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초지역
(편집 요청)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경기도의 철도역]][[분류:안산선]][[분류:수인선]][[분류:서해선]][[분류:신안산선]] {{{+1 '''草芝驛'''[br]'''Choji Station'''}}}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856a0><tablebgcolor=#ffffff,#2d2f34> [[남서울철도|[[파일:NS_Wlogo.svg|height=50&align=left]]]][[남서울철도|{{{#fff 남서울철도}}}]][br]'''{{{#fff {{{+2 초지역}}}[br](신안산대학교)}}}'''|| ||<width=120px><-2> [[송도역|{{{-2 {{{#000000,#fff 송도 방면}}}}}}]][br][[송도역|송 도]][br]← 21.4 km ||<width=120px><bgcolor=#003DA5><-2> [[수인선|[[파일:KTX BI_White, Red.svg|height=15]][br]{{{#fff {{{-2 수인선}}}}}}]] ||<width=120px><-2> [[부산역|{{{-2 {{{#000000,#fff 부산}}}}}}]]·[[목포역|{{{-2 {{{#000000,#fff 목포}}}}}}]] {{{-2 {{{#000000,#fff 방면}}}}}}[br][[어천역|어 천]][br]22.0 km → || ||<width=120><:><-2>[[남태령역|{{{-2 {{{#000,#fff 남태령 방면}}}}}}]][br][[고잔역|고 잔]][br]← 1.5 ㎞||<|2><-2><width=120><bgcolor=#00A4E3><:>[[과천안산선|[[파일:NS-GA.png|height=20]][br]{{{-2 {{{#fff 과천안산선[br]GA53}}}}}}]]||<width=120><:><|2><-2>[[오이도역|{{{-2 {{{#000,#fff 오이도 방면}}}}}}]][br][[안산역|안 산]][br]1.8 ㎞ →|| ||<-2><bgcolor=#00A4E3> [[남태령역|{{{#ffffff {{{-3 ◀ 4호선 직통 }}}}}}]] || ||<-2><width=120px><:>[[청량리역|{{{-2 {{{#000000,#fff 청량리 방면}}}}}}]][br][[고잔역|고 잔]][br]← 1.5 ㎞||<width=120px><-2><bgcolor=#fabe00> [[수인·분당선|[[파일:NS-SB.png|width=20]][br]{{{-2 {{{#fff 수인·분당선[br]SB54}}}}}}]] ||<width=120px><-2> [[인천역|{{{-2 {{{#000000,#fff 인천 방면}}}}}}]][br][[안산역|안 산]][br]1.8 ㎞ → || ||<width=120px><-2> [[고양역|{{{-2 {{{#000000,#fff 고양 방면}}}}}}]][br][[선부역|선 부]][br]← 1.7 km ||<|2><width=120px><-2><:><bgcolor=#8FC31F>[[서해선|[[파일:NS-SO.png|height=20]][br]{{{#fff {{{-2 서해선[br]SO26}}}}}}]]||<width=120px><-2><:>[[홍성역|{{{-2 {{{#000,#fff 홍성 방면}}}}}}]][br][[시우역|시 우]][br]1.4 km → || ||<bgcolor=#8FC31F><-2><:>[[고양역|{{{#ffffff {{{-3 ◀ 경의 쾌속선 직통[br]◀ 교외선 직통}}}}}}]] ||<-2><bgcolor=#8FC31F><:>[[홍성역|{{{#ffffff {{{-3 장항 쾌속선 직통 ▶}}}}}}]]|| ||<width=120px><-2> [[서울역|{{{-2 {{{#000000,#fff 서울 방면}}}}}}]][br][[선부역|선 부]][br]← 1.7 km ||<width=120px><-2><:><bgcolor=#F04938>[[신안산선|[[파일:NS-NH.png|height=20]][br]{{{#fff {{{-2 신안산선[br]NH26}}}}}}]]||<width=120px><-2> [[향남역|{{{-2 {{{#000000,#fff 향남 방면}}}}}}]][br][[시우역|시 우]][br]1.4 km →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bgcolor=#00A4E3> '''[[과천안산선|{{{#ffffff 과천안산선}}}]]''' || ||<-6><bgcolor=#fabe00> '''[[수인분당선|{{{#ffffff 수인·분당선}}}]]''' || ||<-6><:>[[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중앙대로 620 (초지동 25-1)|| ||<-6><bgcolor=#8FC31F> '''[[서해선|{{{#ffffff 서해선}}}]]''' || ||<-6><bgcolor=#F04938> '''[[신안산선|{{{#ffffff 신안산선}}}]]''' || ||<-6><:>[[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중앙대로 지하635 (초지동 602-2)||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00A4E3> [[과천안산선|{{{#ffffff 과천안산선}}}]] ||<-4><|4> [[남서울철도|[[파일:NS_logo.png|width=180&theme=light]][[파일:NS_logo_black.png|width=180&theme=dark]]]] || ||<-2><bgcolor=#8FC31F> [[서해선|{{{#ffffff 서해선}}}]] || ||<-2><bgcolor=#fabe00> [[수인·분당선|{{{#ffffff 수인·분당선}}}]] || ||<-2><bgcolor=#F04938> [[신안산선|{{{#ffffff 신안산선}}}]]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00A4E3> [[안산선|{{{#ffffff 안산선}}}]] ||<-4> 1994년 1월 10일 || ||<-2><bgcolor=#00A4E3> [[과천안산선|{{{#ffffff 과천안산선}}}]] ||<-4> 1994년 4월 1일 || ||<-2><bgcolor=#8FC31F> [[서해선|{{{#ffffff 서해선}}}]] ||<-4> 2018년 6월 16일 || ||<-2><bgcolor=#fabe00> [[수인선|{{{#ffffff 수인선}}}]] ||<-4><|2> 2020년 9월 12일 || ||<-2><bgcolor=#fabe00> [[수인·분당선|{{{#ffffff 수인·분당선}}}]] || ||<-2><bgcolor=#F04938> [[신안산선|{{{#ffffff 신안산선}}}]] ||<-4> 2022년 9월 6일 || ||<-6><bgcolor=#c0c0c0,#383b40> '''철도거리표''' || ||<-2><:>[[금정역|{{{-1 {{{#000,#fff 금정 방면}}}}}}]][br][[고잔역|고 잔]][br]← 1.5 ㎞||<colbgcolor=#f5f5f5,#373a3c><-2><:>'''[[안산선]]'''[br]초 지||<-2><:>[[오이도역|{{{-1 {{{#000,#fff 오이도 방면}}}}}}]][br][[안산역|안 산]][br]1.8 ㎞ → || ||<-2><:>[[수원역|{{{-1 {{{#000,#fff 수원 방면}}}}}}]][br][[고잔역|고 잔]][br]← 1.5 ㎞||<colbgcolor=#f5f5f5,#373a3c><-2><:>'''[[수인선]]'''[br]초 지||<-2><:>[[인천역|{{{-1 {{{#000,#fff 인천 방면}}}}}}]][br][[안산역|안 산]][br]1.8 ㎞ → || ||<-2> [[고양역|{{{-2 {{{#000000,#fff 고양 방면}}}}}}]][br][[선부역|선 부]][br]← 1.7 km ||<colbgcolor=#f5f5f5,#373a3c><-2><:>'''[[서해선]]'''[br]초 지||<-2> [[홍성역|{{{-2 {{{#000000,#fff 홍성 방면}}}}}}]][br][[시우역|시 우]][br]1.4 km → || ||<-2> [[서울역|{{{-2 {{{#000000,#fff 서울 방면}}}}}}]][br][[선부역|선 부]][br]← 1.7 km ||<colbgcolor=#f5f5f5,#373a3c><-2><:>'''[[신안산선|신안산선[br]{{{-2 (향남 지선)}}}]]'''[br]초 지||<-2> [[향남역|{{{-2 {{{#000000,#fff 향남 방면}}}}}}]][br][[시우역|시 우]][br]1.4 km →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4년 서울지하철 4호선 공단역으로 출발''' >초지역은 1994년 1월 10일 개업, 1994년 4월 1일 서울지하철 4호선 공단역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이후 2002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된 뒤 2012년 초지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으며 2018년 서해선 개통, 2020년 수인선이 개통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반월산업단지 근로자와 거주민의 편리를 위해 개통된 역으로, '공단'역명도 원래 반월국가산업단지에서 유래된 것이다. 그러나 실제 반월공단과 거리가 멀어 역명에 대한 실효성이 부족하고 공단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로 인해 개명요구가 잇따르면서 초지역으로 변경하였다. >---- >[[남서울철도]] 공식 소개 문구 * [[과천안산선]] GA53번, [[수인분당선]] SB54번.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중앙대로 620 (초지동 25-1) 소재. * [[서해선]] SO26번, [[신안산선]] NH26번.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중앙대로 지하635 ([[초지동]] 602-2) 소재. == 역 정보 == === [[과천안산선]]/[[수인·분당선]] === 안산선 최초 기획 당시부터 내정되었던 정차역으로 역 부지 일대에 초지동 원당마을이 있어서 '''원당역'''으로 불렸으나, [[고양시]]에 있는 [[원당역]]과의 혼동을 우려했는지 대신에 반월공단과 가깝다는 이유로 가칭 '''공단역'''으로 잠정 확정되었다. 하지만 안산선 개통 후에도 예산부족과 [[대한민국 철도청]]의 민영화 논의 등의 이유로 [[티스푼 공사|역의 착공이 차일피일 미루어지며]] 지역 주민 및 공단 근로자들의 탄원이 이어지기도 했다가 결국 이것이 받아들여지면서 1994년 1월에 잠정 확정된 가칭이었던 '''공단역(工團驛, Kongdan[*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Station)'''을 공식 명칭으로 개역하게 되었다. 그러나 정작 여기서 반월국가산업단지까지는 '''4.6km'''나 떨어져 있을 정도로 멀어서, 공단역이라는 역명[* 특히 [[서울특별시|서울시내]]에서 '공단역'이라고 하면 십중팔구 이 역이 아닌 [[구로디지털단지역|'구로공단역']](現 구로디지털단지역)을 가리켰을정도로 종종 두 역과 혼동하기도 하였다.]과 현실의 괴리감이 크다는[* 참고로 공단동이라는 행정동도 있었는데, 1988년 원초동에서 초지동과 분리되다가 1998년에 다시 초지동에 흡수되었다. 다만 관할 법정동은 공단 내부에 있는 성곡동, 목내동이었다.] 지역 주민들의 민원 때문에 2012년 6월 30일에 현재의 '''초지역'''으로 개명했다.[* 이후 "공단"이라는 역명은 3년 뒤 개통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공단역]]이 물려받게 된다.] 공단역이던 시절의 모습은 카카오맵에서 초지역의 로드뷰를 선택한 다음, 2008년 11월의 로드뷰 기록을 보면 Kongdan이라고 적혀 있던 시절의 모습은 물론, 역명 변경 직전의 모습까지도 볼 수 있다. 부역명으로 '''신안산대학교'''가 함께 붙어 있다. 원래는 '''안산공과대학'''이었는데 이름을 바꾸면서 부역명도 바꾸었다. 수인선과 노반을 공유하는 다른 안산선의 역들과는 다르게 이 역은 [[수인선]] 협궤철도 승강장이 없는데, [[수인선]] 시절에는 없다가 [[안산선]]이 개통된 이후로 만들어진 역인데다, 그나마 그것도 공사가 차일피일 미루어지며 뒤늦게 개역되었던 1994년 전후로는 [[수인선]] 협궤철도가 [[이동역]]으로 단축되고 장기적으로 폐선되는 계획이 이미 확정되었기 때문에 당연한 수순이었다. 그리고 오이도나 정왕동이 목적지이나 안산행 열차를 탈 경우 최소한 이 역에 내려서 다음 열차로 환승하도록 기관사나 차장이 안내하고 있다. 안산역에서 내리면 오이도행으로 갈아타기 위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가기 위해 계단을 오르내려야 하는데 초지역에서 내리면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2020년 9월 12일, [[수인·분당선]] 직결 개통 이후부터 과천안산선 준쾌속열차가 정차한다. 대신 기존에 정차하던 능길역은 정차하지 않는다. 과천안산선 준쾌속 정차역 중 승하차량이 가장 적은 역이다. === [[서해선]] === 2018년 6월 16일 [[서해선]]이 개통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서해선 역 위치는 초지역 사거리 방향에 있어 [[막장환승|상당한 환승 난이도]]가 예상되었고 아니나 다를까 에스컬레이터 4번 타야 하는 거라 막장환승 확정.[* 환승 구조가 비슷한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과 달리 걷는 구간도 많지 않으나 에스컬레이터가 길다.] 서해선 초지역은 중앙대로상에 있는 초지역지하차도 밑에 역사가 배치된 관계로 출구가 역의 남북 끝쪽에만 배치되어 있다. 위에 올라온 서해선 역 구조도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4호선이 붙어있는 1번 출구 밑 지하 2층~3층이 모두 지하차도인 셈. 그래서 북쪽의 2~4번 출구와 남쪽의 5번 출구 사이를 이동하려면 '''지하 4층의 서해선 승강장을 맨 앞부터 끝까지 횡단해야 한다.'''. 북쪽 2~4번 출구 근처에서 4호선/수인분당선을 이용하려면 5번 출구쪽에 있는 화장실을 사용할 것이 아닌 이상 그냥 얌전히 지상에서 횡단보도를 건너서 지상 1층에 배치된 1번출구를 이용하는 동선이 훨씬 더 짧다. 해당 구조는 서해선 상에서는 초지역이 유일하며, 타 노선에는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등촌역]]이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환승통로는 [[시우역]] 방향의 끝부분에 있다. 서해선 공사 당시의 가칭은 화랑역이었고, 서해선 개통 즈음에 [[http://www.joongbo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020251|'단원역'으로 개명을 검토한 바 있다]]. 하지만 2018년 역명위원회에서 소사원시선의 가명인 화랑역이 '초지역'으로 최종 개칭되면서 결국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3261013021|역명 존치가 확정]]되었다. == 승강장 == === [[과천안산선]] 및 [[수인·분당선]] === ||<tablealign=center><-8> ↑ [[고잔역|고잔]] ||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003DA5> {{{#ffffff 4 }}} ||<width=10px><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a4e3 50%, #fabe00 50%)" 3}}}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a4e3 50%, #fabe00 50%)" 2}}} ||<width=10px><bgcolor=#003DA5> {{{#ffffff 1 }}} ||<width=10px> ㅣ || ||<-8> [[안산역|안산]] ↓ || ||<width=10px><bgcolor=#003DA5><colcolor=#fff> 1 || [[수인선]] || [[KTX|[[파일:KTX BI.svg|width=35]]]] ||[[송도역|송도]] 방면 || ||<width=10px><bgcolor=#00a4e3> 2 ||<-2> [[파일:NS-GA.png|width=17]] [[과천안산선]] ||[[안산역|안산]]·[[오이도역|오이도]] 방면|| ||<bgcolor=#fabe00> 2 ||<-2> [[파일:NS-SB.png|width=17]] [[수인·분당선]] ||[[오이도역|오이도]]·[[송도역|송도]]·[[인천역|인천]] 방면|| ||<width=10px><bgcolor=#00a4e3> 3 ||<-2> [[파일:NS-GA.png|width=17]] [[과천안산선]] ||[[과천역|과천]]·[[명동역|명동]]·[[당고개역|당고개]] 방면|| ||<bgcolor=#fabe00> 3 ||<-2> [[파일:NS-SB.png|width=17]] [[수인·분당선]] ||[[수원역|수원]]·[[죽전역(분당선)|죽전]]·[[왕십리역|왕십리]] 방면|| ||<bgcolor=#003DA5> 4 || [[수인선]] || [[KTX|[[파일:KTX BI.svg|width=35]]]] ||[[부산역|부산]]·[[광주송정역|광주송정]]·[[목포역|목포]] 방면 || 2018년 1월 기준 스크린도어가 완공되어 가동 중이다. 스크린도어 미설치역 시절에는 투신사고가 잦은 역 중 하나였는데, 결국 스크린도어 설치를 완료하면서 해결되었다.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4> ↑ [[선부역|선부]] || ||<width=10px><bgcolor=#8fc31f><color=#fff> 1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8fc31f><color=#fff> 2 || ||<-4> [[시우역|시우]] ↓ || ||<width=10px><bgcolor=#8fc31f> {{{#ffffff 1}}} ||<|2> [[파일:NS-SO.png|width=17]] [[서해선]] ||[[신천역|신천]]·[[김포공항역|김포공항]]·[[고양역|고양]] 방면|| ||<width=10px><bgcolor=#8fc31f> {{{#ffffff 2}}} ||[[원시역|원시]]·[[서화성역|서화성]]·[[홍성역|홍성]] 방면||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NS-GA.png|width=20]] [[과천안산선]] || ||<-2><width=34%> [[당고개역|{{{-1 {{{#000,#fff 당고개 방면}}}}}}]][br][[중앙역(안산)|중 앙]][br]← 2.9 ㎞ ||<-2><width=32%><bgcolor=#0FAF8D><color=#fff> {{{-1 준쾌속[br]準快速}}} ||<-2><width=34%> [[오이도역|{{{-1 {{{#000,#fff 오이도 방면}}}}}}]][br][[안산역|안 산]][br]1.8 ㎞ → || ||<-2><width=34%> [[당고개역|{{{-1 {{{#000,#fff 당고개 방면}}}}}}]][br][[고잔역|고 잔]][br]← 1.5 ㎞ ||<-2><width=32%><bgcolor=#00A4E3><color=#fff> {{{-1 각역정차[br]各驛停車}}} ||<-2><width=34%> [[오이도역|{{{-1 {{{#000,#fff 오이도 방면}}}}}}]][br][[안산역|안 산]][br]1.8 ㎞ → || ||<-6><rowbgcolor=#f5f5f5,#373a3c> [[안산선]] 준쾌속은 [[산본역]] 이북부터 [[당고개역]]까지 모든 역에 정차한다. || ||<-6><rowbgcolor=#f5f5f5,#373a3c> [[파일:NS-SB.png|width=20]] [[수인·분당선]] || ||<width=34%><-2><:>[[청량리역|{{{-1 {{{#000,#fff 청량리 방면}}}}}}]][br][[고잔역|고 잔]][br]← 1.5 ㎞||<width=32%><-2><bgcolor=#fabe00><color=#fff> {{{-1 각역정차[br]各驛停車}}} ||<width=34%><-2><:>[[인천역|{{{-1 {{{#000,#fff 인천 방면}}}}}}]][br][[안산역|안 산]][br]1.8 ㎞ →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초지역, version=1119)]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