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초지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서해선]] === 2018년 6월 16일 [[서해선]]이 개통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서해선 역 위치는 초지역 사거리 방향에 있어 [[막장환승|상당한 환승 난이도]]가 예상되었고 아니나 다를까 에스컬레이터 4번 타야 하는 거라 막장환승 확정.[* 환승 구조가 비슷한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과 달리 걷는 구간도 많지 않으나 에스컬레이터가 길다.] 서해선 초지역은 중앙대로상에 있는 초지역지하차도 밑에 역사가 배치된 관계로 출구가 역의 남북 끝쪽에만 배치되어 있다. 위에 올라온 서해선 역 구조도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4호선이 붙어있는 1번 출구 밑 지하 2층~3층이 모두 지하차도인 셈. 그래서 북쪽의 2~4번 출구와 남쪽의 5번 출구 사이를 이동하려면 '''지하 4층의 서해선 승강장을 맨 앞부터 끝까지 횡단해야 한다.'''. 북쪽 2~4번 출구 근처에서 4호선/수인분당선을 이용하려면 5번 출구쪽에 있는 화장실을 사용할 것이 아닌 이상 그냥 얌전히 지상에서 횡단보도를 건너서 지상 1층에 배치된 1번출구를 이용하는 동선이 훨씬 더 짧다. 해당 구조는 서해선 상에서는 초지역이 유일하며, 타 노선에는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등촌역]]이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환승통로는 [[시우역]] 방향의 끝부분에 있다. 서해선 공사 당시의 가칭은 화랑역이었고, 서해선 개통 즈음에 [[http://www.joongbo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020251|'단원역'으로 개명을 검토한 바 있다]]. 하지만 2018년 역명위원회에서 소사원시선의 가명인 화랑역이 '초지역'으로 최종 개칭되면서 결국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3261013021|역명 존치가 확정]]되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