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22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쌍용리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아무나이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강원도의 철도역]][[분류:태백본선]] {{{+1 '''雙龍里驛'''[br]'''Ssangyong-ri Station'''}}}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0ab84><tablebgcolor=#ffffff,#2d2f34> [[강원철도|[[파일:KANGWON_Wlogo.svg|height=50&align=left]]]][[강원철도|{{{#fff 강원철도}}}]][br]'''{{{#fff {{{+2 쌍용리역}}}}}}'''|| ||<width=120px><-2><:>[[제천역|{{{-2 {{{#000,#fff 제천 방면}}}}}}]][br][[입석역|입 석]][br]← 4.6 ㎞||<width=120px><-2><bgcolor=#75787A> [[태백본선|{{{#fff {{{-2 태백선}}}}}}]] ||<width=120px><:><-2>[[동해역|{{{-2 {{{#000000,#fff 동해 방면}}}}}}]][br][[연당역|연 당]][br]7.6 km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 [[강원도]] [[영월군]] 한반도면 용정원길 9 (쌍용리 501) ||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2><bgcolor=#75787A> [[태백본선|{{{#ffffff 태백선}}}]] ||<-4> [[강원철도|[[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width=180&theme=light]][[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width=180&theme=dark]]]]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bgcolor=#75787A> [[태백본선|{{{#ffffff 태백본선}}}]] ||<-4> 1953년 9월 21일 || ||<-6><bgcolor=#c0c0c0,#383b40> '''철도거리표''' || ||<-2><:>[[제천역|{{{-2 {{{#000,#fff 제천 방면}}}}}}]][br][[입석역|입 석]][br]← 4.6 ㎞||<colbgcolor=#f5f5f5,#373a3c><-2><:>'''[[태백본선]]'''[br]쌍용리||<-2><:>[[백산역|{{{-2 {{{#000,#fff 백산 방면}}}}}}]][br][[연당역|연 당]][br]7.6 km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전쟁 직후 태백선 보통역으로 출발''' >'''1일 시멘트 5천톤, 백운석 5백톤 수송''' >쌍용리역은 1953년 10월 태백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같은 해 옛 쌍용리역사가 신축 준공되었으며 1972년 여객수의 감소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가 1986년 사무관(급)역으로 승격하였다. 옛 쌍용리역사는 135.71㎡ 규모의 부럭조 슬레이트 단층역사로 아담한 규모와 울타리가 인상적인 역사였으며, 1995년에 이르러 적벽돌 외벽의 현재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여객은 많지 않지만, 화물 운송의 중요 거점으로 인근에 쌍용양회 시멘트 공장이 자리하고 있어 2015년 기사에 따르면 하루에 시멘트가 5,000t, 제철소 등에서 쓰는 백운석이 500t 정도가 오갔다고 한다. >---- >[[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 [[태백선]]의 [[철도역]]. [[강원도]] [[영월군]] 한반도면 용정원길 9 (쌍용리 501) 소재. 이전에는 인접한 마을을 위해 무궁화호가 정차했으나, 시티열차 도입에 따라 전국에 전철이 도입된 현재는 특급열차는 정차사지 않는다. == 역 정보 == 2013년 강원철도노동조합 파업사건 당시 국토부 등에선 '1일 이용객이 고작 15명 뿐인 역에 역무원을 17명 배치한 천인공노할 방만경영의 본산'이라는 비난을 해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동아일보]]도 이에 호응하여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31226/59784605/1|하루 승객 15명인 驛에 역무원 17명]]이라는 기사를 작성하여 논란에 불을 붙였다. 그러나 이 역은 바로 옆에 위치한 연 생산량 350만톤의 [[쌍용양회]] 영월공장에서 나오는 [[시멘트]] 물량을 모두 소화하느라 2010년 기준 '''연간 화물하역량 196만 톤'''이며, 실제로 여객 수익이 1,400만원, 인건비가 11.4억인 데 비해 화물로 인한 수익이 무려 '''96억'''이라 [[화차(철도)|화물이 메인]]이고 여객은 근처에 마을이 있으니 그냥 곁다리로 취급하는 역이다. [* 그래서 거의 화물역이라 역무원들이 엄청 고생했다고 한다. 게다가 3조 2교대라 [[https://www.fnnews.com/news/201506101253281974|실질적으론 5명. --기사에 나온 인건비 11억이 납득 갈 정도다.--]]] 이러한 역 특성을 무시하고 이용객 수만 보고 [[언플]]을 한 것이다. 이에 [[노컷뉴스]]에서 [[https://www.nocutnews.co.kr/news/1174755|'하루승객은 15명, 역무원은 17명' 쌍용역 기사의 진실]]로 반박기사를 냈고, 동아일보에서는 3개월이 지나서야 정정보도문으로 내용을 정정했다. 이때 영동선의 [[안인역]]을 비롯한 여러 화물역들도 비슷한 이유로 억울하게 까였다. 아래 영상 1분 27초 부근에도 관련 내용이 나온다. [Youtube(jpv3Ma2z3UA)] 참고로 [[철암역]]도 화물이 메인, 여객은 부속이다. 애초에 [[태백선]]과 [[영동선]]은 여객보단 화물 중심인 [[철도]]다. 여객운송에 [[서울역]]과 [[용산역]], [[동대구역]], [[익산역]] 등이 있다면 화물운송에는 [[부산진역]]과 쌍용리역, [[오봉역]], [[철암역]], [[도담역]] 등이 있다고 봐도 된다. 화물철도는 업무가 고되고 그만큼 인력 배치도 많이 필요하다. 여객전용역의 강도 높은 인력 감축을 감행한 강원철도도 화물역은 거의 인력감축을 하지 않았다. == 승강장 == ||<-4> ↑ [[입석역|입석]] || || │ ||<width=10><bgcolor=#75787A> {{{#ffffff 1}}} ||<width=10><bgcolor=#75787A> {{{#ffffff 2}}} || │ || ||<-4> [[연당역|연당]] ↓ || ||<bgcolor=#75787A> {{{#ffffff 1}}} ||<|2>{{{#75787A ■}}} [[태백본선|태백선]] ||[[입석역|입석]]·[[제천역|제천]] 방면 || ||<bgcolor=#75787A> {{{#ffffff 2}}} ||[[사북역|사북]]·[[태백역|태백]]·[[동해역|동해]] 방면[br]{{{-2 (직통 [[영월역|영월]]·[[정선역|정선]]·[[아우라지역|아우라지]] 방면)}}} || == 인접 정차역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75787A ■}}} [[태백본선|태백선]] || ||<-2><:><width=34%>[[제천역|{{{#000000,#ffffff {{{-2 제천 방면}}}}}}]][br][[제천역|제 천]][br]← 18.3 ㎞||<-2><width=32%><:><bgcolor=#e83a24>{{{-2 {{{#ffffff 쾌속[br]快速}}}}}}||<-2><:><width=34%>[[아우라지역|{{{-2 {{{#000,#fff 아우라지 방면}}}}}}]][br][[영월역|영 월]][br]16.4 ㎞ →|| ||<width=34%><-2><:>[[제천역|{{{-2 {{{#000,#fff 제천 방면}}}}}}]][br][[입석역|입 석]][br]← 4.6 ㎞||<width=32%><bgcolor=#808080><-2><:>{{{-2 {{{#fff 보통[br]普通}}}}}}||<width=34%><-2><:>[[동해역|{{{-2 {{{#000,#fff 동해 방면}}}}}}]][br][[연당역|연 당]][br]7.6 km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22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22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