으로 하는 것은 다소 의미 상 거리감이 있다. ], 울산삼산역 혹은 삼산역 (울산광역시에서 가장 번화한 상권인 [[남구(울산광역시)|남구]] [[삼산동(울산)|삼산동]]에 위치) 등이다. 태화강 명칭도 대표성 차원에서 좀 그렇긴한데, [[태화강]] 길이가 얼마나 긴데 삼산동 혼자 명칭을 소유하는 것도 애매하고, 하필 [[태화강 국가정원]]도 5km나 떨어져 따로 존재하니 관광안내 차원에서 매우 골칫거리가 된다.[* 문서에 나오듯 개통 초 국가정원을 방문해 보겠다고 본 역에 몰려 직원들이 안내하느라 크게 고생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태화강역, version=1720)] [[분류:울산광역시의 철도역]][[분류:경부고속선]][[분류:동해본선]]
사용자
216.73.216.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