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239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부성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아무나이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충청남도의 철도역]][[분류:경부본선]][[분류:경부선]] {{{+1 '''富城驛'''[br]'''Buseong Station'''}}}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856a0><tablebgcolor=#ffffff,#2d2f34> [[남서울철도|[[파일:NS_Wlogo.svg|height=50&align=left]]]][[남서울철도|{{{#fff 남서울철도}}}]][br]'''{{{#fff {{{+2 부성역}}}}}}'''|| ||<width=120px><-2><:>[[서울역|{{{-2 {{{#000000,#fff 서울 방면}}}}}}]][br][[직산역|직 산]][br]← 2.7 km||<width=120px><|2><-2><:><bgcolor=#0052A4>[[경부선|[[파일:NS-GB.png|height=20]][br]{{{#fff {{{-2 경부선[br]GB69}}}}}}]]||<width=120px><-2><|2><:>[[천안역|{{{-2 {{{#000,#fff 천안 방면}}}}}}]][br][[두정역|두 정]][br]1.1 km →|| ||<-2><bgcolor=#0052A4> [[서울역|{{{#ffffff {{{-3 ◀ 1호선 직통[br]경유 경원선 직통}}}}}}]]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부대동 430||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0052A4> [[경부본선|{{{#ffffff 경부선}}}]] ||<-4> [[남서울철도|[[파일:NS_logo.png|width=180&theme=light]][[파일:NS_logo_black.png|width=180&theme=dark]]]]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0052A4> [[경부본선|{{{#ffffff 경부선}}}]] ||<-4> 2025년 9월 21일 || ||<-6><bgcolor=#c0c0c0,#383b40> '''철도거리표''' || ||<-2><:>[[서울역|{{{-2 {{{#000000,#fff 서울 방면}}}}}}]][br][[직산역|직 산]][br]← 2.7 km||<colbgcolor=#f5f5f5,#373a3c><-2><:>'''[[경부본선]]'''[br]부 성||<-2><:>[[부산역|{{{-2 {{{#000000,#fff 부산 방면}}}}}}]][br][[두정역|두 정]][br]1.1 km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부선]] GB69번.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부대동 430 소재. == 역 정보 == == 역사 == 2006년부터 천안시는 부대동, 성성동, 업성동 일대에 국제비즈니스파크의 건설을 계획하면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0147582|「천안에 국제비즈니스파크 조성」]], 서울경제, 2006-09-03] 이 곳을 지나가는 천안 경전철의 건설을 계획했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0392786|「천안 도시경전철 2013년 상반기 준공」]], 뉴시스, 2007-04-25] 2008년 3월 27일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센터를 통해 조사된 천안 경전철 1단계 구간의 비용편익분석 결과에서 1.07을 얻어 경제성이 있다는 결과가 발표됐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019342|「천안 경전철 경제성 합격..추진 탄력」]], 연합뉴스, 2008-03-27] 이 노선과 [[경부선]]이 만나는 지점에 환승역을 만든다는 계획에 따라 용역 조사를 실시했고, 2009년 10월 30일 발표된 '수도권 전철 부성역 신설 타당성 조사 용역'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부본선 설치 시 B/C 1.34, 미설치 시 B/C 1.65로 경제성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2948709|「전철-경전철 교차 `천안 부성역' 경제성 `OK'」]], 연합뉴스, 2009-10-30] 2010년 8월 ‘천안 도시철도 건설사업 기본계획’이 국가교통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했고 8월 20일 국토해양부 관보에 고시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0424105|「천안에 경전철 건설된다… 4667억 들여 KTX역∼도심연결 12.3㎞」]], 국민일보, 2010-08-23] 그러나 2011년 초부터 국제비즈니스파크 사업이 지지부진해지면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3742021|「천안국제비즈니스파크 500억원 증자 '삐걱'」]], 뉴시스, 2011-03-14] 2011년 12월 29일 사업이 백지화되었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442847|「천안시, 국제비즈니스파크 조성사업 백지화」]], 연합뉴스, 2011-12-29], 같은 해인 2011년 3월 29일 '천안 경전철 제3자 사업 참여 공고를 위한 민간투자'가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심의위원회에 상정되지 못했고 천안시와 시민 단체 사이에 경전철의 건설을 두고 찬반이 일다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5050338|「천안시-천안아산경실련 경전철사업 놓고 '공방'」]], 연합뉴스, 2011-05-06] 국제비즈니스 사업의 무산과 맞물려 사업을 포기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2721023|「성무용 천안시장의 고민, 미래성장동력 ‘올스톱’」]], 아시아경제, 2012-01-04] 그러다가 2018년 경부터 다시 부성역 신설에 대한 주장이 지역 정치인들로부터 나오기 시작했다.[* [[http://www.daej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315312|「"교통분야 공약 최우선 추진"」]], 2018-05-08, 대전일보] 2019년 6월 9일 수도권 전철 부성 지역 외 2개 지역 역(驛) 신설 사전 타당성 검토 연구 용역을 발주하면서[* [[http://www.joongdo.co.kr/web/view.php?key=20190618010006505|「천안시, 부성동 등 역 신설 타당성 조사 착수」]], 중도일보, 2019-06-18] 부성역 신설을 다시 추진하기 시작했고[* [[http://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9161|「천안, 수도권 전철 청수·부성역 신설 추진」]], 충청일보, 2019-07-25], 2019년 10월 16일 부성역 신설 정책토론회가 열리기도 했다.[* [[http://www.chungnam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16808|「천안 부성역 신설 정책토론회··· 16일 한국기술교육대서」]], 충남일보, 2019-10-17] 2020년 4월, 부성역만이 타당성 조사에서 비용편익분석 값이 B/C 1.0을 넘겨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http://www.daej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418691|「부성역 청수역 신설 추진 경제적 타당성 '희비'」]], 대전일보, 2020-04-15] 이에 따라 천안시에서는 [[국토교통부]]에 사업 승인 요청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2022년 1월 21일에 부성역 신설에 대한 국토교통부의 사업 승인이 완료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5864323|「천안, 전철 이용 더 쉬워진다…'부성역 신설' 확정」]], 뉴스1, 2022-01-24] 2022년 1월 24일, [[천안시]]는 2022년 안에 [[남서울철도]]와 협약을 맺고, 총사업비 403억원을 들여 선상 역사(건축면적 4천400㎡, 승강장 220m)를 건설할 계획을 발표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936419|「수도권 전철 천안 부성역 신설 확정…2026년 준공」]], 연합뉴스, 2022-01-24] 2022년 8월 12일에는 천안시, 남서울철도 간 협약을 체결했다. 2022년 11월 천안시에서 발표한 공약실천계획서를 참고하면[* [[https://www.cheonan.go.kr/mayor/sub04_04_01.do|천안시 > 함께 만드는 공약 > 민선8기 공약사업 > 공약실천계획서]], 2022-11] 역사 주변 개발 일정에 맞춰 2023년 착공하여 2025년 준공 예정이다.[* [[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3627|「천안 부성역 설계 착수 임박… 지역대학 ‘역이름 경쟁’」]], 충청투데이, 2023-02-20] 2025년 9월 1일에 준공이 완료되었고, 같은 달 21일에 정식 개통하였다. == 승강장 == ||<-6> ↑ [[직산역|직산]] || ||<width=10px><bgcolor=#0052a4> {{{#fff 2}}}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0052a4> {{{#fff 1}}} || ||<-6> [[두정역|두정]] ↓ || ||<bgcolor=#0052a4> {{{#fff 1}}} ||<|2> [[파일:NS-GB.png|width=20]] [[경부선]] ||<|2> 각역정차 ||[[두정역|두정]]·[[천안역|천안]] 방면 || ||<bgcolor=#0052a4> {{{#fff 2}}} ||[[병점역|병점]]·[[수원역|수원]]·[[안양역|안양]]·[[광운대역|광운대]] 방면 ||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NS-GB.png|width=20]] [[경부선]] || ||<width=34%><-2><:>[[광운대역|{{{-2 {{{#000,#fff 광운대 방면}}}}}}]][br][[직산역|직 산]][br]← 2.7 km||<width=32%><-2><bgcolor=#0052A4><:><color=#fff><:>{{{-1 각역정차[br]各驛停車}}}||<width=34%><:><-2>[[천안역|{{{-2 {{{#000,#fff 천안 방면}}}}}}]][br][[두정역|두 정]][br]1.1 km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239)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239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