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239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강남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아무나이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2호선]][[분류:신분당선]] {{{+1 '''江南驛''' (하루플란트齒科)[br]'''Gangnam Station''' (Haruplant Dental Clinic)}}}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tablebgcolor=#ffffff,#2d2f34><bgcolor=#293896> [[서울교통공사|[[파일:SeoulMetro_Wlogo.svg|height=50&align=left]]]][[서울교통공사|{{{#fff 서울교통공사}}}]][br]'''{{{#fff {{{+2 강남역}}}[br](하루플란트치과)}}}'''|| ||<width=120><:><-2>[[잠실역|{{{-2 {{{#000,#fff 외선순환}}}}}}]][br][[역삼역|역 삼]][br]← 0.8 ㎞||<-2><:><width=120><bgcolor=#11A84D>[[파일:SM-2.svg|width=20]][br][[서울 지하철 2호선|{{{-2 {{{#fff 2호선[br]222}}}}}}]]||<-2><width=120><:>[[신도림역|{{{-2 {{{#000,#fff 내선순환}}}}}}]][br][[교대역(서울)|교 대]][br]1.2 ㎞ →|| ||<)><-6><bgcolor=#D31145>[[네오트랜스|[[파일:DXLine_Wlogo.svg|height=50&align=left]]]][[네오트랜스|{{{#fff 네오트랜스}}}]][br]'''{{{#fff {{{+2 강남역}}}}}}'''|| ||<width=120><:><-2>[[용산역|{{{-2 {{{#000000,#fff 용산 방면}}}}}}]][br][[신논현역|신논현]][br]← 0.9 km||<-2><width=120><bgcolor=#D31145><:>[[파일:NS-D.png|height=20]][br][[신분당선|{{{-1 {{{#fff 신분당선[br]D07}}}}}}]]||<-2><width=120><:>[[향남역|{{{-2 {{{#000,#fff 향남}}}}}}]]·[[반월역|{{{-2 {{{#000,#fff 반월}}}}}}]] {{{-2 {{{#000,#fff 방면}}}}}}[br][[양재역|양 재]][br]1.5 ㎞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지하1822 ([[봉천동]] 979-2)||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11A84D>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4>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theme=light]][[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width=180&theme=dark]]]] || ||<-2><bgcolor=#D31145> {{{#ffffff 신분당선}}} ||<-4> [[네오트랜스|[[파일:DXLine_logo.svg|width=180&theme=light]][[파일:DXLine_logo_black.svg|width=180&theme=dark]]]]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11A84D>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4><:>1982년 12월 23일|| ||<-2><bgcolor=#D31145> [[신분당선|{{{#ffffff 신분당선}}}]] ||<-4> 2011년 10월 28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출근의 설렘과 희망처럼 다이내믹한 미래의 시간이 숨 쉬는 곳''' >서울에서도 손꼽히는 최대 상권이자 대한민국의 압축 성장과 그 이면을 여실히 보여주는 작은 대한민국, 강남역. 1980~1990년대 성장과 발전을 이룩해낸 대한민국의 상징 역사이다.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 준비의 일환으로 1978년 지하철 2호선이 착공되어 1982년 12월 23일, 강남역이 개통되면서 강남대로와 테헤란로 개발이 본격화, 2011년 10월 28일 신분당선이 확장 개통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강남역은 신분당선의 환승역이 된 동시에 기존 8번 출구에서 12번 출구까지 확장되었으며, 유동인구의 증가로 일대에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냈다. 역사는 미래의 시간이라는 주제로, IT, Hi-Tech의 활발한 비즈니스가 이루어지는 젊고 역동적인 역사로 디자인되었으며 미래 여행의 한순간을 담아낸 작품 ‘첫 출근’을 통해 강남역의 활기차고 다이내믹한 특성과 이용객들의 설렘과 희망을 표현해냈다. >---- >[[남서울철도]]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 [[서울 지하철 2호선]] 222번.[* 개정 전 22번.]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지하396 ([[역삼동(강남구)|역삼동]] 858) 소재. * [[신분당선]] D07번.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지하396 ([[역삼동(강남구)|역삼동]] 858) 소재. == 역 정보 == 서울특별시에 있는 도시철도역이다. 강남역은 1982년 12월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 구간([[종합운동장역(서울)|종합운동장역]]~[[교대역(서울)|교대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영업을 시작했으며, 2011년 10월에 신분당선 강남역~[[정자역]] 구간이 첫 개통되어 29년 만에 [[환승역]]이 되었다. 역이 있는 [[강남대로]]는 강남역 개통 때는 강남구의 정중앙이었다. 1988년 강남대로를 경계로 서초구가 분리 신설되면서, 현재는 강남역과 강남역 상권 일대의 정확히 반은 [[강남구]], 반은 [[서초구]]다. 1~4, 11~12번 출구는 강남구에, 5~10번 출구는 서초구로 연결된다. 신분당선 강남역은 서울시내에 있지만 '서울전용' 정기권 사용이 제한된다. 단, 2호선 운임구역 쪽에서 환승 게이트를 통과하는 것은 가능하나 하차 시 추가 차감된다. 2024년 8월 9일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역명병기 유상판매]] 입찰 결과 [[https://www.youtube.com/watch?v=tk68HFj3XVI|하루플란트치과가 낙찰가 11억1100만원에 낙찰되었다.]] 현재 2호선 역사에 '''강남(하루플란트치과)역'''으로 병기 표기 되고 있다. === 역 구조 === 십자 형태가 아닌 T자 형태로 지어졌다. 계단이 두 개인 데다가 미묘한 거리가 있어서 [[개념환승]]은 아니지만 [[막장환승]]도 아니다. 신분당선 강남대로 구간의 역간 거리가 짧아서 일부러 강남역 승강장을 조금 남쪽으로 내려 역간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역에 지하상가가 딸려 있다. 2호선 강남역에 연결된 지하상가는 '강남역 지하쇼핑센터'로 1982년 2호선 개통 때부터 개장한 것이며, 본래 민간자본을 이용해 건설한 탓에 민간자본이 관리하다가 지금은 [[서울시설공단]]에서 관리한다. 2011년에 [[신분당선]]이 개통하면서 신분당선 측에도 'DX아르체 쇼핑몰'이라는 지하상가가 개장했으며 신분당선 위탁운영사인 [[네오트랜스]]에서 관리한다. 두 지하상가는 연결되어 있다. 2호선 개찰구로 나와서 지하상가에 들어가면 2, 3, 5, 6, 7번 출구와 신분당선 타는 곳이 적혀 있는 표지판이 있다. 2호선에서 신분당선으로 내려가는 환승계단이 승강장 가운데 부분에 있는데 누렇게 변색된 다른 벽면에 비해 그곳만 벽이 흰색이며 전동차 쪽 벽면에는 LED 광고판이 설치되어 있어 색상이 화려하다. 그래서 환승통로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지만 미묘하게 위화감이 있다. 신분당선의 역명판 색은 [[파란색|{{{#blue 파란색}}}]]이다. 2호선에서 신분당선으로 갈아탈 때에는 내려가야 한다. 한편 신분당선 2호선으로 갈 때는 신분당선 승강장 구조상 올라가는 계단이 어디냐에 따라 환승이 단절될 수 있다. 환승 통로가 있든 없든 둘 다 올라간다는 점에서 충분히 헷갈린다. 하차만 가능한 지점으로 올라갔을 때는 횡단도 불가능하다. 2호선-신분당선 환승통로는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고속터미널역]]에 사용된 TRcM 공법(2개의 관을 넣은 뒤 이를 관으로 다시 연결해서 그 밑을 굴착하는 공법)이 적용되었으며 2011년 올해의 토목 구조물 공모전 금상을 받았다.[* [[http://www.trenc.co.kr/bbs/board.php?bo_table=technology01#|티알이엔씨(주) > 공법소개 > TRcM]]] [[사당역]]과 마찬가지로 역사 내 [[공중화장실]]은 총 5곳이 있다. 환승객보다 승/하차객이 월등히 많은 특성상 유동인구도 상당히 많기 때문에 화장실을 많이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그중 2호선 대합실에 화장실이 3곳이고 나머지 2곳은 신분당선 대합실 각 층별로 있다. 3곳 중 2곳은 강남역 [[지하상가]]에서 관리하는 화장실인데 강남역 대합실과도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역에서도 일부 관리한다. 중국어 안내 방송에서 역명을 중국 한자음으로 읽는 몇 안 되는 역이었다.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의 모든 역과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우이신설선]]의 일부 역을 제외하면 이런 식으로 방송하는 역은 같은 강남권 [[양재역]]뿐이었다. 그러다가 2023년 8월 부로 한국어로 변경됐다. 신분당선 강남역 이북 구간(강남~신사) 2.4km 구간은 역간거리가 매우 짧은 구간이다. 평균 역간거리가 1.5~2.0km를 넘어가는 신분당선에서 역간거리가 1km도 채 안되는 구간이라 강남역을 출발한 열차는 출발하자마자 광고방송과 안내방송이 나오고 신논현역에 도착한다. 2호선 강남역은 [[서울대입구역]], [[영등포구청역]]과 더불어 승강장에 원형 모자이크 타일의 디자인이 들어가 있다. 역 개통 이래 오랫동안 강남역사거리에 있는 8개 출구만이 운영되었으나, 신분당선이 개통되면서 신분당선 대합실과 연결되는 4개 출구가 추가되었고, 출구 번호도 새로 매겨졌다. 옛날의 3~8번 출구가 지금의 7~12번 출구이다. 역 번호가 바뀌었을 때는 이용자들과 주변 상인들이 볼멘소리를 냈다.[*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10804/39293524/1|「[수도권]오락가락 지하철 출구번호… “강남역 헷갈려요”」]], 동아일보, 2011-08-04] === 역사 === 이때 불리던 역명은 '국기원역'이었다. 근처에 [[국기원]]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런데 지도상으로 보면 국기원은 강남역과 [[역삼역]] 사이 한가운데 지점에 있다. === 혼잡도 === 강남역은 환승객을 제외한 개찰구를 통한 승하차 기준으로 [[수도권 전철]]에서는 물론 전국의 모든 [[도시철도/대한민국|도시철도]]를 통틀어 대한민국에서 1위이다. 물론 여객열차와 지하철을 모두 포함한다면 [[서울역]]이 1위이지만 도시철도만 집계한다면 강남역이 1위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만으로 일평균 승하차객 15만 명, [[신분당선]]까지 합치면 일평균 20만 명 가까이 나온다. 순전히 게이트 승하차객만으로 [[신도림역]]에 버금가는 혼잡도를 보인다. 지금은 강남-교대 구간이 제일 혼잡하다. 그러나 강남역의 환승인파는 신도림역에 비해 덜하다. 북쪽의 구 제일생명사거리에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이 개통되면서 승차량이 줄어들 거라 예상했으나, 승차량이 오히려 더 늘었다. 대한민국 내 지하철 주변 유동인구가 매우 많은 지역으로 서울특별시, 더 나아가 수도권 교통의 요지 중 한 곳이다. [[서울역]], [[신도림역]], [[고속터미널역]], [[홍대입구역]], [[사당역]], [[잠실역]] 등 각 수도권 환승 거점들과 함께 유동인구로는 단연 상위권이며, 경기도 각지에서 오는 광역, 시외버스의 최종 목적지일 뿐 아니라 전국 각지에서 오는 차량이 많아 심각한 교통체증을 유발한다. 게다가 신분당선이 연장되면서 판교, 분당, 광교, 수지에서도 지하철로 오는 이용객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보니 각 버스 정류장과 지하상가 등은 이용객들로 가득하다. 이 때문에 플랫폼이 미어터진다. 특히 퇴근 시간인 평일 오후 5시부터 혼잡해지기 시작한다. 출근 시간에는 통근자들만 이용하는데 그마저도 대부분 하차객이라 그렇게 혼잡하지는 않다. 그러나 퇴근 시간에는 퇴근자들과 학생들, 유흥객들 등 온갖 이용객이 섞이면서 매우 혼잡한데, 6~7시 사이가 절정이다. 이로 인해 상대식 승강장의 한 쪽 벽면을 파서 승강장 폭을 확장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쇄도한다. 반면 명절에는 이용객이 거의 없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1035842|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대한민국 수도권 전철 중에서 [[노인]] [[무임승차]] 비율이 적은 역 중 하나이다. 2019년 4월 기준 강남역은 약 6% 정도로, 제일 높은 역은 [[제기동역]]이다. 노인 무임승차 비율은 (무임승하차) / {(무임승하차) + (유임승하차)}로 산출한다. == 승강장 == === [[서울 지하철 2호선]] === ||<-4> [[역삼역|역삼]] ↑ ||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내}}}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00a84d> {{{#ffffff 외}}} || ||<-4> ↓ [[교대역(서울)|교대]] || ||<width=25px><bgcolor=#00a84d> {{{#ffffff 외}}} ||<|2> [[파일:SM-2.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선릉역|선릉]]·[[잠실역|잠실]]·[[성수역|성수]]·[[왕십리역|왕십리]] 방면|| ||<width=25px><bgcolor=#00a84d> {{{#ffffff 내}}} ||[[교대역(서울)|교대]]·[[사당역|사당]]·[[신도림역|신도림]]·[[홍대입구역|홍대입구]] 방면|| 이 역은 역삼 방면으로 8퍼밀 오르막이 있다. 한때 이 역에 선로 기둥 사이에 분수대가 있었다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면서 철거되었다. 직선 승강장처럼 보이지만 미세하게 휘어진 곡선 승강장이다. === [[신분당선]] === ||<-4> ↑ [[신논현역|신논현]] || ||<width=10px><bgcolor=#d31145> {{{#ffffff 상}}}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d31145> {{{#ffffff 하}}} || ||<-4> [[양재역|양재]] ↓ || ||<width=10px><bgcolor=#d31145> {{{#ffffff 상}}} ||<|2> [[파일:NS-D.png|width=17]] [[신분당선]] ||[[신논현역|신논현]]·[[논현역|논현]]·[[용산역|용산]] 방면 || ||<width=10px><bgcolor=#d31145> {{{#ffffff 하}}} ||[[양재역|양재]]·[[남서울판교역|남서울판교]]·[[정자역|정자]]·[[광교역|광교]] 방면|| 유동인구와 승객 수요를 고려하여 승강장 폭을 매우 넓게 지었다. 2호선 강남역 승강장 폭의 3배 정도로 폭이 매우 넓어서 많은 승객들 수용이 가능하다. 이 역은 [[양재역|양재]] 방면으로 2퍼밀 오르막이 있으며, [[신논현역]] 방면으로 내리막이 있다.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SM-2.svg|height=20]] [[서울 지하철 2호선]] || ||<width=34%><-2><:>[[잠실역|{{{-2 {{{#000,#fff 잠실}}}}}}]]{{{-2 {{{#000,#fff ·}}}}}}[[왕십리역|{{{-2 {{{#000,#fff 왕십리}}}}}}]] {{{-2 {{{#000,#fff 방면}}}}}}[br][[역삼역|역 삼]][br]← 0.8 ㎞||<width=16%><bgcolor=#00a84d><color=#fff> {{{-2 외선[br]外線}}} ||<width=16%><bgcolor=#00a84d><color=#fff> {{{-2 내선[br]內線}}} ||<width=34%><-2><:>[[신도림역|{{{-2 {{{#000,#fff 신도림}}}}}}]]{{{-2 {{{#000,#fff ·}}}}}}[[홍대입구역|{{{-2 {{{#000,#fff 홍대입구}}}}}}]] {{{-2 {{{#000,#fff 방면}}}}}}[br][[교대역(서울)|교 대]][br]1.2 ㎞ →|| == 사건 사고 == === [[스크린도어]] 교체 작업 관련 === 2018년 10월부터 2019년 1월 12일까지 새로운 [[스크린도어]]로 교체 작업을 했다. [[김포공항역 스크린도어 사망사고]]를 계기로 시작된 일부 역의 스크린도어 교체 사업 중 하나이다. 특히 이 역은 서울 지하철 역 중 스크린도어 장애가 제일 많이 일어났기에 우선적으로 교체 작업을 했다.[* 이태수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170112066200004|「2호선 성수·방배 등 4개역 스크린도어 다시 설치한다」]], 연합뉴스, 2017. 1. 12.][* 김지유 기자, [[https://www.newspim.com/news/view/20171025000103|「[국감2017] 서울지하철 스크린도어 고장 2호선 성수역 1위」]], 뉴스핌, 2017. 10. 25.] 현재는 양방향 승강장 스크린도어가 공사 완료되어 가동 중이다. 2018년 11월 4일, [[시각장애인]] A씨가 선로로 추락했다. 내선순환([[신도림역|신도림]] 방면) 승강장은 스크린도어 재설치 공사가 한창이었다. A씨는 스크린도어가 없는 것을 보지 못하고 유도길(점자블록)을 따라 그대로 걷다가 떨어졌다. 안전요원이 바로 구조했지만 허리 통증을 호소한 A씨는 병원에서 치료 중이다. 승강장에는 '발빠짐 주의'라는 안내 문구가 붙어 있었지만 시각장애인에게는 사실상 무용지물이었다. 안전요원이 시민들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했고, 안내 방송도 미흡했다는 지적이 많다.[* 안상우 기자, [[https://v.daum.net/v/20181104202409281|「스크린도어 치운 선로로 장애인 추락..허술한 안전조치」]], SBS 뉴스, 2018. 11. 4.] 그 후 승강장에서 스크린도어 교체 공사중임을 알리는 안내방송을 실시하였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239)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239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