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오리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 정보 == 1994년 분당선 첫 개통 구간 때부터 2004년 11월 26일 [[보정역]] 연장구간이 개통할 때까지 10년 가까이 시종착역 역할을 맡았으며, 이 때문에 이 역은 쌍섬식 승강장으로 만들어졌는데 '''국내 최초로 지하에 만들어진 쌍섬식 승강장'''이다. 하지만 현재는 측선을 사용하지 않는 상대식 승강장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과거 죽전역이 개통되기 전까지는 당역종착행은 1, 4홈을 사용했고, 보정행은 2, 3홈을 사용했다.] 분당신도시[* [[야탑역]]부터 이 역까지 총 7개 역을 지나간다.]의 끝자락에 있는 역으로 용구대로를 타고 분당에 오면 성남을 알리는 표지판과 함께 오리역이 나온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와 연계되는 [[수도권 전철]] 역 중 가장 남쪽에 있다.[* 422번] 개통 초기만 해도 [[수서역]]에서는 오리역 방면 안내를 위해 이 역을 행선지에 표기하는 바람에 [[분당선]]을 [[서울 지하철 3호선]] 연장구간으로 착각하게끔 만들었다. 지금은 당연히 [[오금역]]으로 다 바뀌어있다. [[고속터미널역]]이나 [[압구정역]] 등에 비슷한 표지판이 남아있었으나[[https://blog.naver.com/ianhan/120189956733|#]] [[https://blog.naver.com/ianhan/222112086656|#]] 서울남산체를 적용한 표지판으로 바뀌면서 사라졌다.[* 아직까지도 [[대청역]]에는 위 5개의 역명이 뜬금없이 일원, 오금, '''복정''', '''모란''', '''오리'''라고 표기되어 있다.] 역사가 위치한 곳이 옛날 오동나무가 많다고 하여 '오리뜰'이라고 불려왔기 때문에, 여기서 따와 역명을 지었다. 따라서 동물 오리와는 관계 없다. 분당선 개통 전 임시 역명으로 '''분당역'''으로 계획되었다가, 소재지인 [[구미동(성남)|구미동]]을 따 '''구미역 또는 구미동역'''이란 가칭을 쓰기도 하였고, 심지어 '''[[죽전역]]'''이라는 가칭을 쓰기도 하였다. [[https://youtu.be/19T4oVYDVhg?t=142|#]][* 그런데 실제로 분당신도시 입주 당시에는 여기를 [[용인시]](당시에는 용인군)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꽤나 있었다고.] 순우리말이 아닌 한자가 있는 역명이다. 개통 당시 오리역의 한자 역명은 理(다스릴 리)로 쓰는 梧理였지만, 개통된 지 1년도 채 안된 1995년 8월 10일에 梧里로 바뀌었다. 한편 2013년 말에 스크린도어 입찰공고가 났었지만 한동안 잠잠했었고 2014년 말이 돼서야 본격적으로 스크린도어 공사가 시작되었다. 2015년 중반쯤 스크린도어가 완공되어 운영중이다. 2020년 말까진 [[태평역]]이나 [[정자역]]과 달리 천장공사를 하지 않아서 여타 지하역과는 다르게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었다. 2020년 말부터 미세먼지 유입차단 공사를 시작해 2021년 7월에 모두 마무리 되었다. 스크린도어 설치 전부터의 모습은 영상 참조. 2면 4선식(쌍섬식) 승강장인데 죽전쪽 측선 승강장은 분당선 전 구간 개통 전까지 단 한 번도 사용된 전례가 없었다. 반대로 [[미금역]] 쪽 측선은 오리 당역종착행 열차가 들어올 때 다음 발차를 위해 매우 자주 사용되었다. 2009년 1월 1일 오리행이 모두 죽전행으로 대체되어 시종착역 기능이 상실되었다. 그와 동시에 측선을 쓰지 않게 되었다가 2011년 4월 23일 발생한 [[죽전역(경기)|죽전역]] 열차 탈선사고로 인해 오랜만에 측선이 부활하게 되었다. 2013년에 회차 시설을 없애서 더 이상 시종착역 역할은 하지 못하게 되었다. 회차선은 있는데 [[인상선]]이 없어서 회차기능을 하기 어렵기 때문. 다만 그렇게 회차시설이 철거된 역들 중에서는 그나마 비상시 회차가 용이한 편이다. 회송열차를 2대 잡아둘 수 있는 부본선이 있기 때문. 1994년에서 2004년까지는 분당선의 종점역으로써 대부분의 열차가 오리행 열차였고, 그 뒤로 2004년에 [[보정역]], 2007년에 [[죽전역(경기)|죽전역]]이 개통한 이후에도 오리행이 여전히 많이 남아 있었다. 그러나 2008년 말에 시각표 개정을 통해 오리행을 모두 죽전행으로 갈아치워 오리행은 정규 열차에서 사라졌다. 2008년 말까지 오리행이 남아있을 수 있었던 이유는 1997년 외환위기 이전의 계획을 한동안은 염두에 두고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현재의 오리~죽전~[[보정역|보정]] 구간은 원래 [[분당기지선]], 즉 [[분당차량사업소]]의 인입선으로 사용하고, 죽전역과 보정역은 오리에서 직진해서 용구대로 지하에 위치할 예정이었다. 오리 ~ 죽전 구간의 뜬금 없는 커브와 분기기, 저속 주행 구간이 있는 이유 또한 이 계획이 어그러지고 죽전역이 차량기지 인입선상에 올라와 버렸기 때문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